------♡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구속체적전하밀도는 부피에 대한 값이고, 표면속박전하밀도는 표면적에 대한 밀도 값이라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dielectrics에서 divergence (D) 값을 유도할 때
total charge density를 free charge density 와 bound charge density 로 나누고,
bound charge density는 구속체적전하밀도와 같은 값으로 계산해서 유도하는데, 표면속박전하밀도 값이 이 식에 포함되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ㅠㅠ
실제로 문제를 풀 때에는 또 표면속박전하밀도를 고려해줘서
(전체 전자) = (자유 전자) + (구속체적전하밀도를 부피에 대해 적분해준 값) + (표면속박전하밀도를 표면적에 대해 적분해준 값)
이렇게 풀더라구요.
어떤 차이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ㅜㅜ
첫댓글 가우스면에 따라 유전체가 안에 있으면 내 외부 표면전하 합이 0이 되서 그런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