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글 제목 규칙
년도 시험명 번호 : 주제
예) 2015 MD 2번 : 삼투압
2. 공지 목록 확인하기
http://cafe.daum.net/S2000/9ffG/58
이미 풀이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기
3. 답변자님께 감사의 댓글 남기기
답변 받고 글 지우기 않기
------------------------------------------

최대 수축기압이 25로 같은 Ⅰ과 Ⅲ은 각각 폐동맥과 우심실 중 하나다.
최소 이완기 압력은 심실보다 동맥이 더 크기 때문에 판막이 존재한다.
최소 이완기 압력이 더 큰 Ⅰ이 폐동맥이다.
최대 수축기압이 120으로 같은 Ⅱ와 Ⅳ는 각각 대동맥과 좌심실 중 하나다.
최소 이완기 압력이 더 큰 Ⅳ가 대동맥이다.
ㄱ. Ⅰ은 폐동맥이다. O
ㄴ. 평균동맥압은 수축기와 이완기의 시간을 반영한 대동맥 압력의 평균값이라고 했다.
전체 주기가 0.8초이고 수축기(t1~t2)는 약 0.3초다.
따라서 (3/8×120)+(5/8×80)=95mmHg이다. X
「‘맥압(pulse pressure)=수축기압-확장기압’평균 동맥압(mean arterial pressure)은 확장기압에 맥압의 1/3을 더하면 대부분 정확하게 들어맞는다.
‘평균 동맥압=확장기 혈압 + 1/3 맥압’」 - 생리학 12판(박인국)
전공서에 따라 계산하면, Ⅳ의 혈압이 120/80이고, 맥압은 40(=120-80)이므로
평균 동맥압은 80 + (1/3)×40 = 93.3mmHg이다.
ㄷ. 대동맥압력은 좌심실이 충분히 수축한 t2에서 더 크다. X
답 : ①
첫댓글 ㄴ 에서 수축기는 0.3초는 맞지만, t1~t3보다는 등용적성 수축기 시작점(t1보다 조금 앞)에서 등용적성 이완기 시작점(t2보다 조금 앞)까지로 봤었는데 어떠신가요?
또, 이해되지 않는부분이 있어요 ㅠ 폐쇄순환계의 환경에서 어떻게 우심실 압력이 좌심실과 다를수 있을까요?
네 수축기는 그렇게 보시는 게 더 정확합니다.
우심실을 떠난 혈액은 폐순환을 하고 좌심실을 떠난 혈액은 온몸순환을 합니다. 같은 양의 혈액을 다루지만, 좌심실이 담당하는 부위가 더 크기 때문에 좌심실에서 더 큰 압력을 필요로 합니다.
원형 수도관에 2개의 펌프를 똑같은 간격으로 설치한다면 각 펌프가 발휘하는 수압은 같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2개의 펌프를 한쪽에 몰아서 설치한다면, 한 펌프는 힘을 약하게 발휘하고 다른 펌프는 힘을 강하게 발휘해야 전체 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될 것입니다.
좌심실 우심실 압력이 같다면 폐모세혈관이 터질거라고 배웠었어요.. 상대적으로 피가 적은 거리를 이동하기 때문에 좌심실처럼 펌프질을 했다가는 큰일나겠죠
최소 이완기 압력이 크다는게 무슨 말인가요??ㅠ 이완기말용적이 더 적다는 의미인가요..? 헷갈리네요ㅠㅠ
말 그대로 이완기 압력 중 최소값이 심실보다는 동맥에서 더 크다는 것입니다. 동맥과 심실 모두 이완기에는 압력이 낮아질 것입니다.
문제에 따르면 심실의 압력은 이완기에 0까지 낮아집니다. 하지만 동맥의 압력은 최저로 낮아져도 심실보다는 큰 압력을 항상 갖고 있습니다.
동맥의 압력이 더 크면, 혈액이 동맥에서 심실로 역류할수도 있겠죠. 이걸 방지하는 것이 심실과 동맥 사이의 판막입니다.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확실히 이해됐어요! 감사합니다~
좌심실이 충분히 수축한 t2에서
이부분 오타 아닌가요? 좌심실이 충분히 이완한 t2가 맞는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