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측정소 “더 낮게, 더 촘촘하게”
다수가 권고치 10m보다 높이 설치, 실제 농도 반영 여부 의문
측정소 늘리는 것도 관건
권고 지침보다 높게 설치된 국내 미세먼지 측정소들에 대해 당국이 고층건물 밀집 지역에서의 측정의 어려움을 이유로 현행 체제 유지를 고수하는 있다. 이 가운데, 실질적인 대기정보 제공을 위해 개선책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춘천의 경우, 현재 미세먼지 측정소는 석사동 강원도개발공사 2층 옥상과 중앙로 춘천시보건소 3층 옥상에 설치돼 있다. 도내 측정소를 운영하는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두 곳의 높이는 각각 13.9, 16.6m이다. 도내 원주·강릉·삼척 등지의 관측소도 비슷한 사정으로 11.5~19.9m의 수준을 보이고 있다. 20m가 넘는 동해 측정소는 조만간 20m 이하의 위치로 이전할 계획이다.
환경부가 지난 1월 발표한 대기오염 측정망 설치운영지침 개정안에 따르면 대기오염 측정소 시료채취구의 높이는 사람이 생활하고 호흡하는 높이인 지상 1.5m 이상, 10m이하의 범위다. 다만, 불가피한 경우 20m 미만으로 하고 10~20m 사이라도 예외 기준 적용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송옥주 의원이 환경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측정소 264곳 중 측정구 높이가 10m 이상인 곳은 224곳으로 전체의 84.4%에 달했다. 사람 키의 최소 6배 이상인 곳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셈이다. 지난해 환경부 측정 결과에 따르면 지상 2m 높이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는 220m 높이에서 잰 농도보다 많게는 28%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발표 미세먼지 농도의 정확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이다.
그러나 당국의 입장은 다르다. 환경부 관계자는 “고층 건물들이 많고 그렇다고 지표면에 바로 설치하면 건물들에 가려져 적정대기 수준을 측정했다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며 대안 모색에 난색을 표했다.
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호흡하는 공기의 질을 보여주기 위해 가급적 낮은 곳에 설치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측정망을 보다 촘촘하게 하기 위해 측정소의 수를 늘리는 것도 관건”이라며 “미세먼지 현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적정 위치와 높이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동현 시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