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별과 우주 단원에서 구상성단은 주로 노란색으로 나이가 오래된 별이고 산개성단에 있는 별들은 주로 푸른색으로 나이가 젊은 별이라고 하는데 어떤 근거로 별의 나이를 유추할 수 있나요? 저는 별의 색깔과 표면온도의 관계만 있는줄 알았는데 별의 나이는 어떻게 관련 있는지 잘 이해를 못하겠더라구요.
첫댓글최대한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질량이 큰 별들은 푸른색이고, 질량이 작은 별들은 노란색, 붉은색을 띄어요. 그리고 질량이 큰 별일수록 수명이 짧아서 빨리 죽죠. 즉, 푸른별이 주를 이룬다는 것은 아직 젊은 별들이 많이 있다는 소리이고, 노란별이 주를 이룬다는 것은 젊은 별들이 다 죽고 중장년(?) 별들이 많다는 소리이죠! :)
여기서 조금만 더 제 생각을 보태보면 같은 붉은 계열 별이 적색 거성일수도 주계열일수도 있을텐데 광도를 비교해보면 적색거성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것 같아요. 산개성단에 꼭 붉은별만 있는것도 아니고 아직 주계열에 머무는 별들도 있는데 것보다 밝게 빛나는 것을 보면 적색 거성이라 판단할 수 있을거같아요.
첫댓글 최대한 단순하게 생각해보면, 질량이 큰 별들은 푸른색이고, 질량이 작은 별들은 노란색, 붉은색을 띄어요. 그리고 질량이 큰 별일수록 수명이 짧아서 빨리 죽죠. 즉, 푸른별이 주를 이룬다는 것은 아직 젊은 별들이 많이 있다는 소리이고, 노란별이 주를 이룬다는 것은 젊은 별들이 다 죽고 중장년(?) 별들이 많다는 소리이죠! :)
알려 주셔 감사합니다~^^
여기서 조금만 더 제 생각을 보태보면 같은 붉은 계열 별이 적색 거성일수도 주계열일수도 있을텐데 광도를 비교해보면 적색거성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것 같아요.
산개성단에 꼭 붉은별만 있는것도 아니고 아직 주계열에 머무는 별들도 있는데 것보다 밝게 빛나는 것을 보면 적색 거성이라 판단할 수 있을거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