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이 문제에서 마지막 h구할때 저렇게 에너지 보존 식을 구하던데 마지막 원기둥이 h만큼 올라갔을땐 위치에너지 강체 질량 중심까지 고려해서 mg(h+R) 이 아닌가요?
초기 운동에너지는 강체 관성모멘트로 회전운동에너지 구했는데 마지막 퍼텐셜은 왜 강체 질량 중심까지 고려하지 않는건가요?
마지막 단, 도막과 원기둥의 질량 중심은 동일 연직면에서 운동한다라는 말이랑 상관이 있나요?
첫댓글 처음에 수평면에서도 질량 중심까지 R만큼 올라가있어요 그래서 중심기준으로 구하면 어차피 퍼텐셜 변화량이 h만큼 입니다
아..!그렇네요 질량중심까지면 애초에 초기에도 존재해서 없어지는군요! 감사합니다ㅎㅎ
라그랑지안에서도 그렇고 파울스역학 전공책에서도 강체의 높이는 중력퍼텐셜에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쓰는게 정확하긴한데 안써도 크게 문제가 없는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마지막! 강체높이를 고려하게 된다면 처음 역학적 에너지를 쓸때 저 삼각형도 퍼텐셜을 고려하셔야해요 이렇게까지 하려면 문제가 많이 복잡해질 것 같아요
이 문제는 출제 오류입니다.
도막이 균일하다는 조건이 없고, 퍼텐셜 에너지 기준점이 제시되지 않아서, 퍼텐셜 에너지를 기술할 수 없어요.
문항 출제자 수준이 일반물리학보다 못합니다. 또 봐도 또 싫네요.
물체의 운동 에너지, 물체의 중력퍼텐셜 에너지 변화량, 도막의 운동에너지만 쓸 수 있습니다.
그쳐 이상하긴해요 ..ㅎ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