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말이집이 절연체 역할을 하면서 전기적 손실을 최소화해서 빠르게 도약전도가 일어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랑비에결절에서 생성된 활동전위가 말이집부분을 지나 다음 랑비에결절로 이동하잖아요?
1. 이 때 흥분의 전도가 연속적으로 신경을 이동하니까 슈반세포가 감싼 신경부분에도 활동전위가 생긴다고 표현할수 있을까요?
2. 슈반세포가 감싼 신경부분에도 막전위 변화가 일어난다고 표현할수 있을까요?
첫댓글 1,2번 다 아닙니다. 활동전위는 이온통로를 통한 이온의 이동으로 나타나는 막전위의 급격한 변화잖아요. 말이집은 슈반세포에의해 감싸있기때문에 그부분에 이온 통로가 있더라도 이온통로로서의 기능을 하지못하겠죠. 어쨌든 말이집안쪽은 막전위변화도 일어나지않고 따라서 활동전위는 생성되지않습니다
그럼 슈반세포가 감싸는부분의 신경안쪽에는 항상 -70mV상태를 유지하면서 막전위변화가 없는건가요?
만약 흥분의 전도가 일어날 때 항상-70mV을 유지하면서 막전위변화가 없다면 랑비에결절에서 다음랑비에결절까지 정보가 어떻게 전달되는거죠?
@케이비에스 네 -70 유지하면서 막전위변화는 없습니다~ 랑비에결절에 나트륨통로를 통해 나트륨이 유입되면 나트륨이 양방향으로 확산되면서 확산되어온 나트륨이 다음 랑비에결절에 있는 나트륨이온통로에 자극을 주면서 또 나트륨통로가 열리는겁니다~
@ssen 랑비에결절에서 탈분극이일어날때 나트륨이온이 들어오면서 막전위변화가 생기잖아요?
그러면 랑비에결절에서 들어온 나트륨이온이 다음랑비에결젤에 있는 나트륨통로에 자극을주기위해 확산될때 말이집안쪽 신경부분을 통화할텐데
나트륨이온이 확산되면서 통화하는 과정에서도 막전위변화가 안생기는건가요?
말이집안쪽신경입장에서는 나트륨이온(양이온)이 확산되면서 자신에게 유입되니까 막전위 변화가 일어날꺼같아서요 ㅠㅠ
우선 활동전위는 막전위가 양전하의 정점을 나타내는 값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막전위의 변화를 설명할 때,
휴지 전위 → 탈분극(막전위 양의 값 상승) → 활동전위(정점) → 재분극(막전위 양의 값 감소) → 과분극 또는 휴지 전위
와 같이 설명하는 것이죠.
질문에 답변드리자면 1번은 틀렸고 2번은 맞습니다.
1번에 대해서, 말이집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세포막엔 전압 작동성 Na+ 채널이 없어서 활동전위가 형성될 수 없습니다.
2번에 대해서 말이집으로 둘러싸인 부분에서도 막전위의 변화는 나타납니다.
흥분의 전도는 세포질의 Na+가 확산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은 알고 계실 것입니다.
이전에 활동전위가 발생한 지점의 세포질에서 Na+은 농도 기울기에 따라 확산합니다.
이때 말이집으로 둘러싸인 세포질을 거쳐 랑비에 결절 지점의 세포질까지 이동하게 됩니다.
그 결과 랑비에 결절에서 증가된 Na+ 농도에 의해 막전위가 어느정도 상승하고, 이러한 탈분극에 의해 랑비에 결절의 전압 작동성 Na+ 채널이 활성화되고 활동 전위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말이집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세포질에서도 증가된 Na+ 농도에 의해 막전위는 상승합니다.
다만 전압 작동성 Na+ 채널이 부재하여 활동 전위가 형성되지 못하는 것일 뿐이지요
GHK 방정식을 떠올려보시면 확실하게 설명하실 수 있을 겁니다
@사랑해영 답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