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의실 밖 강의실 2018년 강의
노자 도덕경 27장, 反面敎師
2018-10-12
善行無轍迹, 善言無瑕謫, 善數不用籌策.
선행무철적, 선언무하적, 선수불용주책.
善閉, 無關楗, 而不可開.
선폐, 무관건, 이불가개.
善結, 無繩約, 而不可解.
선결, 무승약, 이불가해.
是以聖人, 常善救人, 故無棄人; 常善救物, 故無棄物.
시이성인, 상선구인, 고무기인; 상선구물, 고무기물.
是謂襲明, 故善人者, 不善人之師; 不善人者, 善人之資.
시위습명, 고선인자, 불선인지사; 불선인자, 선인지자.
不貴其師, 不愛其資, 雖智大迷, 是謂要妙.
불귀기사, 불애기자, 수지대미, 시위요묘.
善行無轍迹, 善言無瑕謫, 善數不用籌策.
선행무철적, 선언무하적, 선수불용주책.
진정한 선행은 흔적을 남기지 않고,
참된 말에는 흠잡을 것이 없고,
계산을 잘하는 사람은 계산기가 필요 없다.
※ 타인에게 질투와 시기를 불러일으키지 말라.
1. 한자 풀이
轍 바퀴 자국 철, 車 (수레 거, 7획), 총 19획
1. 바퀴의 자국, 2. 궤도(軌道), 3. 차도(車道), 4. 흔적(痕跡·痕迹), 5. 노선(路線), 6. 진로, 7. 행적(行跡·行績·行蹟)
※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수레거(車☞수레, 차)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통하다(通--)」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 徹(철)의 생략형(省略形)이 합(合) 하여 이루어짐. 수레가 「지나간 자국」의 뜻.
迹 자취 적, 辶 (책받침, 3획), 총 9획
1. 자취(어떤 것이 남긴 표시나 자리), 발자취, 2. 업적(業績), 공적(功績), 3. 행적(行 跡·行績·行蹟), 4. 관습(慣習), 선례, 5. 길, 정도(正道), 6. 왕래(往來), 7. 명성(名聲: 세상에 널리 퍼져 평판 높은 이름), 8. 좇다, 9. 상고하다(詳考--), 10. 뒤따르다, 도달하다(到達--), 11. 살펴보다
※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책받침(辶(=辵)☞쉬엄쉬엄 가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亦 (역→적)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 이형동의자(이체자); 㺓 자취 적, 날쌜 표
瑕 허물 하, 王 (구슬 옥변, 4획), 총 13획
1. 허물, 2. 티(조그마한 흠), 3. 옥의 티(조그마한 흠), 4. 틈, 틈새, 5. 멀다, 6. 어 찌,
※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구슬 옥 변(玉(=玉, 玊)☞구슬)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叚(가→하)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 유의자; 咎 허물 구, 큰북 고, 愆 허물 건, 疵 허물 자, 노려볼 제, 앓을 새, 瘕 기 생충병 하, 뱃병 가, 罪 허물 죄, 辜 허물 고
謫 귀양 갈 적, 言 (말씀 언, 7획), 총 18획
1. 귀양을 가다, 2. 꾸짖다, 3. 책망하다(責望--), 4. 벌하다(罰--), 5. 결점(缺點), 6. 운기, 기상(氣象)의 변화(變化), 7. 재앙(災殃), 8. 허물
※ 형성문자; 讁(적)과 동자(同字). 뜻을 나타내는 말씀언(言☞말하다)部와 음(音)을 나타 내는 글자 啇(적)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5) 關鍵 관건; 關 관계할 관, 당길 완, 鍵 열쇠 건/자물쇠 건
①빗장과 자물쇠 ②사물(事物)의 가장 중요(重要)한 곳
6) 籌 살 주, 竹 (대 죽, 6획), 총 20획
1. 살, 투호살(投壺-), 2. 꾀, 3. 산가지(算--: 수효를 셈하는 데에 쓰던 막대기), 4. 제비(기호 등에 따라 승부 따위를 결정하는 방법), 5. 꾀하다, 6. 징발하다
※ 단어 뜻풀이; 산가지를 놓아서 셈을 하는 일
※ 형성문자; 筹(주)의 본자(本字). 뜻을 나타내는 대죽(竹☞대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 는 壽(수→주)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7) 策 꾀 책/채찍 책, 竹 (대 죽, 6획), 총 12획
1. 꾀, 계책(計策), 2. 제비(기호 등에 따라 승부 따위를 결정하는 방법), 3. 대쪽(댓조 각), 댓조각(대를 쪼갠 조각), 4. 책, 서적(書籍), 장부(帳簿ㆍ賬簿), 5. 채찍, 6. 점대 (占-: 점을 치는 데에 쓰는 댓가지), 7. 산가지(算--: 수효를 셈하는 데에 쓰던 막대기)
8. 수효(數爻), 숫자(數字), 9. 지팡이, 10. (임금의)명령서(命令書), 11. 별의 이름, 12. 낙엽(落葉) 소리, 13. (과거를)보이다, 14. (상을)주다, 포상하다(褒賞--), 15. 헤 아리다, 예측하다(豫測--), 16. 기록하다(記錄--), 17. 꾀하다, 기획하다(企劃--), 18. 독촉하다(督促--), 19. 채찍질하다, 20. (지팡이를)짚다,
※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대죽(竹☞대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朿(자→책)로 이루어짐. 말을 때리는 대나무 말채찍을 말함. 음(音)을 빌어 계략(計略)의 뜻에 쓰임.
※ 유의자; 敇 채찍질할 책, 칙서 칙/신칙할 칙, 數 셈 수, 자주 삭, 촘촘할 촉, 算 셈 산
8) 籌策 주책; 이해(利害)를 타산한 끝에 생각한 꾀. 이익 추구, 人爲, 作爲.
2. 無住相布施; “내가 누구를 위하여 무엇을 베풀었다.”라는 자만심 없이 자비스러운 마음으로 온전하게 베푸는 것을 뜻한다. 이와 같이 마음에 걸림이 없고無礙, 머무름이 없는無住, 원만한 보시를 무주상보시라고 한다. “맑은 거울에 萬象이 비치나 그 어떤 象도 거울에 남아 있지 않다.”
3. 無轍迹, 無瑕謫.
1) 자랑 삼거나 대가를 바라거나 상대를 이용할 수단으로 말하고 행동하면 허물 과 흔적이 남는다.
2)『春秋』, ‘學記’ ; “敎學相長”
3) 業; 薰習; 향 싼 종이, 생선을 싼 종이.
4)『老子翼』, “聖人은 爲腹하고 不爲目한다”
4. 이양연의 시 「野雪(야설)」
穿雪野中去, 不須胡亂行. 今朝我行跡, 遂爲後人程.
천설야중거, 불수호란행. 금조아행적, 수위후인정.
눈 길 뚫고 들길 가도, 모름지기 어지러이 가지 말라.
오늘 아침 내 발자국이, 마침내 뒷사람의 길이 될 것이니.
5. 義在正我(의재정아); 정의는 자신을 바르게 하는데서 비롯된다.
善閉, 無關楗, 而不可開.
선폐, 무관건, 이불가개.
문을 잘 닫으면 빗장이 없어도 열리지 않는다.
1. 한자 풀이
1) 楗 문빗장 건, 木 (나무 목, 4획)
1. 문빗장(門--: 문을 닫고 가로질러 잠그는 막대기 쇠장대), 2. 방죽(물이 밀려들어 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쌓은 둑), 3. 말뚝, 4. 막다, 차단하다(遮斷--), 5. (다리를)절다, 절뚝거리다
※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木(목☞나무)部와 음을 나타내는 建이 합하여 이루어짐.
2) 鍵 열쇠 건/자물쇠 건, 부수 金 (쇠 금, 8획), 총17획
1. 열쇠, 2. 자물쇠, 3. 문빗장(門--: 문을 닫고 가로질러 잠그는 막대기 쇠장대), 4. 비녀장(수레의 굴레머리에서 내리질러 바퀴가 벗어져 나가지 않게 하는 쇠), 5. 건반(鍵盤), 6. 부러지다, 7. 절단되다(切斷ㆍ截斷--)
※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쇠금(金☞광물ㆍ금속ㆍ날붙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 (同時)에 단단히 「죄다」의 뜻(☞緊(긴)). 또는 「잠그다」의 뜻(☞禁(금)) 을 나타내기 위한 建(건)으로 이루어짐. 수레바퀴를 굴대에 단단히 固定시 키는 비녀장(☞轄(할))의 뜻. 전(轉)하여, 자물쇠를 잠그는 열쇠의 뜻이 됨.
※ 鍵盤 건반; 피아노ㆍ풍금ㆍ타자기(打字機) 등(等)의 건을 늘어놓은 면. 키보드
※ 施鍵裝置 시건장치; 잠금장치(문 따위를 잠그는 장치). ‘잠금장치’로 순화.
3) 建 세울 건, 엎지를 건 1. 세우다 2. 일으키다 建國, 建物, 建築
健 굳셀 건 1. 굳세다 2. 건강하다 3. 튼튼하다 4. 꿋꿋하다
健康, 健忘, 健全, 健鬪, 健勝건승(좋은 건강 상태), 健筆, 健脚
腱 힘줄 건, 힘줄 근
善結, 無繩約, 而不可解.
선결, 무승약, 이불가해.
매듭을 잘 지으면 밧줄로 동이지 않아도 풀리지 않는다.
1. 한자 풀이
1) 繩 노끈 승, 糹 (실 사변, 6획), 총 19획
1. 노끈(실, 삼, 종이 따위를 가늘게 비비거나 꼬아서 만든 끈), 2. 줄(무엇을 묶거나 동 이는 데에 쓸 수 있는 가늘고 긴 물건), 3. 먹줄(나무나 돌에 곧은 줄을 긋는데 쓰는 도 구), 4. 법(法), 5. 바로잡다, 6. 통제하다, 7. 제재하다, 8. 잇다, 9. 계승하다(繼承 --), 10. 계속하다(繼續--), 11. 기리다, 12. 재다, 13. 판단하다(判斷--)
※ 형성문자; 縄(승)의 본자(本字). 뜻을 나타내는 실사(糸☞실타래)部와 음(音)을 나타내 는 동시(同時)에 「따라붙어 떨어지지 않다」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 蠅(승) 의 생략형(省略形)으로 이루어짐. 실로 꼰 노ㆍ새끼의 뜻.
2) 約 맺을 약, 부절 요, 기러기발 적, 糹 (실 사변, 6획), 총 9획
1. 맺다, 2. 약속하다(約束--), 3. 묶다, 다발을 짓다, 4. 검소(儉素)하게 하다, 줄이 다, 5. 오그라들다, 6. 인색하다(吝嗇--), 아끼다, 7. 멈추다, 말리다, 8. 쇠하다(衰 --), 9. 갖추다, 10. 구부리다, 11. 따르다, 준거하다(準據--), 12. 나눗셈하다, 13. 유약하다(柔弱--), 14. 아름답다, 15. 약속(約束), 조약(條約), 16. 어음, 증서(證書), 17. 검약(儉約), 검소(儉素), 18. 고생, 빈곤(貧困), 19. 대략(大略), 대강(大綱), 20. 대개(大槪: 대부분), 21. 장식(裝飾), 22. 노끈(실, 삼, 종이 따위를 가늘게 비비거나 꼬 아서 만든 끈), 새끼(주로 볏짚으로 꼬아 만든 줄)
a. 부절(符節: 돌이나 대나무·옥 따위로 만들어 신표로 삼던 물건) (요), b. 고동, 사북 (교차된 곳에 박아 돌쩌귀처럼 쓰이는 물건) (요), c. 기러기발(거문고, 가야금, 아쟁 따 위의 줄을 고르는 기구) (적)
※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실 사(糸)部와 음을 나타내는 勺(작☞꺼내는 일, 다fms 것과 구분 짓는 일(勺작→약)이 합하여 이루어짐. 묶다→꼭 묶는 일을 뜻함.
2. “善閉, 無關楗, 而不可開. 善結, 無繩約, 而不可解.”
善閉; 잘 간직한 것, 소유가 아닌 존재를 위해 간직한 것.
善結; 잘 묶고, 잘 맺은 善緣과 惡緣, 攀緣
3. 無爲로써 행하면 ‘善行’이고, 無爲로써 말하면 ‘善言’이고 無爲로써 간직하면 ‘善閉’요, 無爲로써 만나면(관계를 맺으면) ‘善結’이 된다.
是以聖人, 常善救人, 故無棄人; 常善救物, 故無棄物.
시이성인, 상선구인, 고무기인; 상선구물, 고무기물.
이렇듯 성인은 언제나 사람을 잘 구함(모시고 섬김)으로써,
함부로 사람을 버리지 않는다;
항상 세상 만물(물건)을 잘 다루어, 버려지는 세상 만물이 없다.
1. 한자 풀이
1) 棄 버릴 기, 木 (나무 목, 4획), 총 12획
1. 버리다, 2. 그만두다, 3. 돌보지 않다, 4. 꺼리어 멀리하다, 5. 물리치다, 6. 잊 다
※ 회의문자; 마늘모(厶☞나, 사사롭다, 마늘 모양)部와 葉(기☞쓰레받기)와 卄(공☞양 손)의 합자(合字). 청소 도구(道具)를 양 손으로 밀고 감을 나타냄. 따라서 널리 버림의 뜻.
※ 반대 뜻을 가진 한자(상대자); 取 가질 취
2) 救 구원할 구, 攵 (등글월 문, 4획), 총 11획
1. 구원하다(救援--), 건지다, 돕다, 2. 고치다, 치료하다(治療--), 3. 막다, 못 하게 하다, 금지하다(禁止--), 4. 도움, 구원(救援)
※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등글월문(攵(=攴)☞일을 하다, 회초리로 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求(구☞정리하다→모으는 일)로 이루어짐. 손으로 말리다→구원 하다는 일.
是謂襲明, 故善人者, 不善人之師; 不善人者, 善人之資.
시위습명, 고선인자, 불선인지사; 불선인자, 선인지자.
이를 일러 ‘습명’(도에 따라 순응함)이라 한다.
그러므로 선한 사람은, 선하지 못한 사람의 스승이요;
선하지 못한 사람은, 선한 사람의 바탕(도움, 자원)이다.
1. 한자 풀이
1) 襲 엄습할 습, 衣 (옷 의, 6획), 총 22획
1. 엄습하다(掩襲--: 뜻하지 아니하는 사이에 습격하다), 2. 치다, 3. 인습하다(因襲 --: 예전의 풍습, 습관, 예절 따위를 그대로 따르다), 4. 잇다, 물려받다, 5. 인하다(因 --: 어떤 사실로 말미암다), 6. 염하다(殮--), 7. (옷을)입다, 껴입다, 8. 맞다, 9. 덮 다, 덮어 숨기다, 10. 거듭하다, 되풀이하다, 11. 들어가다, 12. 익숙해지다, 13. 합 치다(合--), 조화되다(調和--), 14. 겹, 층, 15. 벌(옷을 세는 단위), 16. 箱子
※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옷의(衣(=衤)☞옷)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龍(룡→습)으로 이 루어짐. 죽은 사람에게 입히는 옷, 두 겹으로 입은 옷이란 데서 겹친다는 뜻이 됨. 전(轉)하여 물려받다, 종전대로 따르다, 불의에 습격하다의 뜻.
2) 資 재물 자, 貝 (조개 패, 7획), 총13획
1. 재물(財物), 2. 자본(資本), 3. 바탕, 4. 비용(費用), 5. 의뢰(依賴), 6. 도움, 7. 돕다, 8. 취하다(取--), 9. 주다, 10. 쓰다
※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조개패(貝☞돈, 재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次(차→자)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次(차)는 차례차례로 갖추어진 것, 貝(패)는 돈이나 물건(物件), 資(자)는 여러 가지 모아서 갖추어진 물건(物件)→생활을 지탱 하는 것→장사의 밑천.
2. “迷之者曰衆生, 悟之者曰佛”
3. 26장
重爲輕根, 靜爲躁君. 중위경근, 정위조군.
輕則失本, 躁則失君. 경즉실본, 조즉실군.
不貴其師, 不愛其資, 雖智大迷, 是謂要妙.
불귀기사, 불애기자, 수지대미, 시위요묘.
스승을 귀히 여기지 못하는 사람이나,
바탕을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은,
비록 지혜롭다 하더라도 크게 길을 헤매게 된다,
이것이 바로 오묘한 도리라 한다.
1. 한자 풀이
1) 迷 미혹할 미, 辶 (책받침, 3획)
1. 미혹하다(迷惑--), 헷갈리다, 2. 헤매다, 길을 잃다, 3. 유혹하다(誘惑--), 어지럽게 하다, 4. 흐릿하다, 5. 빠지다, 심취하다(心醉--), 6. 혼미하다(昏迷--), 7. 잃다
※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책받침(辶(=辵)☞쉬엄쉬엄 가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米 (미)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米(미)는 쌀→자잘하고 알기 힘듬의 뜻. 迷 (미)는 길을 잃다→어떻게 하여야 좋을지 갈피를 못 잡음.
※ 같은 뜻을 가진 한자(유의자); 惑 미혹할 혹
2.『貞觀政要』; 師友정신
3. 『論語』
子曰 三人行 必有我師焉, 擇其善者而從之. 其不善者而改之.
공자 말씀하시길, 세 사람이 함께하더라도 그 중에 반드시 스승이 있게 마련이다.
선한 사람에게는 선함을 배우고, 악한 사람에게서도 잘못됨을 보고
자신을 뉘우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 서울시 국어 바르게 쓰기 위원회가 개선한 단어 153개
· 한자어
(기한이) 도래하다→ (기한이) 이르다, 오다, 닥치다, (기한이) 미도래하다→ 오지 않다, 가급적→ 되도록, 갱의실→ 갈아입는 방, 탈의실, 고지→ 알림, 대결→ 대리 결재, 병행하여→ 함께, 동시에, 식재 → 나무 심기, 나무 가꾸기, 염두에 두어→ 생각하여, 고려하여, 요망→ 바람, 우측보행→ 오른쪽 걷기, 월류→ 물 넘침, 무넘이, 해촉→ 위촉 해제, 위촉을 끝냄, 행려병자→ 무연고 병자, 떠돌이 병자
· 일본식 한자어와 표현
가건물→ 임시 건물, 가라→ 가짜, 가주소→ 거짓 주소, 임시 주소, 가처분→ 임시처분, 간지나다→ 멋지다, 견습→ 수습, 거래선→ 거래처, 견출지→ 찾음표, 곤색→ 감색, 공람→ 돌려봄, 기스→ 흠, 흠집, 상처, 납기→ 내는 날, 내는 기간, 납부하다→ 내다, 내구연한→ 사용 가능 기간, 노가다→ (공사판) 노동자, 막일꾼, 흙일꾼, 누수→ 새는 물, 다이→ 대, 받침, 땡깡→ 투정, 생떼, 떼, 땡땡이무늬→ 물방울무늬, 무대뽀→ 막무가내, 무모, 분빠이→ 분배, 삐까삐까→ 번쩍번쩍, 사라→ 접시, 상기의→ 위의, 위, 상신 → 올림, 보고, 쇼부 → 승부, 흥정, 결판, 시말서→ 경위서, 식대→ 밥값, 식비→ 밥값, 쓰키다시→ 곁들이찬, 애매하다→ 모호하다, 오케바리→ 좋다, 와쿠(와꾸)→ 틀, 음용수 → 마실 물, 먹는 물, 인계하다→ 넘겨주다, 인수하다→ 넘겨받다, 잔반→ 음식 찌꺼기, 남은 음식, 잔업→ 시간 외 일, 절수→ 물 절약, 물 아낌, 절취선→ 자르는 선, 차출하다→ 뽑다, 뽑아내다, 차후→ 지금부터, 앞으로, 행선지→ 목적지, 가는 곳, 호우→ 큰비, 호출하다→ 부르다, 회람→ 돌려 보기
· 외래어
~풀(Pool)→ ~후보군 (예: 인재풀→인재 후보군/ 전문가 풀→전문가 후보군), CS (Consumer Satisfaction)→ 고객 만족, CSR→ 기업의 사회적 책임, Day→ 날, EMS→ 응급 의료 서비스, ICT→ 정보통신기술, 정보문화기술, NPO→ 비영리단체,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경협기구, R&D→ 연구 개발, RMS→ 기록 관리 시스템, 가이드북→ 안내서, 지침서, 길잡이, 골든타임 → 황금시간, 그린푸드존→ 어린이 식품 안전 구역, 네이밍→ 이름/이름짓기, 랜드마크→ 상징건물, 대표건물, 마루지, 러시아워 → 혼잡 시간(대), 렌트푸어 → 임차 빈곤층, 임차 취약(계)층, 세입 빈곤층, 멀티태스킹→ 다중작업, 메이커 → 제작자, 제조업체, 멘토, 멘토링 → (담당)지도자, 조언자, 상담, 무빙스토어→ 이동가게, 배너→ 띠광고(온라인), 알림막(오프라인), 배리어 프리→ 무장애, 장벽 없는, 복싱데이→ 자선의 날, 브리프→ 요약보고, 요약서, 비상콜→ 비상 호출, 비즈링→ 홍보 연결음, 통화 연결음, 홍보용 통화연결음, 서밋→ (정상) 회담, 서포터(즈)→ 응원단, 후원자, 셔틀 버스→ 순환 버스, 솔라스테이션→ 햇빛충전소, 스몸비→ 스마트폰 몰입 보행자(이동자), 스케줄링→ 일정짜기, 일정잡기, 스크리닝→ 선별, 훑어보기, 점검, 스타트업→ 새싹기업, 스트리트 마켓→ 거리가게, 스페이스→ 공간, 슬로건→ 구호, 표어, 아이스브레이킹→ 어색함 풀기, 서먹함 깨기(풀기), 어워드→ 상, 오프닝→ 개관, 개통, 개막, 오픈소스→ 공개자료, 인플루언서→ 영향력자, 워크숍→ 공동수련, 공동연수, 웹진→ 누리잡지, 위크→ 주간, 주, 이니셔티브→ 발의(권), 주도(권), 선제권, 구상, 이벤트→ (기획) 행사, 인큐베이팅→ 육성, 보육, 정류장 ID→ 정류장 (고유) 번호, 존→ 구역, 주거복지센터→ 주거복지종합(민원)시설, 캠퍼스타운→ 대학촌, 대학거점도시, 코디네이터(코디)→ 조정자, 코워킹→ 협업, 공동작업, 코칭(코치)→ 지도, 클러스터→ 연합지구, 협력지구, 키플레이어→ 핵심인물, 핵심인사, 킬러 콘텐츠(킬링 콘텐츠)→ 돌풍콘텐츠, 핵심콘텐츠, 테스트베드→ 시험장, 시험(무)대, 가늠터, 트리팟(트리포트)→ 화분, 팀빌딩→ 팀 단합, 파빌리온→ 전시관, 가설건물, 패밀리사이트→ 관련 누리집, 팩토리→ 공방, 팸투어→ (초청)홍보여행, 사전답사여행, 포트폴리오→ 실적 자료집, 포트홀→ 도로파임, 노면구멍, 폴딩도어→ 접이문, 푸드트럭→ 음식차, 음식트럭, 먹거리트럭, 프로모터→ 행사기획자(사), 플래너→ 기획자, 설계사, 플랫폼→ 기반, 장, 플리마켓(프리마켓)→ 벼룩시장, 하우징 페어→ 주택(산업) 박람회, 허브→ 중심, 중심지, 헤드랜턴→ 이마등
· 차별적 단어
결손 가족→ 한부모 가족, 조손 가족, 내조/외조→ (배우자의) 도움, 녹색 어머니회→ 녹색 학부모회, 미망인→ 고 ㅇㅇㅇ(씨)의 부인, 불우 이웃→ 어려운 이웃, 유모차→ 아기차, 장애우→ 장애인, 정상인→ 비장애인, 조선족→ 중국동포, 편부, 편모→ 한 부모, 학부형→ 학부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