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대기과학개론 265쪽에
중간권계면의 최소온도가 여름철 극 지역에서 나타나는 이유가 대기순환에 의한 상승운동으로 공기가 단열냉각되기 때문에라고 나와있는데요
그럼 여름반구는 극지방에서 하강운동이 아닌 상승운동이 일어나는 건가요? 대기대순환모형의 극순환에서는 하강기류로 인해 극고압대가 형성되는거랑 헷갈리는 것 같아요 ㅜㅜ 어디가 문제일까요..
첫댓글 우선 대기대순환에서 극순환의 하강기류는대류권한정입니다.
중층대기=중간권+성층권입니다.
성층권에는 오존이 많고 중간권에는 거의희박해 여름반구 극은 백야로인해 성층권이 매우 뜨겁습니다(오존이 태양복사를 많이흡수해서 대기가열)
반대로 겨울반구 극은 극야로 차갑죠.
여기서 성층권의뜨거운 공기는 상승하게 되어 단열냉각되므로 중간권은 온도가낮아지고 겨울반구 극의 공기는차가워 하강해 중간권이 단열승온되어 따뜻해지게됩니다.
덧붙여 여름반구 극의 중간권에는 중력파에의한 잔여순환이 나타나는데,
중력파는 여름반구 극의 중간권에서 상승해 겨울반구 극의 중간권에서 하강하여
여름반구 중간권의 기온이 낮고 겨울반구 중간권 기온이 높습니다
@빛날 헷갈리시는 포인트는
대기순환=대기대순환으로 용어의 혼동으로 그런거같아보이시는데
대기대순환은 대류권계면안에서 나타납니당
대기순환과대기대순환은다릅니다~
헐 완전히 이해했어요..!! 설명이 너무 깔끔하네요 ㅠㅠ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