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지구과학 (비댓 금지) 2021년도 6월 고3 모평 19번 우주배경복사 (뒤늦은 질문)
자두나 추천 0 조회 350 22.09.21 13:09 댓글 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2.09.21 19:04

    첫댓글 빨색선: A에서 발생한 배경복사는 현재시점에 우리은하에 도달하기 때문에 옳지 않음. A보다 가까운 지점에서 발생한 cmb 가 60억년전에 우리은하에 도달해야함

    초록색선: A에서 발생한 cmb는 이미 외부은하에 관측되었음. A보다 멀리서 발생한 cmb가 60억년전에 도달해야함.


    A에서 발생한 배경복사는 화살표방향으로 쭉 시간에따라 우리은하에 가까워진다고 보면 됩니다.

    A보다 멀리있는 은하를 기준으로 그림을 다시 그려도 같은 그림이 나옵니다. A에서 방출된 배경복사는 사방으로가는 것이 맞으나 그림은 X축 방향만 그려놨고, 기준도 우리은하 기준으로 그렸습니다.

    저 그림에서 A보다 멀리있었던 은하쪽으로 배경복사가 방출된다고 할 수는 있는데 시간에 따라 격자가 벌어지면서 그림에 표기할 수가 없습니다. 격자 사이 거리 비교하시면 이해되실겁니다.

    사방으로 퍼지는 건 맞으나 cmb는 38만년에 모든 공간에서 발생했고 굳이 A지점만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60억년전에 우리은하에 도달한 cmb는 A보다 가까운 지점에서 발생했습니다




  • 작성자 22.09.22 07:27

    감사합니다. 혹시 60억년전 A보다 가까운 지점은 C라고 표시할 수 있을까요? A보다 가까운 지점을 이 그림에 표현할 수 있는지요?

  • 22.09.22 18:47

    우리은하 관찰자 기준이면 38만년의 어느 위치에서든 그림처럼 그릴 수 있고, 빛이 우리은하 관찰자에 도달하는 시점은 멀리서 발생했을 수록 더 늦게 도달하게 됩니다.
    A보다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배경복사는 미래에 관측이 되겠고 그래서 우리은하 중심축이 교차하는 지점이 미래시점.
    이런식으로 그려주면 됩니다. 근데 빛이 움직이는 경로는 문제에서 간단하게 나온 것같아서 원리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