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 톱뉴스까지 올랐다...MBC 올림픽 중계, 세계 주요 언론들에 뭇매
MBC의 도쿄 올림픽 개막 방송이 전 세계 주요 언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방송 직후엔 일부 매체에서 단순 ‘해외토픽’ 수준으로 다뤄졌지만, 주말을 넘기면서 주요국 권위지와 방송사가 비판에 동참, 국제 망신으로 비화하는 양상이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26일 오전 10시 현재 도쿄 올림픽 코너 세컨드 기사로 <한국 방송사가 올림픽 퍼레이드에서 ‘부적절한’ 이미지를 사용한 데 사과했다>를 걸어놨다. 신문은 기사에서 “올림픽 개막식 국가 퍼레이드는 각국 시청자들에게 외교 및 글로벌 인식을 키워주며, 미디어는 퍼레이드를 보여줄 때 퀴즈, 운동 선수 프로필 및 지정학적 의미 등으로 방송 시간을 채운다”며 “그러나 MBC는 (해당 국가들에) 공격적이거나, 부정적 편견을 강화하는 내용의 이미지를 사용해 시청자들 비판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어 “mbc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당시에도 참가국을 폄하하는 자막을 내보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징계를 받았다”며 “당시 (아프리카) 수단을 내전이 긴 불안정한 국가로, 짐바브웨는 인플레이션이 살인적인 국가로 묘사했다”고 덧붙였다.
MBC 중계 논란은 CNN 인터넷판에서는 톱 기사로 걸렸다. 제목은 <이탈리아엔 피자, 루마니아엔 드라큘라… 방송사 논란 불붙다>. CNN은 “(MBC가) 공격적인 고정 관념을 바탕으로 여러 국가를 묘사하는 데 크게 실패했다”고 보도했다.
영국 가디언은 현지시각 24일 <우크라이나 소개엔 체르노빌, 이탈리아 소개엔 피자: 한국 TV가 올림픽 이미지 문제에 사과>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이밖에 미국 ABC뉴스, 폭스뉴스, 허핑턴포스트 스포츠채널 ESPN에도 관련 소식이 실렸다. 호주의 해럴드선, 캐나다 토론토선 등에도 보도됐다. 뉴질랜드헤럴드는 온라인 기사에서 “한국의 한 방송국이 올림픽 개회식 중계에 사용한 부적절한 국가 소개가 역겹다”고 보도했다. 일본 네티즌은 “우크라이나는 체르노빌이었지만 일본은 무난한 초밥이었다. 해일이나 후쿠시마가 아니라 다행”이라고 비꼬기도 했다.
이외에도 해외 네티즌들은 “이미 MBC가 사진 문제에 대해 사과한 것은 알지만 방송인의 지식이 얼마나 낮은지 알 수 있었다” “방송사에서 올림픽과 전혀 관련이 없는 분쟁, 기근, 인구 과잉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봤다” “MBC는 1인당 GDP와 코로나19 예방접종률로 말레이시아를 소개했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반발했다.
https://www.chosun.com/culture-life/broadcast-media/2021/07/26/QHZYJHPYVZAEBMJPVCRMBYYYWA/
'올림픽 개회식 중계 물의'·'루마니아 자책골 조롱' 점입가경 MBC...박성제 사장, 결국 대국민 사과
MBC, 올림픽 4일 동안 '사고·사과·사고·사과'...朴사장 "올림픽 정신 훼손 방송 사죄"
자책골 기록 상대 팀 마리우스 마린 선수 겨냥해 "고마워요 마린" 자막 삽입
루마니아 축구협회 "한국 공영방송 MBC가 우리 선수 조롱"
23일에는 개회식 중계 물의...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전 사진, 아이티 폭동 사진 사용
24일 사과 입장 발표에 이어 26일 MBC 박성제 사장 대국민 사과
'2020 도쿄올림픽' 개회식을 중계하면서 부적절한 사진과 자막을 사용해 물의를 빚은 MBC가 이번에는 자책골을 기록한 상태 팀 선수를 조롱하는 자막을 삽입해 도마 위에 올랐다.
MBC는 25일 남자 축구 조별리그 B조 2차전 루마니아와의 경기 중계에서 자책골을 기록한 상대 팀의 마리우스 마린 선수를 겨냥해 "고마워요 마린"이라는 자막을 광고 중 화면 우측 상단부에 삽입했다.
이에 루마니아 축구협회는 26일 공식 SNS에 MBC의 자막 사진과 함께 “한국 공영방송 MBC가 ‘고마워요 마린, 자책골’이라는 메시지로 마린의 부끄러운 순간을 조롱(mocked)했다”고 지적했다.
이번 논란은 MBC가 올림픽 개회식 중계 물의로 공식 사과한 지 하루 만에 발생했다.
앞서 MBC는 지난 23일 도쿄올림픽 개회식을 중계하면서 각국 소개에 부적절한 사진과 자막을 사용해 논란이 불거졌다.
우크라니아 대표팀을 소개하며 체르노빌 원전 사진을 사용했으며, 아이티 선수들의 입장 때는 폭동 사진과 함께 ‘대통령 암살로 정국은 안갯속’이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또 아프가니스탄 선수단 입장에는 마약 재료인 양귀비 운반 사진을, 엘살바도르엔 비트코인을, 루마니아 선수단 입장 땐 영화 ‘드라큘라’ 사진을 삽입했으며, 노르웨이, 이탈리아, 일본 소개 땐 각각 초밥, 피자, 연어 등 음식 사진을 썼다.
이에 MBC는 다음날인 24일 “문제의 영상과 자막은 개회식에 국가별로 입장하는 선수단을 짧은 시간에 쉽게 소개하려는 의도로 준비했지만 당사국에 대한 배려와 고민이 크게 부족했고 검수 과정도 부실했다”며 “변명의 여지가 없는 잘못이다. 다시 한번 고개 숙여 죄송하다”고 사과문을 냈다.
그러나 사과 하루 만에 다시 '상태 팀 선수를 조롱'하는 논란이 불거졌고, 이에 MBC 박성제 사장이 26일 오후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을 가졌다.
박 사장은 “저희 MBC는 전세계적인 코로나 재난 상황에서 지구인의 우정과 연대, 화합이라는 올림픽 정신을 훼손하는 방송을 했다”며 “신중하지 못한 방송, 참가국에 대한 배려가 결여된 방송에 대해 마음에 상처를 입은 해당 국가 국민들과 실망하신 시청자 여러분께 MBC 콘텐츠의 최고 책임자로서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고 했다
이어 "급하게 1차 경위를 파악해보니 특정 몇몇 제작진을 징계하는 것에서 그칠 수 없는, 기본적인 규범 인식과 콘텐츠 검수 시스템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철저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책임도 반드시 묻겠다"고 말했다.
한편 외신들도 MBC의 올림픽 중계 논란을 상세히 보도했다.
영국 로이터통신은 MBC 중계 논란에 대해 “한국 TV가 각국 소개에 부적절한(inappropriate) 이미지와 자막을 사용한 뒤 사과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미국 CNN은 MBC에 대한 SNS에서의 반응을 전하며 “한국을 삼풍백화점, 성수대교, 세월호 참사의 나라로 소개하면 좋겠나?”라는 국내 트위터 사용자의 글을 뉴스 화면에 띄웠다.
이 외 AFP통신, 영국 인디펜던트, 미국 폭스뉴스, 호주 뉴스채널 7뉴스 등도 MBC 중계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제기했다.
성기웅 기자 skw424@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46163
또 사고 친 MBC에 "대체 왜 이러나" "품격은 어디에" 비판
'2020 도쿄올림픽' 개회식 생중계에서 부적절한 자료를 사용해 물의를 빚은 MBC가 이번에는 자책골을 넣은 상대 팀 선수를 조롱하는 듯한 자막을 내보내 또다시 비난 여론에 휩싸였다. 네티즌들은 "이번에도 MBC냐", "방송국의 품격은 대체 어디 간 거냐"고 비판했다.
25일 도쿄올림픽 남자 축구 B조 예선 대한민국 대 루마니아 경기를 생중계한 MBC는 전반전이 끝난 뒤 후반 경기가 시작하기 전 중간 광고를 내보내며 오른쪽 상단에 '고마워요 마린'이라는 문구를 띄웠다.
전반 27분 루마니아의 마린 선수가 자신의 진영에서 수비하던 중 우리나라 이동경 선수가 골문 앞쪽으로 찬 공을 걷어내려다 발끝에 공이 맞고 자책골을 기록한 상황에 이 같은 표현을 쓴 것이다.
이를 본 시청자들은 "우리나라 선수들이 자책골 넣었을 때, 다른 나라에서 저렇게 자막 달면 좋겠나", "부끄럽기 짝이 없다", "자책골로 본인도 스트레스 받을 텐데 타국 방송에서 조롱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등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개막식 방송 중 부적절한 자막과 자료를 사용해 논란을 일으킨 지 이틀 만에 또다시 물의를 일으킨 MBC를 향해 네티즌들은 "이번에도 MBC냐", "MBC 진짜 나라 망신이다", "방송국의 품격은 대체 어디 간 거냐" 등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MBC는 23일 개막식을 중계하며 우크라이나 선수단 입장 시 체르노빌 원전 사진을 띄우고, 엘살바도르 선수단이 입장할 때 비트코인 사진을 내보내는 등 물의를 빚은 바 있다.
외신도 "MBC가 올림픽 개막식에서 여러 국가를 묘사하며 공격적 이미지를 사용했는데, 대부분 엉뚱하고 이상한 것까지 다양했다"(영국 가디언), "한국 TV가 부적절한 개막식 이미지에 대해 사과했다"(로이터 통신)고 보도했다.
논란이 확산하자 MBC는 국문과 영문으로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해당 국가와 시청자 여러분께 사과드린다"는 내용이 담긴 사과문을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박민식 기자 bemyself@hankookilbo.com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72608480002250
JK김동욱, MBC 작심 비판 “수치스러워...그만 퇴장하시길”
가수 JK김동욱이 도쿄올림픽 개회식 중계 과정에서 물의를 일으킨 MBC를 향해 일침을 가했다.
JK김동욱은 26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MBC 로고를 올린 뒤 “MBC는 과거 좋았던 추억들까지 훼손하지 말고 이제 그만 퇴장하시길”이라는 글을 적었다.
이어 “이런 힘든 시국에 나라 위해 싸우는 태극전사들과 열열히 응원하는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망신살 뻗치지 말고 이쯤에서 사라지시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요즘 공중파를 보는 사람이 있나 모르겠지만 한때 대한민국을 대표했던 방송국의 수준이 이 정도였다는 게 정말 부끄럽고 수치스럽다”며 “#누굴위한방송인가#mbc”라는 해시태그를 남겼다.
지난 23일 MBC는 2020 도쿄올림픽 개회식 중계에서 일부 국가를 소개하는 사진에 부적절한 사진을 넣어 논란을 빚었다.
MBC는 우크라이나 선수단 소개란에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진을 넣었다. 우크라이나 키예프주 북쪽에 위치한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는 1986년 4월 26일 제4호기 원자로가 폭발하면서 대규모 피폭 희생자가 발생한 곳이다.
아이티 선수단 입장 때는 ‘대통령 암살로 정국은 안갯속’이라는 자막과 시위 사진을 넣었고, 엘살바도르 선수단 소개 화면에는 비트코인 사진을 넣었다. 엘살바도르는 지난달 세계 최초로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을 자국 법정 통화로 채택해 논란이 됐다.
논란이 불거지자 MBC는 24일 입장문을 내고 문제가 된 사진과 자막에 대해 “개회식에 국가별로 입장하는 선수단을 짧은 시간에 쉽게 소개하려는 의도로 준비했다”며 “하지만 당사국에 대한 배려와 고민이 크게 부족했고 검수 과정도 부실했다. 변명의 여지가 없는 잘못”이라고 사과했다.
박성제 MBC 사장도 26일 기자회견을 열고 “신중하지 못한 방송, 참가국에 대한 배려가 결여된 방송으로 마음에 상처를 입은 해당 국가 국민들과 실망하신 시청자들께 MBC 콘텐츠 최고 책임자로서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2002년 데뷔한 JK김동욱은 2011~2012년 MBC 가수 서바이벌 프로그램 ‘나는 가수다’에 출연했다.
김소정 기자 toystory@chosun.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629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