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飛烏용액a가 삼투압이 5 용액b가 삼투압이 5 이면 물의 이동이 없습니다. 삼투 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둘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이지 용액a는 삼투압이 0이 아닙니다. 용액a는 고유의 삼투압 5를 가집니다. 용액a는 언제나 5이고. 4를 만나거나 6을 만나면 삼투현상이 일어날 것입니다.
진짜 눈물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이비에스나 애들이 듣는 인강 일타강사 설명을 들어봐도 삼투압에대해 비오님이 달아주신 링크의 설명처럼 말해주는 건 없었어요ㅜ 저도 삼투를 농도가 서로 다른 용액이 있을 때 반투과성 막을 기준으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이라고만 알고, 그래서 삼투압이라는 것도 고유의 값일거란 생각은 해보지도 못했어요ㅠ 정말 감사해요 애들한테 비오님이 설명해주신 것처럼 설명해줘도 될까요?ㅠ
@飛烏아... 그리고 정말 죄송한데 이때다 싶어서 또 답답했던 것 하나만 더 여쭤봐도 될까요ㅜㅜ 삼투 가르칠때 바로 앞에 확산을 가르치잖아요.. 여기서도 단순확산이랑 촉진확산에서 이동속도 그래프를 설명할때 전 이해가 안가는데 다들 막단백질이 포화되어 이동속도가 증가하지 않는다고만 말하고 지나가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x축이 농도차인데 촉진확산의 이동속도가 왜 일정해지는건지 모르겠어요.. 예를 들어 a에서 b까지 도보로 10분 걸리는데 오토바이를 이용하면 2분이 걸린다고 했을 때 , 도보이용은 a에서 출발하는 사람수가 아무리 많아도 b에 10분동안 도착하는 사람수는 계속 증가하지만
@飛烏오토바이는 수가 3대로 한정되 있다고 하면 처음 출발하는 사람이 1명~3명일때 까지는 시간내에 도착하는 사람수가 증가하지만 그 후로 4명이 출발하면 오히려 속도가 3/2보다 더 떨어지는 거 아닌가요...그러다 6명이 출발하면 6명/4분 이니까 또 3/2로 속도는 일정해지는거구요.... 미쳤나봐요 오밤중에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지금 무례인줄알지만 쏟아내고 잇어요 죄송해요 정말..
먼저 속도의 개념을 잡아봅시다. 속도는 항상 단위 시간이 기준이 됩니다. 기준 시간 동안 이동한 거리입니다.
반응속도도 같습니다. 기준 시간(단위 시간) 동안 반응 결과물의 양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기준 시간이 없으면 속도의 개념은 무의미합니다. 결과가 10명 이동으로 동일하다고 해서 1초에 10명 이동과 1분에 10명 이동이 같은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단위 시간의 개념은 비교의 준거가 되어주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속도라는 개념이 나오면 단위 시간은 말하지 않아도 기본 전제입니다. (계속...)
오토바이의 비유는 적절해 보이지 않습니다. 세포는 방, 물질은 사람, 물질의 이동에 관여하는 막단백질은 문에 비유하면 좋습니다.
세포(방) 안이 밖보다 농도(사람)가 높은 경우를 예로 들어 봅시다.(반대의 경우도 결론은 같습니다.) 쉽게 밖에는 사람이 0이라고 두면 좋습니다.
문은 1초당 사람이 1명 통과할 수 있습니다.(막단백질의 효소적 특징)
방에 문이 10개 있을 때 방안의 사람이 1명에서 10명일 때까지는 1초당 나가는 사람의 수가 계속 증가합니다. (밖에 사람 0이라고 가정했으므로 안밖의 농도 차이가 증가하고 있는 것.) 그러나 11명인 경우 1초당 통과할 수 있는 사람의 수는 10명입니다. 문이 포화된 것이죠. (계속..)
@飛烏이것은 효소의 초기반응속도 그래프에도 적용됩니다. 그냥 반응속도가 아니라 '초기'반응속도임에 유의해야 합니다. 어떤 생체 반응에서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은 속도 측정이라는 개념에서는 무의미합니다. 오랜 시간 후에는 반응물이 결국 전부 결과물이 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초기'반응속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효소의 농도가 일정할 때 기질의 농도가 증가하면 초기반응속도가 증가하다가 특정 농도이상이 되면 일정해집니다.
@飛烏오토바이 비유도 해석이 틀렸습니다. 2분 동안 오토바이 3대가 3명을 최대로 이동시킵니다. 사람이 4명이라도 오토바이 3대는 2분 동안 3명 밖에 이동시키지 못합니다. 2분이라는 시간 기준 동안 이동시킬 수 있는 사람 수는 정해져 있습니다. 최대값. 포화 수치는 정해진 것입니다. (계속...)
@飛烏아.. 제가 환산을 하는 과정에서 속도가 달라진다고 생각하여 이해가 안갔어요ㅠ 비오님의 예에서 방에 사람이 11명일 경우 1초당 10명이 나가고 나머지 한명은 나가는데 기다렸다가 나가야하니 2초가 걸리는 거니까, 그럼 속도는 11명/2초 이고 이걸 1초당 나가는 사람 수로 환산하면 5.5명이니까 속도가 더 떨어지는거 아닌가 했어요ㅜ 20명일 때는 20명/2초 니까 1초당 나가는 사람수로 환산해도 10명으로 값이 같은데,, 그러니까 20명, 30명, 40명은 다 1초당 10명 이동인건데 11명, 12명 이런식이면 이해가 안되서ㅠㅠ
첫댓글 삼투압을 기압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편하실것같습니다. 기압 차이에 의해 공기가 이동하듯이 삼투압 차이에 의해 물이 이동하는것이기 때문에 등장액에선 삼투압이 같아 차이가 0일 뿐 고유의 삼투압 값을 가진다고 봐야할것같습니다
아... 그럼 고유한 삼투압 값이라는 것은 뭘 기준으로 정해지는거에요? 예를 들면 순수한 물이랑 세포를 두고 물이 유입되면서 세포막을 미는 힘이 그 세포의 삼투압이 되는건가요? ㅠ
@마크 이상기체방정식 비슷한 삼투압 공식이 존재합니다. 세포내액의 삼투압이 세포의 삼투압이 되겠죠
@마크 세포 삼투압은 증류수에서 측정합니다.
증류수가 삼투압이 0입니다.
용질을 가지는 용액은 모두 삼투압을 가집니다.
세포의 등장액도 삼투압이 있습니다.
세포와 등장액의 삼투압이 같은 것, 둘 값에 즉 차이가 없는 것을 '삼투압이 0'이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두 용액의 '삼투압의 차이가 0'이 라서 겉보기 물의 이동이 없습니다.
@飛烏 용액a가 삼투압이 5
용액b가 삼투압이 5
이면 물의 이동이 없습니다. 삼투 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둘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이지
용액a는 삼투압이 0이 아닙니다.
용액a는 고유의 삼투압 5를 가집니다.
용액a는 언제나 5이고.
4를 만나거나 6을 만나면 삼투현상이 일어날 것입니다.
삼투압은 물질의 고유값입니다.
삼투압의 의미
http://m.cafe.daum.net/S2000/bS7/10612
진짜 눈물날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이비에스나 애들이 듣는 인강 일타강사 설명을 들어봐도 삼투압에대해 비오님이 달아주신 링크의 설명처럼 말해주는 건 없었어요ㅜ 저도 삼투를 농도가 서로 다른 용액이 있을 때 반투과성 막을 기준으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이라고만 알고, 그래서 삼투압이라는 것도 고유의 값일거란 생각은 해보지도 못했어요ㅠ 정말 감사해요 애들한테 비오님이 설명해주신 것처럼 설명해줘도 될까요?ㅠ
@마크 그럼요 그럼요
@飛烏 근데 왜 이비에스나 일타강사나 이렇게 설명하지 않는걸까요... 교육과정을 넘어서는 개념이 되어서 그런걸까요??? 진짜 명쾌한 설명이고, 고유값이라고하니 모든 퍼즐 맞춰지는 기분인데!!!!
@飛烏 아... 그리고 정말 죄송한데 이때다 싶어서 또 답답했던 것 하나만 더 여쭤봐도 될까요ㅜㅜ 삼투 가르칠때 바로 앞에 확산을 가르치잖아요.. 여기서도 단순확산이랑 촉진확산에서 이동속도 그래프를 설명할때 전 이해가 안가는데 다들 막단백질이 포화되어 이동속도가 증가하지 않는다고만 말하고 지나가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x축이 농도차인데 촉진확산의 이동속도가 왜 일정해지는건지 모르겠어요.. 예를 들어 a에서 b까지 도보로 10분 걸리는데 오토바이를 이용하면 2분이 걸린다고 했을 때 , 도보이용은 a에서 출발하는 사람수가 아무리 많아도 b에 10분동안 도착하는 사람수는 계속 증가하지만
@飛烏 오토바이는 수가 3대로 한정되 있다고 하면 처음 출발하는 사람이 1명~3명일때 까지는 시간내에 도착하는 사람수가 증가하지만 그 후로 4명이 출발하면 오히려 속도가 3/2보다 더 떨어지는 거 아닌가요...그러다 6명이 출발하면 6명/4분 이니까 또 3/2로 속도는 일정해지는거구요.... 미쳤나봐요 오밤중에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지금 무례인줄알지만 쏟아내고 잇어요 죄송해요 정말..
촉진확산 포화에 대해서 답변드릴게요.
길어서 여러 개의 댓글을 달 것 같으니 중간에 끊지 마시고 조금 기다려주세요.
먼저 속도의 개념을 잡아봅시다.
속도는 항상 단위 시간이 기준이 됩니다.
기준 시간 동안 이동한 거리입니다.
반응속도도 같습니다.
기준 시간(단위 시간) 동안 반응 결과물의 양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기준 시간이 없으면 속도의 개념은 무의미합니다.
결과가 10명 이동으로 동일하다고 해서
1초에 10명 이동과 1분에 10명 이동이 같은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단위 시간의 개념은 비교의 준거가 되어주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속도라는 개념이 나오면 단위 시간은 말하지 않아도 기본 전제입니다.
(계속...)
오토바이의 비유는 적절해 보이지 않습니다.
세포는 방,
물질은 사람,
물질의 이동에 관여하는 막단백질은 문에 비유하면 좋습니다.
세포(방) 안이 밖보다 농도(사람)가 높은 경우를 예로 들어 봅시다.(반대의 경우도 결론은 같습니다.)
쉽게 밖에는 사람이 0이라고 두면 좋습니다.
문은 1초당 사람이 1명 통과할 수 있습니다.(막단백질의 효소적 특징)
방에 문이 10개 있을 때
방안의 사람이 1명에서 10명일 때까지는 1초당 나가는 사람의 수가 계속 증가합니다.
(밖에 사람 0이라고 가정했으므로 안밖의 농도 차이가 증가하고 있는 것.)
그러나 11명인 경우 1초당 통과할 수 있는 사람의 수는 10명입니다. 문이 포화된 것이죠.
(계속..)
@飛烏 시간 기준이 없으면 결과는 무의미합니다.
비교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위의 문의 비유에서는 1초를 기준으로 했습니다.
2초를 기준으로 해도 마찬가지입니다.
1초 기준일 때보다 더 많은 사람이 통과하겠지만
2초에도 최대로 이동하는 값, 포화값이 존재합니다. 그 값은 1초 때보다 크겠지만 포화된다는 사실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계속...)
@飛烏 이것은 효소의 초기반응속도 그래프에도 적용됩니다.
그냥 반응속도가 아니라 '초기'반응속도임에 유의해야 합니다.
어떤 생체 반응에서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은 속도 측정이라는 개념에서는 무의미합니다.
오랜 시간 후에는 반응물이 결국 전부 결과물이 되기 때문이죠.
그래서 '초기'반응속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효소의 농도가 일정할 때 기질의 농도가 증가하면 초기반응속도가 증가하다가 특정 농도이상이 되면 일정해집니다.
이와 같은 효소적 특징은 물질의 이동에 관여하는 막단백질에도 적용됩니다.
(계속...)
@飛烏 오토바이 비유도 해석이 틀렸습니다.
2분 동안 오토바이 3대가 3명을 최대로 이동시킵니다.
사람이 4명이라도
오토바이 3대는 2분 동안 3명 밖에 이동시키지 못합니다.
2분이라는 시간 기준 동안 이동시킬 수 있는 사람 수는 정해져 있습니다.
최대값. 포화 수치는 정해진 것입니다.
(계속...)
@飛烏 채널의 포화에 대한 관련 질문
http://cafe.daum.net/S2000/bS7/13224
관련 질문입니다.
참고해 보셔요.
궁금증이 해결되셨는지 모르겠네요.
(끝)
@飛烏 아.. 제가 환산을 하는 과정에서 속도가 달라진다고 생각하여 이해가 안갔어요ㅠ 비오님의 예에서 방에 사람이 11명일 경우 1초당 10명이 나가고 나머지 한명은 나가는데 기다렸다가 나가야하니 2초가 걸리는 거니까, 그럼 속도는 11명/2초 이고 이걸 1초당 나가는 사람 수로 환산하면 5.5명이니까 속도가 더 떨어지는거 아닌가 했어요ㅜ 20명일 때는 20명/2초 니까 1초당 나가는 사람수로 환산해도 10명으로 값이 같은데,, 그러니까 20명, 30명, 40명은 다 1초당 10명 이동인건데 11명, 12명 이런식이면 이해가 안되서ㅠㅠ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04.18 01:07
@마크 우앙. 속도 해석 방법이 저에게는 너무 생소해요^^;
반응 속도는 단위 시간당 반응물의 양(또는 생성물의 양)입니다.
정의를 생각하면 문제가 명료해집니다.
(질문) 쌤 만약에 13명이 방에서 나가면 1초당 이동 수는 10명이 안되는대요? 라고 물어보면 어떻게 답해야할까요ㅠ
(답변) 질문 자체가 잘못 되었어요.
제가 애초에 1개의 문은 1초에 1명만 통과시킨다는 전제를 깔았어요.
그 문(막단백질이나 효소)이 가지는 고유 특징입니다.
전제를 무시한 질문입니다.
만약 문이 1초당 13명 이동시키는 문이라는 전제였다면 답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더 큰 포화값은 가지겠네요.
실제로 막단백질들은 그들의 능력이 다르기에 각기 다른 포화값을 가집니다.
이동 속도가 다른 채널의 포화 그래프 예
A와 B는 촉진 확산
C는 단순 확산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04.18 01:32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04.18 01:3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04.18 01:40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04.18 01:53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04.18 01:56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04.18 02:05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04.18 02:09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0.04.18 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