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ㄱ에서 색지수가 작을수록 성간소광이 크다는 풀이가 있는데 성간 소광 = 3 * E(B - V)로 하면 색지수가 클수록 성간소광이 크다는 것인데 어떤 풀이가 맞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첫댓글 성간소광의 총량이란 말이 애매합니다.
1.086xnx산란면적x거리
의 모든 파장대를 적분한 것이냐,
아니면 F=Fo x exp(-타우) 에서 F와 Fo의 차이값을 적분한 것이냐.
전자의 경우, 성간물질의 특성에만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별의 분광형과 무관하게 일정합니다.
후자의 경우, 도달하는 플럭스양은 주계열끼리만 고려하면 같은 거리일 경우 분광형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분광형에 따라 다른 값이 나올 것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색 색도가 제시되어있기 때문에 전자의 의미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색색도에서 성간적색화는 전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적색화 정도를 의미하는 색초과는 분광형에 무관하게 동일할 거 같아요.
확실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