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덴마크의 ESG 교육정책 현황
작성자윤은지(덴마크통신원)발행일2025.03.26
덴마크의 ESG 교육정책 현황
지속가능성은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화두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교육 분야에서는 ESG(환경, 사회, 거버넌스) 원칙을 반영한 정책이 강조되고 있다. 덴마크는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기반으로 교육 개혁을 추진하며, 전 교육 과정에 지속가능성을 포함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덴마크의 ESG 교육정책 동향을 살펴보고, 각 교육 단계에서의 정책 목표와 실행 사례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교육의 방향성과 과제를 탐구하고자 한다.
1. ESG와 교육정책 현황 및 특징
가. ESG 교육정책 동향
덴마크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ESG 원칙을 중시하며,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는 미래 세대가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련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덴마크는 2015년 UN에서 채택된 17개 SDGs를 국가 정책의 핵심 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건강과 복지, 양질의 교육, 지속가능한 에너지, 평화와 정의 분야에서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책임 있는 소비 및 기후 변화 대응 측면에서는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30년까지 CO₂ 배출량을 1990년 대비 7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였다(Finansministeriet, 2021). 이러한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해 교육 분야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덴마크의 지속가능교육은 다른 북유럽 국가나 EU 국가들에 비해 아직 체계적으로 통합되지 못한 상태이다. 2021년 북유럽 국가들의 지속가능교육 현황을 분석한 노르딕 의회 보고서(Nordic Council Report)에 따르면, 덴마크는 노르웨이와 핀란드보다 지속가능교육의 체계적 실행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Uddannelses-partnerskaber for UBU, 2022).
이에 따라, 덴마크 정부는 2030년까지 모든 교육과정에 지속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법적 및 행정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ESG 교육정책이 개별 교육기관의 자발적인 노력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 법적·행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나. ESG 교육정책의 주요 내용 및 목표
덴마크 정부는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교육 시스템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2022년 발표된 ‘지속가능교육 국가 전략(På vej mod uddannelser for bæredygtig udvikling)’은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전 교육과정에 지속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 개편뿐만 아니라 학교 운영, 교육기관의 행정 시스템, 지역사회와의 협력 등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접근 방식이 강조되고 있다(Uddannelses-partnerskaber for UBU, 2022).
특히, ‘지속가능한 교육(Uddannelse for Bæredygtig Udvikling, UBU)’은 학생들이 기후 변화 대응, 책임 있는 소비, 환경 보호 등의 주제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비판적 사고를 통해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찾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덴마크 정부는 2022년 3월부터 8개의 교육 파트너십을 구성하여, 공동 비전 아래 지속가능교육을 실질적으로 적용할 방안을 연구하고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Uddannelses-partnerskaber for UBU, 2022).
<표 1> 덴마크 정부가 지속가능한 교육(UBU)을 위해 구성한 교육기관 및 담당자 정보
교육기관파트너십 담당자소속 및 직급
영유아 보육시설
(Dagtilbud)난나 요르트 요옌슨
(Nanna Jordt Jørgensen)코펜하겐 전문대학(Københavns Professionshøjskole)
부교수 및 지속가능한 교육을 위한 교육 박사초중학교
(Grundskole)도르트 랑의
(Dorte Lange)덴마크 교사협회(Danmarks Lærerforening)
부회장직업학교
(Erhvervsuddannelser og FGU)니나 올슨
(Nina Olsen)덴마크 직업 및 고등학교 협회(Danske Erhvervsskoler og -Gymnasier)
부대표고등학교
(Gymnasiale uddannelser)비기르 베스트마크
(Birgitte Vestermark)덴마크 고등학교 협회(Danske Gymnasier)
컨설턴트전문대학
(Korte- og Mellemlange Videregående uddannelser)예페 키엘 크리스텐슨
(Jeppe Kiel Christensen)비아 대학교(VIA University College)
박사 및 연구 책임자대학 및 대학원
(Lange Videregående Uddannelser)야콥 블라시우스
(Jacob Blasius)덴마크 대학교 학생회(Danske Studerendes Fællesråd) 집행위원 및 녹색청년운동(Den Grønne Ungdomsbevægelse)
활동가성인 및 평생교육
(Voksen- og Efteruddannelse)미켈 룬느-라슨
(Michael Lund-Larsen)E러닝을 위한 국가지식센터(Det nationale Videncenter for e-læring) E지식센터(eVidenCenter)
센터장시민교육
(Folkeoplysning)엘리자베스 게르너 닐슨
(Elsebeth Gerner Nielsen)덴마크 유네스코 국가위원회(Den Danske UNESCONationalkommission)
위원장* 출처: Uddannelses-partnerskaber for UBU(2022).
이 8개의 교육 파트너십은 개방성, 창의성, 혁신을 기반으로 각 교육기관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확대하는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대규모 파트너십 교류를 통해 교육 부문 간 협력, 경험 공유, 정책 제안이 촉진되며, 보다 체계적인 접근 방식 아래에서 유연한 교류와 운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위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각 교육기관별로 지정된 파트너십 대표자들로 위원회가 구성되었으며, 이 위원회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회와 도전 과제를 논의하고 교육 분야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총 5회의 회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당시 각 교육기관이 설정한 지속가능교육 목표와 제안된 정책 방향은 아래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다(Uddannelses-partnerskaber for UBU, 2022).
<표 2> 지속가능한 교육을 위한 각 교육기관별 파트너십의 비전과 목표
교육기관비전 및 목표주요 제안
영유아 보육시설
(Dagtilbud)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육과 운영에서 지속가능성을 중요한 요소로 포함 - 지속가능성을 유치원, 어린이집 교육 및 운영에 포함
- 지속가능성 관련 교사 훈련 및 교육 강화
-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지속가능교육 촉진
- 정책 및 지자체 지원을 통한 지속가능한 교육 환경 구축초중학교
(Grundskole)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시민 양성, 모든 학생이 지속가능성에 대한 능동적이고 비판적인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 - 지속가능한 교육을 촉진하는 지역사회 및 학교 사례 수집·확산
- 지속가능한 교육을 위한 정책 개발 및 교육과정 통합
- 교사 교육 및 훈련 강화, 지속가능한 개발을 교육과정에 포함하기 위한 방안 모색직업학교
(Erhvervsuddannelser og FGU)학생들이 지속가능한 행동을 통해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실습 기반 교육을 제공 - 지속가능성을 직업학교 운영 및 목표에 필수적으로 포함
- 교사 및 훈련 담당자를 대상으로 지속가능교육 실시
- 기업과 협력하여 실습 과정에서 지속가능성을 실현할 기회 제공고등학교
(Gymnasiale uddannelser)미래의 시민 및 소비자로서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구상할 수 있도록 교육하며, 비판적 사고와 행동 능력을 배양 - 교육 목표에 지속가능성을 반영하여 관련 과목 및 수행평가 과제 개편
- 학교 운영에 지속가능한 관리 방법 도입 촉진 및 재정 지원
- 교사 및 교장의 역량 강화, 지속가능한 교육 방법 개선을 위한 추가 교육 제공전문대학
(Korte- og Mellemlange Videregående uddannelser)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문대학의 역할 강화, 관련 연구 및 교육 확대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연구 및 교육 강화
-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
- 국회 및 교육부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교육을 위한 예산 확보
- 교육과정 내 지속가능성 개념 통합을 위한 정책 제안대학 및 대학원
(Lange Videregående Uddannelser)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 및 연구 강화, 학문 간 협력을 통해 복잡한 사회 문제 해결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연구 및 교육 강화
- 학문 간 협력 및 융합을 통해 혁신적인 해결책 제시
- 지속가능한 교육을 위한 학문적 및 법적 환경 개선
-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에서 지속가능성을 핵심 요소로 반영
- 직업적 교육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 및 지원성인 및 평생교육
(Voksen- og Efteruddannelse)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성인 및 평생교육을 통해 사회 전반의 지속가능성 역량 강화 - 성인 교육과 평생교육을 통해 지속가능한 기술 및 지식 강화
- 교육과 실습을 결합한 학습 모델 개발
- 교육 기관, 기업, 정부 간 협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개발 프로그램 운영
-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최신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학습 플랫폼 구축시민교육
(Folkeoplysning)지속가능한 사회로 변화하기 위한 지식과 역량 공유, 시민들의 지속가능한 행동 촉진 - 지속가능성에 대한 교육과 정보 제공
- 지속가능한 사회로 변화하기 위한 시민들의 인식 증진* 출처: Uddannelses-partnerskaber for UBU(2022).
다. ESG 교육정책 실행 사례: 교육 현장에서의 ESG 적용 사례 및 교육 프로그램 및 운영 방식
1) 녹색 요리 교육을 통한 지속가능한 식문화 정착
덴마크의 호텔 및 레스토랑 학교(Hotel- og Restaurantskolen)는 ESG 원칙을 반영하여 지속가능한 식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 특히, 2024년 8월부터 시작된 ‘녹색 요리아트 장인(Grøn Madhåndværker)’은 기존의 전통적인 요리 교육과 차별화된 식물성 중심 요리 교육을 제공하며,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교육 혁신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녹색 요리아트 장인 교육 프로그램은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학생들이 채식 및 비건 요리를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를 통해, 덴마크 국민들의 높은 육류 소비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식습관을 장려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실제로 덴마크의 평균 탄소 배출량은 1인당 13톤으로, 이는 파리 협약이 제시한 목표(1인당 3톤)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따라서 육류 중심 식단에서 채식 중심 식단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며, 이를 실현하는 데 교육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제철 채소 활용법, 발효 기법 등 지속가능한 조리법을 익히도록 운영되고 있다. 또한, 졸업 후 레스토랑, 병원, 학교, 기업 내 구내식당 등에서 근무하면서 친환경적인 식문화를 확산할 수 있도록 실무 중심 교육을 제공한다. 덴마크에서는 매일 100만 명 이상의 인구가 구내식당에서 식사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교육을 받은 인력의 사회적 영향력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덴마크의 녹색 요리아트 장인 교육 프로그램은 단순한 요리 교육을 넘어, 환경 보호와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중요한 ESG 실천 사례로 평가된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식문화를 정착시키고, 나아가 미래 세대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Uddannelses-partnerskaber for UBU, 2024).
2) 마인크래프트(Minecraft)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교육 프로젝트
덴마크의 코펜하겐 미디어고등학교(Københavns Mediegymnasium)는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교육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개념을 보다 실질적이고 흥미롭게 전달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특히 초등학교 및 중학교 학생들이 게임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마인크래프트는 전 세계적으로 1억 명 이상의 월간 이용자를 보유한 인기 게임으로, 사용자가 직접 가상세계를 구축하고 탐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학생들이 게임 내에서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다양한 테마의 온라인 워크숍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학생들은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하여 탈출 게임을 기반으로 한 학습 활동을 진행하거나, 멸종 위기 동물 보호 구역을 조성하고, 재생 가능 에너지를 활용한 미래 도시를 설계하는 등의 활동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초·중학생들이 지속가능발전과 환경 보호 개념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원래 오프라인 행사로 진행될 예정이었던 이 프로젝트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가상 공간에서 지속가능성 관련 개념을 실험하고 창의적으로 적용하는 새로운 학습 방식을 경험하게 되었다. 특히,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지속가능교육 프로젝트는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참여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되고 있다.
2. 맺음말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덴마크의 ESG 교육정책은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중심으로 한 국가적 노력의 일환으로, 전 교육과정에 지속가능성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덴마크 정부는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반영하여 교육정책을 추진하며, 영유아 보육부터 대학, 성인 교육까지 모든 교육 단계에서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거버넌스를 고려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교육기관별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대표자를 구성하여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ESG 교육 프로그램 실행 사례를 통해 학생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지속가능성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교육 프로그램이 종료되거나 졸업 후에도 사회에서 지속가능성을 실천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덴마크 정부는 각 교육기관 간 협력을 더욱 강화하여 지속가능교육을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방향으로 ESG 교육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고자 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자료
- Finansministeriet. (2021). Handlingsplan for FN's Verdensmål. https://fm.dk/media/zk4ncck0/handlingsplan-for-fns-verdensmaal_web_a.pdf (2025. 3. 17. 인출)
- Uddannelses-partnerskaber for UBU. (2022). På vej mod uddannelser for bæredygtig udvikling. https://verdensmaalene.cdn.prismic.io/verdensmaalene/0f0df43a-2e4a-463e-bc4d-5af1330bf793_UBU_rapport_sept22.pdf (2025. 3. 17. 인출)
- Uddannelses-partnerskaber for UBU. (2024. 9. 1). Nye plantebaserede boller på suppen: Ny grøn uddannelse skal hjælpe danskerne med at ændre spisevaner. https://ubu.nu/nyheder/nye-plantebaserede-boller-paa-suppen-ny-groen-uddannelse-skal-hjaelpe-danskerne-med-at-aendre-spisevaner/ (2025. 3. 17. 인출)
- Uddannelses-partnerskaber for UBU. (2020. 6. 4). Gymnasieelever bruger computerspil til undervisning i Verdensmål. https://ubu.nu/nyheder/gymnasieelever-bruger-computerspil-til-undervisning-i-verdensmaal/ (2025. 3. 17. 인출)
본 자료는 해외통신원의 시각으로 작성된 것으로
한국교육개발원 및 교육정책네트워크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록
본 저작물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