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순종의 둥근완두와 순종의 주름진 완두를 예로들면
순종의 둥근완두의 유전자형은 RR로 동형접합
잡종의 주름진완두는 유전자형이 rr로 동형접합.
잡종인 완두의 유전자형은 Rr로 이형접합이므로
유전자형이 동형접합이면 무조건 순종이고 그 역도 성립하고
유전자형이 이형접합이면 무조건 잡종이고 그 역도 성립하잖아요.
<질문>
순종과 동형접합이 동의어,
잡종과 이형접합이 동의어아닌가요?
사실상 같은말 아닌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사람같이 고등생물의 경우
유전인자 한쌍으로만 형질이 결정되지 않기때문에
동의어가 성립되지 않는것인지요.
(생물전공도 아니고 중학교 멘델부분 수업준비하다 궁금해서요)
항상 질문올리는데 감사합니다.
첫댓글
위 설명을 읽다보면 `잡종2대에서 헤테로(이형접합)와 호모(동형접합)이 다 나온다` 라는 말로 봐선 잡종=이형접합의 개념은 아닌것 같아요. 그런데 저도 여러해 전 중학교에서 멘델의법칙 할땐 이형접합이 잡종이라고 가르쳤었네요ㅠ
위 설명을 읽어보면 같은 표현인거 같네요
순종이란 자가수분해서 계속 같은형질만 나올때니까요
같은 의미로 사용되긴 하는데 어감상 학생들에게 오개념을 심어줄 수 있어요. 순종과 잡종이라고 하면 순종은 순수한 혈통 같고 잡종은 잡다한?혈통 같잖아요. 그래서 예전 교육과정에서는 헤테로, 호모, 순종, 잡종 이런거 다 섞어서 썼는데 지금은 잘 안쓰죠. 저도 수업하다가 이형접합, 동형접합이 익숙하지 않아서 순종, 잡종 쓰는데 사실 별로 좋은 표현은 아닌것 같아요
같은 의미가 맞군요!
어감상도 그렇지만 우리의 편견인거도 있는거 같아요
진화도 그렇고
우성 열성도 그렇고
그렇지 않다고 가르쳐주는게 우리 역할이기도 한거 같아요
@서울 물리 맞아요. 그것이 우리의 역할인 것 같습니다^^
같은 말입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답변 정말 잘달아주셔서 도움이 많이 돼요!
AA 우성 동형접합. 순종
Aa 이형접합. 잡종.
aa 열성 동형접합. 순종
순종에 2종류가 있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