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여기서 라이먼흡수 계열의 계열한계가 어떻게 나오는 건지 알 수 있을까요??(아니면.. 몰라도 되는걸까요..?ㅎ)
그리고 제가 이 부분을 제대로 이해한건지 궁금한데, 계열한계인 91.6nm이 (수소의 바닥상태 전자의 이온화 에너지인) 13.6ev를 바닥상태의 전자에게 줄 수 있는 광자의 최대 파장이고 이것보다 짧은 파장에서는 광자의 에너지가 더 크니까 전자를 충분히 이온화시킬 수 있어 라이먼 연속흡수스펙트럼을 만든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그러면 왜 계열한계에서는 그 연속흡수스펙트럼을 볼 수 없는 것일까요?
뭔가 잘 못 이해한 것 같기도하고 잘 모르겠는 부분이라 질문 올려봅니다ㅎㅎ
요부분 다른 선생님들께서는 어떻게 이해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첫댓글 계열한계는 그 계열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으로, 그 계열 한계를 넘어간 더 짧은 파장을 흡수하면 다른 계열의 흡수선을 만들게 됩니다. (예를 들어 발머 계열 한계보다 더 짧은 파장을 흡수하면 라이먼 계열이 되고, 라이먼 계열의 계열 한계인 91.2nm보다 짧은 파장을 흡수하면 이온화 되는 것처럼요)
따라서 “계열한계인 91.6nm이 (수소의 바닥상태 전자의 이온화 에너지인) 13.6ev를 바닥상태의 전자에게 줄 수 있는 광자의 최대 파장이고 이것보다 짧은 파장에서는 광자의 에너지가 더 크니까 전자를 충분히 이온화시킬 수 있어 라이먼 연속흡수스펙트럼을 만든다는 것” 으로 이해하신 건 맞습니다.
연속 흡수 스펙트럼은 계열 한계보다 더 짧은 파장을 흡수해 이온화 될 때 만드는 스펙트럼이기 때문에 계열한계보다 짧은 파장을 흡수해야 볼 수 있고, 계열한계 보다 큰 파장은 들뜨거나 되가라앉음에 의한 방출·흡수 스펙트럼만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저도 스스로 이해한거라 오류가 있다면 같이 얘기해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