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과학개론 p209를 보면 브로킹 현상이
"편서풍이 정상적으로 흐르지 못하고 남북으로 크게 사행하는 구조를 유지한 채 일주일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말한다"
"블로킹이 지속되는 동안에는 준정상적인 블로킹 고기압이 편서풍의 흐름을 가로막고 있어서, 고기압과 저기압의 이동경로도 정상상태와는 달리 크게 바뀌게 된다"
편서풍이 파동처럼 흐르는 상태를 블로킹이라고 해석되는데요.
그런데 블로킹현상이 절리저기압이나 절리고기압과 관련된다고 들어서요.
혹시 관련된다면 제 생각인데
블로킹 현상이 절리고기압에 의해 가로막혀 사행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편서풍이 블로킹 현상 때문에 파동처럼 흐르다가 생긴 고기압이나 저기압(회전수조 실험에서 파동의 소용돌이처럼)을 절리고기압, 절리저기압이라 하는 것인가요??
아시는 분 답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첫댓글 저 몰라서 묻는데용..절리저기압, 절리고기압이 모래요..ㅡㅡ;; 편서풍이 파동처럼 흐르는 상태가 블로킹은 아닙니다. 파동으로 나타나는 것은 와도나 지형 등으로 인한 나타나는 것이고요..블로킹이 파동처럼 흐르는 상태를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블로킹 현상은 편스풍이 키큰고기압 같은 것으로 인해 원래 진행해야 할 방향으로 가지 못하고 돌아가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근데 그러한 블로킹을 일으키는 원인이 키큰고기압으로 책에 나온걸로 알고 잇습니다..^^
답변 고맙습니다.^^ 전 편서풍 파동처럼 비슷하게 생각하고 있었거든요.단지 사행하는 구조뿐인가 보네요. 절리고기압은 일반기상학 책에서 보면(지금 몇쪽인지는 생각안나구요) 고기압이 분리되는 거거든요. 회전수조 실험에서 파동이 생기면서 외측과 내측벽에 소용돌이 처럼 생기는 것이 절리 기압이나 절리 저기압
과 비슷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해양에서는 해류가 사행하면서 난핵와동과 냉핵와동 생기잖아요. 그것이 고기압과 저기압과 비슷하구요.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아..찾아봐야겠네요..감사요~^^ 열공하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