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대학생들 사이에 ‘합승문화’ 대거 출현, 이에 택시기사들의 승차거부 多
춘천시 택시요금 6년 만에 인상
기본요금 2천800원에서 3천300원
요금은 오르지만, 변화 없는 서비스 상태에 시민들 불만 표출
전국적으로 택시비가
인상되는 가운데 강원 춘천시 택시요금도 6년 만에 인상됐지만, 변화
없는 승객 서비스 상태에 시민들은 불만과 가격 부담을 표출하고 있으며, 학생들 사이에는 ‘합승 문화’가 증가하고 있다.
강원도소비자정책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춘천시는 저번 달 19일부터 개인택시와 일반택시의 기본요금을 2천800원에서 3300원으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거리 요금은 152m 당 100원에서 133m 당 100원이며, 시간 요금은 40초당 100원에서
33초당 100원으로 변경됐다.
택시비 인상으로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합승
문화’가 대거 출현하고 있다. 택시비를 조금이라도 나눠 내기
위해 사전에 타인과 연락하여 합승자를 구하는 것이다.

<택시요금 인상으로 인해 최근 대학 게시판(Evert time)에서 합승자를 찾는 글들의 급증 모습>
한림 미디어랩 The H’가 조사 한 결과 최근 택시비 인상으로 인해 교통비 부담을 느끼는 많은 대학생들이 대학 게시판을 이용해
합승자를 찾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심지어”택시 같이
탈 사람’이라는 개별적인 게시판이 만들어질 정도이다. 김정은(24 대학생) 씨는 “지갑이
얇은 대학생들인데 택시비가 올라 너무 부담스러워 합승자를 찾는 일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동승자 관계 의심 승차거부 현황>
“억지 승차 거부를
당한적이 있다”고 응답한 수는 무려 약 20%에 달했다. 경춘선을 이용해 통학을 하는 장재헌(24 대학생)씨는 “최근에 합승을 많이 하는데 택시 기사분들이 합승자와 나의 관계를
의심하며, 사전에 연락된 합승인 것 같으면 승차 거부를 한다”고
전했다. “합승 관계 의심 승차 거부”에 대한 인터뷰에서
택시 기사들은 답변을 회피하거나 “강원도는 다른 지역보다 요금이 덜 올랐는데 뭐가 문제냐”고 난색을 표했다.
춘천시민들의 택시
승객 서비스에 대한 불만은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다. 그런 와중에 “합승
관계 의심 승차 거부”가 추가적으로 새롭게 등장한 것이다. 그렇다면
과거에는 무슨 불만 사례가 있었을까? <’한림 미디어랩 The
H’>은 간이 설문을 통해 지금까지 발견된 다양한 시민들의 택시 승객 서비스 불만 사례와 택시 서비스 만족 현황을 조사했다.

<춘천내
주 이용 대중교통수단 현황>
“춘천에서 주로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택시’라고 답변한 응답비율은 절반 이상인 약 60%이며, 뒤를 이어 버스 이용 비율은 39.4%였다.

<택시비
인상 이후 서비스 불만족 조사>
동시에 “택시비 인상 이후 승객 서비스에 대해 불만을 가진 적 있었나요?”라는
질문에서 “매우 많다’라는 답변도 81%를 육박했다. 시민들이 택시 승객 서비스에 불만을 표시하는 이유는
이렇다.

<택시
승객서비스 불만 사례>
가장 많은 답변은 “길을 일부로 멀리 돌아간다”와 “불친절하다”였으며, 그중에서도 “합승하는
인원이 친구가 아닌 것 같으면 승차를 거부한다”라는 답변이 눈길을 끈다.
춘천 시청 교통과 담당 한 모씨는 “시민들의 택시 불만족
민원이 접수되면, 기사 개인이나 해당 소속 회사에 1차 경고를
한 뒤 동일한 민원이 접수될 경우, 벌금이나 운행 정지등의 강력한 처벌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택시
불만 민원신고 방법으로는 택시 번호, 승, 하차 위치, 결제방법을 춘천시 교통과에 전달하면 된다”고 전하면서 택시 기사들의
부족한 서비스 의식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시민 김지연(29 교사)씨는 “사실 서비스 불량 택시 처벌이 잘 진행되고 있는지 의문이며, 시의 적절한 행정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웅 대학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