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안 59개나 같이 냈는데… 민주당 "윤미향, 우리 당 소속 아니다" 뒷짐
국민의힘-정의당 '횡령 혐의' 윤미향 제명 추진… 민주당 시간 끌기
與 이소영, 기자들 만나 "당 활동 활발히 했다는 건 근거 없어"
윤미향, 제명 이후 4달간 與 법안 공동발의자로 59건 이름 올려
국민의힘과 정의당이 횡령 혐의를 받는 윤미향 무소속 의원의 국회 제명을 주장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은 "우리 당 소속이 아니다"라며 선 긋기에 나섰다. 윤 의원이 민주당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는 증거가 없다는 것이다.
윤 의원은 그러나 민주당에서 제명된 이후 민주당 소속 의원이 발의한 59개 법안에 공동발의자로 참여했다.
"윤미향 제명, 사실관계 확정이 먼저"
이소영 민주당 대변인은 8일 당 최고위원회의 직후 "윤 의원은 민주당 소속이 아니고 당 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는 것도 근거가 없는 것으로 안다"며 "공소장 내용 기준으로 보도가 된 것인데, 윤 의원은 당원이 아니지만 당사자가 (사실관계를) 다투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확정적인 사실관계를 기초로 제명 절차를 진행하려면 조금 더 확정 절차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사실상 법원의 확정판결이 있어야 제명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셈이다.
민주당의 이 같은 반응은 윤 의원의 해명과 별반 다르지 않다. 윤 의원은 지난 6일 낸 성명에서 "검찰의 공소사실을 확정된 범죄로 치부하며 인신공격을 서슴지 않는 보도에 강력히 항의한다"며 "재판을 통해 성실히 소명해 나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의당도 "민주당 책임, 윤미향 사퇴하라"
앞서 국민의힘 전주혜 의원이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윤 의원 공소장의 범죄 일람에 따르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대표와 그 후신인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을 지낸 윤 의원은 후원금 1억37만원을 217차례에 걸쳐 사용했다.
국민의힘은 지난 6일 이 같은 사실을 근거로 국회 의안과에 '윤미향 의원 제명 촉구 결의안'을 제출했다. 정의당도 이에 동조하고 나섰다.
강민진 청년정의당 대표는 "위안부 정의구현과 피해 할머니 지원에 쓰일 것이라 생각하고 후원금을 보낸 시민들에 대한 배임이자 범죄행위"라며 "윤 의원이 의원직을 유지하도록 비호해온 민주당의 책임을 묻는다. 윤 의원은 더 이상 의원직을 유지해서는 안 되며 사퇴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민주당이 "우리 당 소속이 아니다"라며 선을 긋고 나섰지만, 윤 의원은 민주당과 함께 적극적으로 의정활동 중이다. 8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윤 의원은 민주당에서 제명된 6월22일 이후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발의한 법안 59개에 공동발의자로 이름을 올렸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1/10/08/2021100800111.html
"윤미향·민주당 위장 이혼"..원희룡 측, 의원직 박탈 촉구
■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사적 사용혐의로 재판 중
[제주=좌승훈 기자] 국민의힘 대선 경선 '4강'에 오른 원희룡 전 제주지사 측은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사적 사용 혐의로 재판 중인 윤미향 무소속 의원의 의원직 박탈을 촉구했다.
원 전 지사 원팀 캠프의 박기녕 대변인은 윤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의 출당 조치로 무소속이지만, 민주당 최대 의원 모임인 '경제민주화와 평화통일을 위한 국민연대(민평련)'에서 활동하는 모습이 포착되자 "위장 이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민평련은 당내 최대 계파로 꼽힌다. 윤 의원 보좌진들도 최근까지 상임위 민주당 소속 보좌진들로 구성된 SNS에서 활동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윤 의원은 민주당에서 제명된 6월22일 이후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발의한 법안 59개에 공동발의자로 이름을 올렸다.
박 대변인은 이에 대해 "민주당은 위안부 피해자 후원금 횡령 혐의 등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는 윤미향 의원 제명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며, 사실상 윤미향 감싸기를 하고 있다"며 “이는 민주당이 대한민국 최고의 '위선정당'임을 스스로 드러낸 것이며 여당으로서의 자격이 없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어 "민주당은 낯부끄러운 범죄 의혹을 받아 기소된 윤미향 의원을 즉각 제명하는 것이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원 전 지사 측은 지난 5일에도 윤 의원의 위안부 관련 단체 활동 시절 후원금 횡령 혐의 재판 공소장이 1년여 만에야 공개되자, “윤 의원은 당장 사퇴하라. 문재인 정부 사법부는 윤 의원 재판을 11개월이나 질질 끌고 있다. 직무 유기다. 사법 정의로 엄벌하라”고 요구했다.
원 전 지사 측은 또 “위안부 피해자인 고 심미자 할머니는 유언장을 통해 ‘윤미향이 위안부 이름 팔아 부귀영화’를 누렸다고 썼다. 이용수 할머니도 ‘윤미향의 국회 진출은 안 된다’고 기자회견까지 자청했다"며 "이러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의 울분에 찬 고발에도 윤 의원은 '회계 부정은 사실이 아니'라는 거짓 발언으로 일관해왔다"고 지적했다.
앞서 전주혜 국민의힘 의원이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윤 의원 공소장에 적시된 '범죄 일람표'에 따르면, 윤 의원은 2011~2020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와 후신 격인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을 지내면서 후원금 1억37만원을 217회에 걸쳐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윤 의원은 후원금을 체크카드로 결제하거나 자신의 개인 계좌로 이체하는 방식으로 썼다.
https://v.kakao.com/v/20211010163004088
‘후원금 유용’ 윤미향...정의당은 ‘데스노트’ 올렸는데, 與 침묵은 길어지네
국민의힘, ‘윤미향 제명 촉구 결의안’ 국회 제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위한 후원금 1억여원을 빼돌려 개인 용도로 쓴 혐의 등으로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는 윤미향 무소속 의원의 공소장에 담긴 횡령 내역 중 일부다.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한 후원금이 담긴 계좌를 완전히 개인 쌈짓돈처럼 사용했다는 사실이 법무부가 국정감사를 앞두고 야당 의원에게 제출한 공소장을 통해 지난 5일 드러났지만, 위안부 피해자 지원 활동 경력을 이유로 윤 의원을 비례대표 의원으로 공천했던 더불어민주당은 6일까지 침묵을 지키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날 윤 의원의 제명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정의당도 전날 ‘국회 윤리위원회 소집 후 징계 절차 논의’를 촉구하며 ‘데스노트’에 윤 의원의 이름을 올려둔 상태다.
https://biz.chosun.com/policy/politics/2021/10/07/4QBE7ITN5VHVPIYFH56WFYN73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