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생물 (비댓 금지) HCO3-와 pH의 관계 질문
고로케카레 추천 0 조회 1,550 21.09.27 18:12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1.09.27 20:08

    첫댓글 체액에서는 탄산 완충작용 생각하시면 되는 것 같구(HCO3- 농도가 감소하면 완충작용이 잘 안돼서 해리된 수소이온이 많겠죠?)
    위 문제에서는 세포가 HCO3-를 흡수할때 수소이온이 공동수송돼서 표수층의 수소이온 농도가 감소하능거에용 이걸 지식적으로 알아야ㅜ 풀 수 있는 문제였던 것 같습니당,,

  • 작성자 21.09.29 11:26

    확인이 늦었네요ㅠㅠ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ㅎㅎ 저도 답을 수소이온 공동수송으로 접근해서 pH가 증가한다고 적었는데ㅠㅠ 강쌤 답안이랑 박새 풀이에는 그 부분이 생략되어 있길래 HCO3- 자체가 호수에서 pH를 증가시키는 건가 의문이 생기더라구요ㅠㅠ 아래 댓글 주신 선생님께서 그 부분 관련해서 적어주셨는데 함께 참고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 21.09.27 20:18

    저도 인지갈등이 와서 찾아봤어요..!
    물속에서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면 HCO3-가 바이오매스(광합성산물)로 전환되면서 OH-가 생긴대요..!
    화학식은 다음과 같아요.
    HCO3– + H2O + hv(광자) ---> {CH2O} + O2 + OH–
    여기거 CH2O가 광합성산물이에요. 위 과정으로 발생하는 OH-에 의해서 물속 pH가 상승한대요.
    출처: 환경화학(본문내용: pH 7에서 조류가 생장을 시작했다고 하자. 조류가 점점 자라남에 따라 물의 pH는 증가하게 된다. 왜냐면, 용존무기탄소인 CO2와 HCO3–를 소모하기에 약산의 역할을 수행하는 이들이 없어지기에 물의 pH가 증가하며, 더욱이 HCO3–에 의해 OH–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사성산증에서 체내에서 HCO3-의 농도가 감소하면 pH식에서 log값의 감소로 pH가 감소합니다. 그림에서 a의 경우와 f의 경우를 보면 이해될거에요.

  • 21.09.27 20:11

    체내 pH조절

  • 21.09.27 20:17

    시험에 저렇게 환경화학에 나와있는 거까지 요구하지 않을거에요. 그러니 광합성으로 HCO3-가 소모되면 물속 pH가 증가한다라는 건 지식으로 알아두시면 될 거 같아요!
    느릿쌤이 위에 설명해주신 것도 하나의 답이고, 제가 설명한 것도 하나의 답이 된다는 거 알아두시면 될 거 같습니다!

  • 작성자 21.09.29 11:25

    @황생물 답글이 늦었네요ㅠㅠ 친절한 설명 정말 감사드려요 선생님 🙏 말씀해주신 내용 추가해서 알아둬야겠네요! 덕분에 궁금증이 해소되었습니다!! ㅎㅎ 오늘도 화이팅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