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형광펜 표시된 탄소 양이온 모두 3차 양이온인데, hydride 재배치가 일어나는 이유가 뭘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첫댓글 제 생각에는 첫 번째 탄소양이온의 알파자리에는 H가 2개 C가 1개 결합되어 있고, 두 번째 탄소양이온의 알파자리에는 H가 3개있습니다. 그러므로 H가 많을 수록 탄소의 부분적인 음전하의 크기가 커지므로 탄소양이온의 안정성이 높아진다고 생각합니다.
steric hindrance 때문입니다. 고리의 탄소보다 바깥쪽 탄소의 steric hindrance가 적어 같은 3차 carbocation 이지만 바깥쪽 탄소 양이온이 안정적일 것입니다.
위의 분들의 생각도 맞는 것 같고 제 생각을 더 추가하면하이퍼콘쥬게이션 효과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하이퍼콘쥬게이션은 탄소 양이온 옆에 있는 탄소와 수소사이의 시그마결합이 빈 p오비탈과 겹침이 일어나 전자가 비편재화되어 탄소양이온을 안정화시킵니다 탄소양이온 옆에 메틸기가 많으면 하이퍼콘쥬게이션이 효과가 더 큽니다
첫댓글 제 생각에는 첫 번째 탄소양이온의 알파자리에는 H가 2개 C가 1개 결합되어 있고, 두 번째 탄소양이온의 알파자리에는 H가 3개있습니다. 그러므로 H가 많을 수록 탄소의 부분적인 음전하의 크기가 커지므로 탄소양이온의 안정성이 높아진다고 생각합니다.
steric hindrance 때문입니다. 고리의 탄소보다 바깥쪽 탄소의 steric hindrance가 적어 같은 3차 carbocation 이지만 바깥쪽 탄소 양이온이 안정적일 것입니다.
위의 분들의 생각도 맞는 것 같고
제 생각을 더 추가하면
하이퍼콘쥬게이션 효과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이퍼콘쥬게이션은 탄소 양이온 옆에 있는 탄소와 수소사이의 시그마결합이 빈 p오비탈과 겹침이 일어나 전자가 비편재화되어 탄소양이온을 안정화시킵니다
탄소양이온 옆에 메틸기가 많으면 하이퍼콘쥬게이션이 효과가 더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