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 이론, 개념기반 교육과정(Concept-Based Curriculum), 그리고 **이해중심 교육과정(Understanding by Design, UbD)**은 모두 학습자의 깊이 있는 이해와 응용 능력을 강조하는 교육 접근 방식입니다. 이 세 가지 이론은 공통적으로 단순 암기나 표면적인 지식 습득을 넘어, 학생들이 핵심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1.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와 개념기반 교육과정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는 학습자가 단편적인 사실을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식을 조직적이고 구조적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는 특정 학문 분야의 핵심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입니다.
개념기반 교육과정 역시 이와 유사한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념기반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학문적 개념을 단순히 외우는 것이 아니라, 추상적인 개념과 일반화된 원리를 학습하고 이를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특정 주제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비판적 사고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연결점: 두 이론 모두 핵심 개념의 이해를 중심으로 한 학습을 강조하며, 학습자가 특정 개념을 더 깊이 탐구하고 이를 다양한 맥락에서 응용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주어진 지식을 새로운 문제 해결에 **전이(Transfer)**할 수 있게 됩니다.
2.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와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해중심 교육과정(UbD)**은 학생들이 지식을 단순히 기억하는 것을 넘어, 배운 내용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새로운 상황에 전이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접근 방식입니다. UbD는 학생들이 **영속적 이해(Enduring Understanding)**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며, 학습의 목표는 지식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확장됩니다.
이는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와 유사하게, 핵심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한 학습을 지향합니다. 브루너는 학습자가 **나선형 교육과정(Spiral Curriculum)**을 통해 특정 개념을 반복적으로 더 깊이 있게 다루며, 이해를 확장해 나갈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은 더 복잡한 개념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연결점: 두 이론 모두 학습자가 단순히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탐구 기반 학습을 통해 스스로 핵심 개념을 발견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응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학습의 과정에서 지식을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새로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는 점에서 일치합니다.
3.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모두 학생들이 개념의 핵심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깊이 있는 학습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개념기반 교육과정은 추상적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구성하며, 학생들이 학문적 개념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돕습니다.
**이해중심 교육과정(UbD)**에서는 학습자가 중요한 질문을 통해 개념을 탐구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지식을 깊이 이해하며, 이를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목표입니다.
연결점: 두 교육과정 모두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지식의 전이를 목표로 하며, 학습자가 스스로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습 과정이 설계됩니다.
결론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 개념기반 교육과정, 그리고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모두 학생들이 지식을 단순히 습득하는 것을 넘어서,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깊이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세 가지 접근 방식은 모두 학생들이 지식을 탐구하고 발견하며, 이를 새로운 상황에서 적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 현대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탐구 기반 학습을 강조하는 흐름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