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필기에서 "오른쪽 눈의 맹점은 중심와의 왼쪽에 있다. 맹점시야는 오른쪽에 있다." 라는게 무슨 뜻일까요?
2. D가 손상될 때 황반시야가 저렇게 나타나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첫댓글 1. 오른쪽 눈을 기준으로 봤을 때 황반시야(정확히는 정가운데)가 맺히는 곳인 중심와의 왼쪽에 시신경이 밀집하는 맹점이 있다는 뜻이고,
맹점시야는 아마도(이부분은 확실하지 않습니다) 오른쪽 눈의 시야 기준으로 a는 보이지 않는 곳이고 a가 맺히는곳이 맹점시야를 뜻하는 것 같습니다. 이게 오른쪽에 맺힌다? 라고 설명한 것 같습니다.
2.아마도 황반시야가 왜 보이는 지에 관련되서 질문 하신 것 같습니다. 이는 다음 페이지를 보면 다음과 같이 나와있습니다. "특히 절단 부위가 시각 중추에 가까워질수록 황반(중심와)에서 유래된 시신경은 손상될 가능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중심 시야는 보존될 수 있다" 라고 나와있습니다. 이것으로 답변이 될 것 같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2번 질문은 시신경 경로에 따라서 어떻게 해석해야 좋을지 궁금해서 질문했어요.
나머지 3가지 절단 경우(A,B,C)에는 필기 해놓은 것처럼 보이는 시야를 따로따로 고려해서 시야가 어떻게 보이는지 이해했는데 D경우에는 이해가 잘 안가서요 ㅎㅎ.
교재에 있는 내용으로 이해하고 넘어가야겠네요~ 답변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