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기, 있기? 없기! / 이종준
고스톱에서 선수 정원 세 명인 판에 참여자가 세 명 이상이면, 게임을 하지 않는 사람들은 광(光)을 팔아서 광값을 챙길 수 있다. 순번이 빠른 사람 중에도 패가 불리하면 그 판을 포기하면서 광값, 고도리값 등 약속된 대가를 챙길 수 있다. 챙길 것이 없으면 순순히 그냥 손을 빼면 된다. 광 팔고 죽는 전략은 한 판을 온전히 쉬면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안전하고 좋은 전략이다. 하지만 이런 볼로소득의 남발을 방지하기 위해, 한 사람이 세 번 연속해서 죽으면 한 판 기본값을 참여자들에게 내놔야 한다. 어떤 지역에선 연사(連死), 두 번 연달아 죽는 것은 ‘없다’는 곳도 있다. 미리 죽는 것을 방지하는 제도! 좋은 제도다.
동물이든 식물이든 생명 있는 것이 집에서 잘못되고 죽어 나가는 것이 보기 싫어 부러 생물들을 집 안에 키우진 않았다. 하지만 20년 가까이 사회생활을 하다 보니, 이런저런 행사 뒤에 받은 동양란 몇 촉, 산세베리아 몇 그루, 금전수 등 화분 열 개가 집 안에서 같이 살게 되었다. 난의 고매함을 즐기거나, 조경용 식물을 키우는 취미가 있는 것도 아니어서 그냥 햇볕 좋은 베란다에 두고 생각나면 일주일에 한두 번 수돗물을 뿌려주는 것으로 관리를 대신했다. 생일축하 난(蘭) 한 촉으로 시작하게 된 어설픈 식물관리 십여 년 동안, 그 애들이 죽지 않고 끈질기게 다 살아 있다는 것이 신기하다. 좋은 햇빛, 최소의 물만 있으면 이어가는 생명력에 감탄할 때가 많다. 깜박하고 너무 오래 물을 안 줘서 말라 죽었나 싶었는데, 숨어 있던 작은 잎들이 쑥쑥 자라 다시 큰 잎으로 떡하니 자리를 차지한다. 당당하고 건강한 녹색의 힘 있는 자태를 보여준다. 잘 챙겨 주지 못해도 살아줘서 정말 고맙다.
노인층은 빠른 노령화 진행에 따른 빈곤, 생활고, 병마 등으로, 젊은층은 취업을 못한 자책감 또는 상실감으로, 학생들은 학업에 대한 부담감과 진로에 대한 고민으로, 중장년층은 사업실패에 따른 경제난이나 사회적 박탈감으로, 우울증이나 공황장애 들 병으로 1만5천 명 넘는 사람들이 2010년 한 해에 삶을 포기했다고 한다. 프로야구 구장 수용인원 기준으로, 몇몇 큰 야구장을 빼고 웬만한 야구장에 꽉 찬 사람 숫자만큼 매년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니 충격이다. 인구 10만 명을 기준으로 그리스가 2.2명으로 제일 작고, 멕시코 4.9명, OECD 국가평균이 12.9명이라고 한다. 대한민국은 독보적인 33.5명이다. 이건 뭔가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되었다. OECD 국가 중 자살률 8년 연속 1위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복지국가의 틀이 아직 완전하게 자리잡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국민연금, 의료보험, 기초연금 등 최소한의 기본 복지제도가 도입되어 있다. 그런데도 한 해 1만5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스스로 죽는다면, 제도나 시스템 어디가 잘못된 것은 아닐까? 특히 자살의 원인이 경쟁중심의 사회구조, 양극화 심화, 가족의 붕괴 등이라면 이건 개인의 삶에 대한 잘잘못을 따지기 전에 우리 공동체 전체의 문제가.
자살률만큼 우리나라가 전 세계적으로 독보적인 것이 또 있다. IT산업의 눈부신 발전이다. 초등학생을 포함하여 거의 전 국민이 스마트폰을 쓰는 나라는 우리나라밖에 없다. 초고속 전산망이 전국적으로 깔린 나라도 우리나라밖에 없다. 그러다 보니 친한 친구, 가족을 앞에 두고도 눈은 마주치지 않고 스마트폰에 눈길이 꽂혀 있는 사람들. 공공장소에서도 주변을 의식하지 않고 게임이나 카카오 톡, 드라마 시청에 빠져 있는 사람들이 많다. 자신에게 직접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그건 남 일이 되고, 내게 문제가 발생하면 혼자서 어쩔 줄 몰라 하다 스스로 무너지는 사회. 디지털세상 뒤에 숨어 있는 냉혹한 개인주의와 경쟁적 인식이 흐르는 한 IT의 눈부신 발전, 이건 자랑스러운 것이 못될 것 같다. 이런 상태에선 자살률을 낮출 현묘(玄妙)한 답은 없다.
자살률이 낮았던 70년대, 80년대는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가 보편적 가난함을 함께 공유했던 어려웠던 시절이었다. 비슷비슷한 아픔과 가난이 존재해 가족이 가족을, 이웃이 이웃을, 사회가 사회를 보듬는 마음들이 있었다. 지금처럼 만들어진 시스템이 아니었어도, 없는 사람을 서로서로 돌보고 살펴보는 눈과 손이 있었다. 그렇게 다들 어려운 시절의 강을 함께 건넌다는 동기(同期)의 의식이 만들어낸 사회적 묵계(黙契)가 있었다. 그 세월을 건너며 가졌던 좋은 제도를 살리지 못하고, 우리는 지금 어디서 어떤 행복을 찾고 있는 것일까?
누군가 어떤 문제로 큰 고통 속에서 세상과의 단절을 고민하고 있다면 좀 뻔뻔해지는 것도 괜찮겠다. 누구든지 당신이 움켜쥐고 있는 그 문제, 아프면 아프다고, 힘들면 힘들다고, 있는 대로 보이는 대로 드러내 주길 바란다. 어떤 핑계도 좋으니 당신의 문제를 이 사회에 그냥 던져버리고 한 며칠 살아보길 바란다. 사회 전체가 당신을 혼자 있게 했고, 뭐라 말을 할 수 없는 심리상태를 만들었고, 더 적극적으로 당신을 바라보는 눈길이 부족했다. 함께 고민해 달라고 당당하게 요구하길 당신께 요청한다. 당신이 아는 누구라도 상관없다. 당신을 잘 모르는 봉사단체나 공공기관에도 너그러운 당신이 손을 한 번 더 내밀어 주기 바란다.
정현종 시인의 노래처럼 사람이 온다는 것은 실로, 실로 어마어마한 일이다. 한 사람의 일생과 모든 것이 함께 따라오기 때문이다. 사람이 가는 것도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 사람의 모든 것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사람이 오가는 것도 어마어마한데, 하물며 죽고 사는 일이야 말해 무엇 할까? 한 사람 인생이 송두리째 사라지는 이 엄청난 소식이, 이젠 매일 보는 보통 뉴스가 되어버렸다. 죽기, 있기? 없기? 당연히 없기! 죽기 없기! 절대로 포기하지 말기! 당신이 죽는 그 엄청난 사건이 그저 그렇고 그런, 일반 뉴스로 방송되기 없기! 살기! 꼭 살기!
화루 33명. 그들은……. 막다른 낭떠러지를 선택한 것이 아니고 내 몰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