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앳킨스 11판의 9D에서 변분원리 파트를 읽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이종핵 이원자분자의 궤도함수 계수를 결정하기 위해 정규화되지 않은 시도용 파동함수를 잡고 에너지 기대치를 구하는데요,
아래 두사진에는 각각 정규화되지 않은 분자 궤도함수라고 나와있고 따라서 정규화 상수를 기댓값의 분모에 고려해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밑줄친부분)
그런데 그 뒷장에 계수를 결정할 때 필요한 2개의 관계식을 각각 1)에너지 극소조건을 통한 영년방정식에서 관계식 2)정규화조건 관계식으로 이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분명 처음 분자궤도함수 식을 잡을 때는 정규화가 되지 않았다고 가정하여 분모에 정규화 상수를 고려해주었는데,(첫번째 사진) 왜 이후 계수를 결정할 때는 정규화가 되었다고 하는지(마지막 사진) 이해가 안갑니다!
조금 길고 횡설수설하지만 차근차근 읽어보시고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해결 하셨는지요?
아뇨 기출 문제에도 정규화 조건을 이용해서 mo를 구하길래 그냥 정규화 조건을 사용해야 한다고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혹시 의견 주실 수 있으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