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글에서의 영어(로마자)표기법(이성만)
1. 주제 - 한글에서의 영어(로마자)표기법
2. 검색어 - 외래어
3. 내용 - 영어의 한글 표기 방법
영어의 표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따른다. (앞으로 나오는 로마자는 모두 철자를 나타내되, [ ]로 묶은 것은 음성 기호를 나타낸다.)
(가) 어말의 -a[]는 '아'로 적는다.
<보기> Georgia 조지아
(나) 어말의 -s[z]는 '스'로 적는다.
<보기> James 제임스
(다) []의 음가를 가지는 i와 y는 '이'로 적는다.
<보기> Halifax 핼리팩스 Powys 포이스
(라) -ton은 모두 '턴'으로 적는다.
<보기> Canton 캔턴
(마) 접두사 Mac-, Mc-은 자음 앞에서는 '맥'으로, 모음 앞에서는 '매ㅋ'로 적되, c나 k, q 앞에서는 '매'로, ㅣ 앞에서는 '매클'로 적는다.
<보기> MacMillan 맥밀런
McKinley 매킨리
MacAuley 매콜리
Maclay 매클레이
(바) and로 연결된 말은 and를 빼고 표기하되, 언제나 띄어 쓴다.
<보기> Tyne and Wear 타인 위어
◆ a
'a'가 'ㅔ'로 표기 되는 것은 '페인트(paint)' 처럼 'a'가 다른 모음과 어울려 발음될 경우 쉽게 예를 찾을 수 있지만 단독으로 쓰일 때는 예로 들을 만한 것이 많지 않다. '게리(Gary)' 라는 이름이 흔치 않은 예.
그러므로 'a'가 바로 옆에 다른 모음 없이 홀로 있을 경우 'ㅔ'로 표기하는 데 신중해야 한다.
컴퓨터 용어로 쓰이고 있는 'application'을 '에플리케이션'이라고 표기한 글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해야 옳다.
◆ [] [] []
위 발음 기호에 한글의 'ㅏ'나 'ㅓ'에 해당하는 모음이 이어질 때는 '차' '자', '처' '저'로 표기해야 한다.
'chart'는 '챠트'가 아니고 '차트'다. 'version'도 '버젼' 대신 '버전'이라고 써야 한다.
◆ 고유명사 표기
고유명사는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는다. 그러므로 똑같은 외국어가 같은 글 속에서도 달리 표기될 수 있다.
'쥬라기 공원'이라는 이름으로 국내 극장가에서 방영됐던 영화를 소개할 때도 "--극장의 '쥬라기 공원'은 중생대의 쥐라기......" 식으로 써야 한다.
- 개정 로마자 표기법 -
-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로마자 이외의 부호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다.
- 제2장 표기 일람
제1항 모음은 다음 각 호와 같이 적는다.
- 단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
a eo o u eu i ae e oe wi
- 이중 모음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붙임 1] 'ㅢ'는 'ㅣ'로 소리 나더라도 'ui'로 적는다.
(보기) 광희문 Gwanghuimun
[붙임 2] 장모음의 표기는 따로 하지 않는다.
- 제2항 자음은 다음 각 호와 같이 적는다.
- 파열음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
g, k kk k d, t tt t b, p pp p
- 파찰음
ㅈ ㅉ ㅊ
j jj ch
- 마찰음
ㅅ ㅆ ㅎ
s ss h
- 비음
ㄴ ㅁ ㅇ
n m ng
- 유음
ㄹ
r, l
[붙임 1]
'ㄱ, ㄷ, ㅂ'은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k, t, p'로 적는다.([ ] 안의 발음에 따라 표기함.)
[붙임 2] 'ㄹ'은 모음 앞에서는 'r'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l'로 적는다. 단, 'ㄹㄹ'은 'll'로 적는다.
(보기)
구 리 Guri 설 악 Seorak
칠 곡 Chilgok 임 실 Imsil
울 릉 Ulleung 대관령[대괄령] Daegwallyeong
-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 제1항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의 결과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이 적는다.
자음 사이에서 동화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
(보기) 백마[뱅마] Baengma 신문로[신문노] Sinmunno
종로[종노] Jongno 왕십리[왕심니] Wangsimni
별내[별래] Byeollae 신라[실라] Silla
'ㄴ, ㄹ'이 덧나는 경우
(보기) 학여울[항녀울] Hangnyeoul 알약[알략] allyak
구개음화가 되는 경우
(보기) 해돋이[해도지] haedoji 같이[가치] gachi
맞히다[마치다] machida
'ㄱ, ㄷ, ㅂ, ㅈ'이 'ㅎ'과 합하여 거센소리로 소리 나는 경우
(보기) 좋고[조코] joko 놓다[노타] nota
잡혀[자펴] japyeo 낳지[나치] nachi
다만, 체언에서 'ㄱ, ㄷ, ㅂ' 뒤에 'ㅎ'이 따를 때에는 'ㅎ'을 밝혀 적는다.
(보기) 묵호 Mukho 집현전 Jiphyeonjeon
[붙임]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보기) 압구정 Apgujeong 낙동강 Nakdonggang
죽 변 Jukbyeon 낙성대 Nakseongdae
합 정 Hapjeong 팔 당 Paldang
샛 별 saetbyeol 울 산 Ulsan
- 제2항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
(보기) 중 앙 Jung-ang 반구대 Ban-gudae
세 운 Se-un 해운대 Hae-undae
- 제3항 고유 명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보기) 부 산 Busan 세 종 Sejong
- 제4항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쓴다.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한다.
( ( )안의 표기를 허용함.)
(보기) 민용하 Min Yongha (Min Yong-ha)
송나리 Song Nari (Song Na-ri)
이름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보기) 한복남 Han Boknam (Han Bok-nam)
홍빛나 Hong Bitna (Hong Bit-na)
성의 표기는 따로 정한다.
- 제5항 '도, 시, 군, 구, 읍, 면, 리, 동'의 행정 구역 단위와 '가'는 각각 'do, si, gun, gu, eup, myeon, ri, dong, ga'로 적고, 그 앞에는 붙임표(-)를 넣는다. 붙임표(-) 앞뒤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보기) 충청북도 Chungcheongbuk-do 제주도 Jeju-do
의정부시 Uijeongbu-si 양주군 Yangju-gun
도봉구 Dobong-gu 신창읍 Sinchang-eup
삼죽면 Samjuk-myeon 인왕리 Inwang-ri
당산동 Dangsan-dong 봉천1동 Bongcheon 1(il)-dong
종로 2가 Jongno 2(i)-ga 퇴계로 3가 Toegyero 3(sam)-ga
[붙임] '시, 군, 읍'의 행정 구역 단위는 생략할 수 있다.
(보기) 청주시 Cheongju 함평군 Hampyeong 순창읍 Sunchang
- 제6항 자연 지물명, 문화재명, 인공 축조물명은 붙임표(-) 없이 붙여 쓴다.
(보기) 남 산 Namsan 속리산 Songnisan
금 강 Geumgang 독 도 Dokdo
경복궁 Gyeongbokgung 무량수전 Muryangsujeon
연화교 Yeonhwagyo 극락전 Geungnakjeon
안압지 Anapji 남한산성 Namhansanseong
화랑대 Hwarangdae 불국사 Bulguksa
현충사 Hyeonchungsa 독립문 Dongnimmun
오죽헌 Ojukheon 다보탑 Dabotap
촉석루 Chokseongnu 종 묘 Jongmyo
- 제7항 인명, 회사명, 단체명 등은 그 동안 써 온 표기를 쓸 수 있다.
- 제8항 학술 연구 논문 등 특수 분야에서 한글 복원을 전제로 표기할 경우에는 한글 표기를 대상으로 적는다. 이때 글자 대응은 제2장을 따르되 'ㄱ, ㄷ, ㅂ, ㄹ'은 'g, d, b, l'로만 적는다. 음가 없는 'ㅇ'은 붙임표(-)로 표기하되 어두에서는 생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기타 분절의 필요가 있을 때에도 붙임표(-)를 쓴다.
(보기) 집 jib 짚 jip
밖 bakk 값 gabs
붓꽃 buskkoch 먹는 meogneun
독립 doglib 문리 munli
물엿 mul-yeos 굳이 gud-i
좋다 johda 가곡 gagog
조랑말 jolangmal 없었습니다 eobs-eoss-seubnida
부 칙
① (시행일) 이 규정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 (표지판 등에 대한 경과 조치) 이 표기법 시행 당시 종전의 표기법에 의하여 설치된 표지판(도로, 광고물, 문화재 등의 안내판)은 2005. 12. 31.까지 이 표기법을 따라야 한다.
③ (출판물 등에 대한 경과 조치) 이 표기법 시행 당시 종전의 표기법에 의하여 발간된 교과서 등 출판물은 2002. 2. 28.까지 이 표기법을 따라야 한다.
한글에서 외래어(지금의 경우, 영어)를 표기할 때 그 방법을 정확이 알고 써야 할 것이다. 어떤 언어는 그 언어가 시작할 때의 그 고유한 대로 유지될 수 없고, 각기 다른 언어(외래어)가 유입됨으로써 변화를 가지게 된다. 한글은 한자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지금은 영어의 영향을 받고 있다. 영어는 그 성격상 발음구조가 한글과 차이를 가지므로 표기에 차이를 갖는 경우가 많았다. 우리가 흔히 이정표에서 '광주'를 'GWANG-JU'가 아닌 'KWANG-JU'로 표기하거나 '박찬호'를 'PARK CHAN-HO'로 표기하는 예에서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요즈음은 영어라는 외래어를 받아들일때 한글이 주가 되는 쪽으로 바뀌고 있으므로 한글발음이 우선이 되어 그 표기를 하게 표기안이 바뀌었다. 외래어를 사용함에 있어서 이점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4. 참고 사이트 - 한글다솜(myhome.naver.com/gnu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