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질문 1.
b 해설 중 세번째줄에 “Fe3+를 제외하고 다른 것들은 Oh를 선호하는 LFSE값을 갖는다”는 말의 의미가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LFSE 의 절대값이 클수록 Oh구조를 선호한다고 보면 되나요? 맞다면 왜 그렇게 볼 수 있나요?
또한 “[Co(CO)4]-와 [MnO4]-는 LFSE가 0 이어서 사면체”라고 하는데 왜 이렇게 볼 수 있나요?
LSFE가 0 이라면 Oh 구조가 특히 안정하지 않다고 볼 수는 있을 거 같아요(확신은 아니지만요). 근데 그렇다고 Td가 안정하다는 증거는 아닌 거 같아서요🫠
질문 2.
c도 b와 같은 맥락인 거 같은데,,, LFSE로 구조적 안정성을 판단하지 못하겠어요.
질문 3.
저는 c에서 사면체 d 궤도함수 갈라짐에서 전자의 비대칭 점유로 인한 J-T 왜곡으로 설명했는데, J-T는 정팔면체 장에서만 논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