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더럼맹점에 빛과 상은 모두 도달합니다. 다만 맹점은 시신경이 모여 있는 부분으로, 빛을 받아들일 수 있는 시각세포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상이 맺혀도 볼 수 없습니다. 시각세포에서 빛 자극을 받아들여서, 시신경을 통해 뇌로 보내야 우리가 느낄 수 있는데, 빛 정보를 받아들이질 못하니 볼 수도 없는거죠. 반대로 황반, 와는 시각세포가 몰려있어, 이곳에 상이 맺히면 또렷하게 볼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으니까요. 평소에는 양눈을 뜨고 있어, 왼쪽 눈의 맹점에 상이 맺히더라도 오른눈이 그쪽 공간 시각을 보완해주어 모두 잘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맹점이 실제 존재함을 확인시켜주기 위해, 한쪽눈을 감고 나머지 눈으로 대상을 보는 것입니다! 왼쪽눈을 감아서 안 보이는 것은 왼쪽눈에서 빛 정보를 받을 수 없게되어 시야가 줄어들어 나타나는 것이고(빛과 상 모두 도달X), 맹점은 빛과 상은 들어오지만 시각세포가 없어 받아들이지 못하므로 맹점에 상이 맺히는 부분 주변의 것들은 잘 보입니다.(맹점주위에는 시각세포가 존재하므로)
첫댓글 눈의 구조에서 시각신경이 망막을 통과해서 뇌로 가는 구조로 되어있어 망막이 아닌부분에 상이 맺히지 않는 맹점입니다.
네 책에도 이렇게 나와있지만 자세한 원리를 모르겠네요ㅠㅠ오른쪽 눈으로만 볼때 5는 망막에 상이 맺히고 1은 맹점에 빛이 도달한다는건가요?
@덤더럼 맹점에 빛과 상은 모두 도달합니다. 다만 맹점은 시신경이 모여 있는 부분으로, 빛을 받아들일 수 있는 시각세포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상이 맺혀도 볼 수 없습니다.
시각세포에서 빛 자극을 받아들여서, 시신경을 통해 뇌로 보내야 우리가 느낄 수 있는데, 빛 정보를 받아들이질 못하니 볼 수도 없는거죠.
반대로 황반, 와는 시각세포가 몰려있어, 이곳에 상이 맺히면 또렷하게 볼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으니까요.
평소에는 양눈을 뜨고 있어, 왼쪽 눈의 맹점에 상이 맺히더라도 오른눈이 그쪽 공간 시각을 보완해주어 모두 잘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맹점이 실제 존재함을 확인시켜주기 위해, 한쪽눈을 감고 나머지 눈으로 대상을 보는 것입니다!
왼쪽눈을 감아서 안 보이는 것은 왼쪽눈에서 빛 정보를 받을 수 없게되어 시야가 줄어들어 나타나는 것이고(빛과 상 모두 도달X), 맹점은 빛과 상은 들어오지만 시각세포가 없어 받아들이지 못하므로 맹점에 상이 맺히는 부분 주변의 것들은 잘 보입니다.(맹점주위에는 시각세포가 존재하므로)
@뜨거우 아하 감사합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3.05.29 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