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니바람님이 걱정이 많으신듯 하여 양귀비와 꽃양귀비 비교검색하다가 참고하시라고 복사해왔습니다.
한밭뜰에도 저를 포함하여 꽃양귀비 키우시는 분이 많으셔서 우리 모두가 알고 있어야 할 사항인것 같습니다.
[마약류] 꽃 양귀비 재배에 대하여
국민신문고 | 2009-01-15 21:26 | 조회 857 | 답변 1
70여종의 양귀비 가운데 2종만이 마약 성분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마약성분이 있는 양귀비와 관상용 양귀비는 구분이 쉽다고 하더군요.
00에 가면 00식물원이라고 양귀비꽃이 가득한 식물원이 있습니다.
물론, 마약성분이 없는 양귀비인데 내 터가 있는 00군에서 어느 노 교수님께서 제가 작년에 그곳을 말씀드려서 그곳에서 씨를 사다가 마당에서 키웠더니만
면에서 오고 군에서 오고 난리법석을 쳐서 할 수없이 모두 없애버리셨습니다.
00식물원 이야기를 하고 00경찰서인가 어느 경찰서의 마당에서도 키우고 있는 마약 성분이 없는 양귀비라고 하여도 만의 하나 그중에 마약성분이 있는
양귀비가 있을 수도 있는 것이며, 그렇게 되면 책임을 질 수 있느냐고 난리를 쳐서 귀찮아서 모두 뽑아 버리셨다고 합니다.
나도 이번에 심으려고 00식물원에서 양귀비 씨앗을 구매하였는데 혹시나하고 00군청의 담당자에게 심어도 되냐고 문의 하였지요.
담당자라는 사람이 식약청에다 물어 보고 전화를 준다고 하더니만 조금있다가 전화가 왔는데 자기가 식약청에다 물어보니 꽃양귀비라고 해도 마약 성분이
전혀 없는 것이 아니라고 하며 심지 말라는 투로이야기를 하더만요.
그렇다면 상식적으로 00식물원에서도 그러한 꽃 양귀비를 심어서는 아니 되는 것이며 또 꽃 양귀비의 모종이나 씨앗을 판매해서는 아니되는 것인데,
그곳에서 그런 것을 파는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것이고 그렇다면 그 꽃 양귀비의 안정성이 인정된 것이 아닌지요?
꽃 양귀비의 재배에 대한 귀청의 구체적인 답변을 주십시요.
어느 곳에서는 되고 어느 곳에서는 아니되며 또 만의 하나 마약 성분이 있는 양귀비가 발견되면 책임을 질 수 있는 것이냐고 국민에게 으름장을 놓는 것은
공무원으로서 취할 자세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꽃 양귀비의 재배가 법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귀청에서 명확하게 판단을 하고 결론을 내리는 것이 귀청의 마땅한 도리 일 것이며 그것을 아무
지식이 없는 국민에게 떠맞기는 것은 옳지 않은 처사라고 생각합니다.
만약에 00군청의 담당자의 말대로라면 00식물원의 모든 꽃 양귀비도 모두 없애버려야하는 것이 맞을 것 같은데 귀청에서도 분명히 그 사실을 알고 있을터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무러한 법적 조치를 취하지도 않고 또 그곳에서 꽃 양귀비의 모종과 시앗을 판매해도 사법처리를 하지 않는 것은 그 양귀비에 마약성분이 없다는 것을 귀청에서도 인정을 하고 있어서 그런 것이 아니겠습니까?
귀청에서 그것에 대한 명확한 판단을 내려서 국민들이 혼란스러워 하지말게 해주십시요.
어디에서는 되고 어디에서는 아니되고 또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아니 된다고하거나 그 판단을 국민에게 알아서 하고 혹시라도 나중에 문제가 되면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는 것은 공무원으로서 할 도리가 아닌 것입니다.
명확한 판단의 기준을 알려주기 바랍니다.
국민신문고 에서 제공해주신 질문과 답변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활동분야 : 국민신문고
본인소개 : 식품의약품안전청, http://www.kfda.go.kr/
1. 국민신문고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약의 지정은 각 나라에서 임의로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보건기구에서 검토한 오·남용의 정도에 따라 국제연합에서 채택한 "1961년 마약에 관한 단일협약"
의거 국제적으로 동일하게 지정되고 있습니다.
앵속이라 함은 흔히 양귀비로 불리우는 식물로서 모든 종류의 앵속이 마약으로 지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마약의 성분인 모르핀을 함유하고 있는 파파베르 솜니페룸 엘(Papaver somnoferum L.)과 파파베르 세티게름 디.시.(Papaver setigerum D.C.) 2종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식물을 마약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대통령령으로 지정된 앵속속 식물은 없습니다.
따라서, 상기 2종 이외의 양귀비 재배는 가능하다고 판단되나
이들 재배시 상기 2종의 변동 또는 아종이 재배되거나 또는 재배한 양귀비에서 마약성분이 검출될 경우 마약법상 처벌대상이 됩니다.
국내 양귀비 재배에 대해서는 지적하신 식물원을 포함한 국내 각곳을 대상으로 식약청에서 조사중에 있습니다.
향후 더욱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 답변 내용이 미비하거나 기타 궁금한 사항이 있는경우, 소비자담당관실 콜센터(1577-1255)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식·의약품에 대한 정보는 우리청 홈페이지(http://www.kfda.go.kr)를 이용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식·의약 관련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많은 이용바랍니다.
관련법령 :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第2條 (定義),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第3條 (一般行爲의 금지)
작성부서 : 식품의약품안전청 기획조정관 소비자담당관, 1577-1255
참고로... 검색하여 찾은 양귀비의 잎과 씨방의 사진도 올립니다.
제 생각으로는 하니바람님의 모종은 꽃양귀비(포피)가 아닐까 합니다.
포피도 잎의 모양이 몇 가지 되고 양귀비도 털이 있고 없고로 구분하기는 조금 힘들었습니다.
씨방과 잎의 모양을 봐야하는데요...
꽃대가 따로 올라오는 것이 아니고 잎과 꽃대가 교차하며 함께 올라가고 있는 점에 주목해 주시고, 잎의 질감은 조금 더 도톰하다고 해야하나 우리 친정 엄마 말투를 빌자면 포피보다는 좀 더 짱짱한 느낌입니다.^^
색은 회색빛을 띄는 녹색이라고 표현하면 맞을지...
이것도 종류에 따라서 다른듯 하니 확언할 수는 없겠습니다만....
씨방은 포피는 양귀비보다는 작고 길쪼롬하지만 양귀비는 꽃사과의 씨방처럼 작은 방울토마토처럼 생겼습니다. 보통 이 씨방을 보고 양귀비인지 아닌지를 구분하곤 하죠.
이상의 정보가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꽃양귀비라 하더라도 변이종이나 혹시 씨앗 속에 섞여있을지 모르는 양귀비 씨앗이 문제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남원에서 키울때는 다른 종류는 심지않고 짙은 주홍빛의 한 종류의 포피만 심었는데....글 보고나니 다시 점검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단 대량으로 키우면 사람들의 주목을 받게되고 개중에는 꼼꼼히 살피는 사람도 있습니다.
키우는 사람도 모르는 그 한포기에 주목하고 신고하는 사람도 있구요.
대량으로 파종할 때는 여러가지로 주의를 해야할 것 같습니다.




첫댓글 이 사진들은 키우면 안되는 진짜 양귀비의 사진입니다.
저런 잎은 키우면 안되겠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사진속에 있는 양귀비는 화초양귀비(개양귀비)와 달리 잎에 흰색분을 발라놓은듯한 녹색, 식물줄기를 감싸나오는 형태의 잎모양, 잎과 줄기에 솜털도 존재하지 않는 교과서적인 재배금지가된 양귀비가 맞는 것 같습니다..단속대상 양귀비도 꽃의 형태도 다양하고, 색상도 흰색, 분홍, 적색등으로 퍽 다양하더군요. 위 형태와 유사한것은 뽑아 버리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칫 잘못하시면 낭패를 보실수 있습니다.. 매년6-7월은 양귀비류 집중 단속 기간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 드려요.
근데..키우면 안되는 양귀비..너무 이뻐요~~~
글쿠나~~ 좋은정보 감사드려요 .... 하지만 예쁘네용 ㅎㅎㅎㅎㅎㅎ
그렇군요 잘 알겠습니다 다시 살펴 봐야 겠네요
네 저도 작년에 심었더니 이런 녀석이 있더군요. 선별해서 뽑고 한포기는 확인차 놔 두었다가 꽃 보고 바로 뽑아 폐기했답니다.
개양귀비를 지나가는 길목에 심어놓았더니 의외로 우리집에 진짜 양귀비 키운다는 분들이 많더군요.
그냥 우연히 자란 경우도 많고 - 제가 알기론 이런 사진도 게재하면 안되는 것으로 압니다.
무조건 한종나를 통해 구매한 것만 키우시면 됩니다. 공유받은 것은 잘 살펴보시고
요즘 양귀비 집중 단속한다고 방송 하던데요~조심하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