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구조에서 일부 탄소원자와 탄소원자간의 결합은 이중결합과 단일결합이 교대로 반복된 긴 사슬을 이루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엽록소 분자는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의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들든 상태로 전이 될 수 있으며, 광합성 초기 광화학 산화환원반응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최신식물생리학(아카데미서적)
이책 이외에도 필수세포생물학인가 미생물학책에서도 포르피린구조에 의해 흡수되는 에너지를 언급하는데 어떻게 그 구조가 빛 에너지를 쉽게 들뜬 상태(잘 흡수하는지)로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화학적인 문제인가요......;;;
첫댓글 들뜬 상태라는게 전자가 많이 불안정한 상태라서 이동이 쉽다는 거 잖아요 대게 이중결합과 단일결합이 교대로 반복된 경우 전자 산화시키고 환원되면서 원래 이중결합이었던게 단일가닥으로 바뀐다거나 원래 단일결합이었던게 이중결합으로 바뀌기 싶다고 하네요 그래서 전자 이동이 아주 용이하죠..
아~그렇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