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두번째 문항에서 부교감신경 작용시 K+ 투과도가 증가해서 동방결절 탈분극 속도가 감소되는건 If 채널을 통한 K+ 유출이 증가하는것만 영향을 미치나요??
ㅂㅅㅇ 교재를 보면 부교감 자극시 전압개폐성 K+ 채널이 닫히는 것을 막아 과분극이 오래 지속된다고 해서 저는 K+ 투과성 증가로 인해 재분극이 오래 유지되는것도 활동전위 빈도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이 문제에서는 또 전압의존성 K+ 채널을 억제했을때 재분극이 느려진다고 해서 인지갈등이 옵니다..
전압의존성 K+채널을 억제했을때 재분극이 오래 지속되는건지 활성화 됐을때 오래 지속되는건지요ㅠㅠ
어느 부분에서 오개념이 생긴건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첫댓글 K+ 투과성 증가로 인해 재분극이 오래 유지된다는 표현도 맞는 거 같습니다(답변을 수정했습니다)
K+ 투과성 증가로 인해 과분극이 심화되어 휴지기 전위가 역치에 도달하기까지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활동전위 빈도도 감소되고요! (즉 재분극과 과분극에서 많은 시간 머물게 된다) <- 이때는 K+ 채널 닫히는 것을 막는 경우
그리고 10번 문항에서는 B 자극의 유무에 따른 비교이기 때문에 (B 자극 시) K+채널이 열리는것을 억제하게 되면 재분극과 과분극 자체를 지체하기 때문에 탈분극되어 있는 시간이 지속되고, 순차적으로 재분극과 과분극되는 시간은 지체된다(느려진다) 고 생각되네요!
위 아래가 다른 상황이라고 보이네요!
감사드려요 선생님 !!
그러면 동방결절에 교감신경 자극으로 인해 k+ 투과성이 감소했을 때는 어떻게 이해하면 될까요?
10번 문제와 비슷하게 과분극을 지체해서 탈분극 되는 시간을 지속시킬것같은데 오히려 활동전위 빈도가 빨라지는걸 어떻게 이해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ㅜㅜ
부교감신경 자극시와 비슷하게 휴지기 전위가 더 높게 형성되는 것과 관련해서 이해해야 할까요??
@채채 동방결절에서 교감신경 자극으로 인해 K+의 투과성이 감소되어서 활동전위 빈도가 상승한다기 보다는, T형 voltage Ca2+ channel의 투과도와 lf나트륨 채널의 투과도가 증가해서 탈분극이 빨라지는것으로 이해하시는게 빠를실 겁니다.
실제로, K+투과성이 감소해서 AP가 증가하는 상황은 시냅스 전 후의 상호작용일때 입니다. 이때는 축삭말단의 전위가 높게 유지되니, Ca2+채널이 계속열려 신경전달 물질을 많이 방출하니까요.
실제로는 K+투과성이 하나의 세포안에서 감소하면, 오히려 AP의 발생속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작성자님 말씀대로 재분극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죠.
@ㅎㄱㅎㅈ! 오 선생님 저도 하나 더 배운 거 같은데 감사합니다!
실제로, K+투과성이 감소해서 AP가 증가하는 상황은 시냅스 전 후의 상호작용일때 입니다. <- 10번 상황
실제로는 K+투과성이 하나의 세포안에서 감소하면, 오히려 AP의 발생속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 가장 위의 반대 상황(교감신경)
이라고 보면 될까요??
(@채채 전 동방결절에서 교감신경 자극으로 인해 T형 voltage Ca2+ channel의 투과도와 lf나트륨 채널의 투과도가 증가해서 탈분극이 빨라지는 것까지 알고 있었습니다!-ㅂㅅㅇ 교재 기반)
@인사돌 실제로, K+투과성이 감소해서 AP가 증가하는 상황은 시냅스 전 후의 상호작용일때 입니다.-이 부분의 경우, 10번 상황을 설명할떄 더 편한거 같고요.
실제로는 K+투과성이 하나의 세포안에서 감소하면, 오히려 AP의 발생속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이 경우는, 맨 처음 문제와 반대되는 상황이면, 어떻게 변하지는 지 궁급하시다고 해서 답변드린겁니다.
실질적으로, K + 투과성이 증가하든, 감소하든, .AP의 발생속도는 둘 다 느려지는게 가능해서요.
@ㅎㄱㅎㅈ! 아 이해된 거 같아요! 저도 감사합니다!! (혹시나 혼선이 생길까 질문은 수정해 둘게요!)
@채채 선생님 제가 제일 위의 댓글을 수정해서 다시 한 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 선생님 표현도 맞는 거 같습니다ㅠㅠ!
@ㅎㄱㅎㅈ! 선생님 일단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ㅠㅠ
그러면 <실제로는 K+투과성이 하나의 세포안에서 감소하면, 오히려 AP의 발생속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작성자님 말씀대로 재분극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죠.> 이게 첫 문제인 부교감신경과 반대상황 즉, 교감신경 상황이라는건데 그럼 활동전위 발생빈도 증가와는 상충되는것 아닌가요 ㅠㅠ 혹시 둘을 관련지어 생각하면 안되는것일까요,,?
시냅스 상황과 발생 양상이 다르다는것과, if와 칼슘 통로로 이해해야한다는 설명은 이해가 됐습니다!! 별개로 k+이 미치는 영향이 부교감신경의 경우는 이해가 됐어서 교감신경의 경우도 궁금합니다,,
@인사돌 넵 선생님 감사합니다!! 혹 제가 이해한것과 선생님이 이해하신게 어떤 차이가 있는걸까요ㅜㅜ
@채채 제가 위 아래 문제가 서로 다른 상황이라고 했는데
정확하게 가장 위 문항은 하나의 세포 안인 상황, 10번 문제는 시냅스 전 후 상호작용할 때의 상황이라는 것을 이해했다는 것이었습니다! (각각의 구체적인 상황을 이해했다는 것)
저도 교감신경 자극으로 인해 K+ 투과성이 감소해서 활동전위 빈도가 빨라진다고 알고 있어서(총론 내용) <실제로는 K+투과성이 하나의 세포안에서 감소하면, 오히려 AP의 발생속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문장에서 활동전위가 감소됐다는 건 맞는지 잘 모르겠네요!
@히히성곰 뭐가 더 중점적이라기 보다 문제에서 물어보는 것에 따라 답변의 범위가 달라질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인사돌 함께 고민해주셔서 감사드려요 선생님!! 덕분에 이해가 되었습니다😊
아 그러네요. 설명이 조금 잘못되긴 했는데, 그 동방결절 자체에서는 교감신경 자극시 K+투과성이 감소되어서 기본적인 막전위 값이 상승하면, 전압개폐성 칼슘채널의 흥분이 쉬워지는거죠.
근데, 이 활동전위가 전달이 될 때, 재분극이 문제가 되는 상황이 발생할수 있기 때문에 Ap발생 속도가 감소할수도 있다고 말씀 드린겁니다.
그래서, 이런 문제는 상황에 따라 해석해주셔야 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하 상황에 따라 해석이 달라져야하는군요ㅜㅜ 이해가 되었습니다 자세한 설명 정말 감사해요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