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아래 그림은 2년 전 총론 강의 설명인데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질문에 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간에 주로 젖산보다 피루브산에 대한 친화력이 더 큰 LDH5가 존재하는데 코리 회로를 떠올려봤을 때 간에서 젖산 발효보다 젖산의 산화가 더 많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LDH5랑 젖산 발효, 젖산의 산화와의 빈도 비교는 별도로 봐야 하는 건가요?
2. '[NADPH]/[NADP+] > [NADH]/[NAD+]' 이 설명은 어떤 내용에 대한 설명인가요? 다시 보니 이 내용은 기억이 잘 안 나네요. 인체에서 NADPH가 발생하는 상황은 PPP 회로밖에 생각이 안 나서 어떤 내용과 관련된 설명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첫댓글 비댓 금지라 해서 다시 댓글 달겠습니다. 다시 정리해보자면 젖산탈수소 효소는 크게 LDH1과 LDH5으로 나뉩니다. 이 중 LDH5를 갖는 대표적인 곳이 골격근과 간입니다. 골격근은 피루브산에 대한 친화력이 강해서 젖산발효가 잘 일어나고 간은 정상적인 상태에선 산화가 더 잘 발생합니다. 필기내용이 맞는 거입니다!
제가 처음에 잘못 댓글을 단 거 같아서…활발한 운동 시 근육에서 생성 된 젖산은 골격근을 통해 혈액으로 방출되어 혈액을 통해 이동된 젖산이 간에선 피루브산으로 산화됩니다. 이게 코리회로입니다!
2. 간세포에선 ppp회로를 통해 지방산 합성시 사용되는 NADPH를 많이 공급받습니다.
선생님 자세한 설명 정말 감사합니다! 이제 질문한 내용이 완전 이해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