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둘다 음이온일때 s의 크기가 더커서 안정화돼서 s음이온이 약염기이며 HS는 더 센산이라 알고 있습니다.
그럼 친핵성도 s음이온이 더 안정하니 o음아온과 비교해서 더 약한 친핵체아닌가요?
첫댓글 친핵성도는 solvent에 따라서도 달라지기도 합니다. 만약 극성 양성자성 용매라면 같은 족에서 SeH- > SH- > OH-가 됩니다^^ 크기가 작을수록 용매에 의해 친핵체가 solvent cage 에 들어가 안정화되는 것입니다.
만약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라면 친핵성도는 반대가 됩니다
무극성 용매는 친핵체를 녹일 수 없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추가로 고리내 반응을 하는 경우 황의 크기가 더 커서 더욱 더 쉽게 반응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개념을 탄탄하게 해두시면 판단 가능한 영역에서 나올거에요
황과 산소의 경우 친핵성도를 비교하면, 일반적으로 황은 전기음성도가 산소에 비해 작기 때문에 자신의 전자를 덜 강하게 붙잡습니다. 따라서 더 좋은 친핵체입니다. Thiolate와 alkoxide의 necleophilicity 라고 검색하시면 궁금하신 점들 해결하실 수 있을거예요
아 ㄷ ㄷ ㄷ ㄷ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