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생물 (비댓 금지) 순환적 광인산화, DCMU
불안을 실행으로 덮기 추천 0 조회 537 24.11.17 16:51 댓글 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4.11.17 17:44

    첫댓글 1. 순환적 광인산화반응이 총론은
    페레독신ㅡ플라스토퀴논ㅡ시토크롬b6fㅡ플라스토시아닌ㅡ광계1ㅡ페레독신 이고
    ㅂㅅㅇ는 페레독신ㅡ시토크롬b6fㅡ플라스토시아닌 이후 동일로 설명하고 있네요.

    2. DCMU는 광계2에서 플라스토퀴논으로의 전자전달을 차단하므로 두 책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보면 전부 순환적 광인산화반응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어차피 페레독신에서 플라스토퀴논이든 시토크롬b6f복합체든 전자가 전달되는것을 DCMU가 저해하지 못하기때문)
    따라서 순환적 광인산화반응은 DCMU에 의해 저해되진 않을 것 같습니다.

    선생님이 올려주신 자료만으로 해석했는데 저는 이상한점은 느끼지 못했습니다!

  • 24.11.17 17:56

    저도 정확하게 아는건 아니지만...

    * PS I 빛 흡수 시 ( P700 → P700+ 산화, e- 방출) ; e-→ fd → PGR5 (최근 알려진 막 단백질)경유 → PQ → → Cyt b6/f → PC → PS I (에 재 복귀)
    * 광계II 관여없이, 광계 I 중심의 전자전달 과정(으로)→ “NADPH 생성 불가, 오직 ATP만 생성”
    * ∴ 순환적 전자전달 의의→ 엽록체 스트로마 내 ATP/ NADP 비율 조절→ 엽록체 대사 활성 유지 (에 중요)

    이렇게 대학교 식물생리학 수업에서 교수님이 직접 필기해두신 ppt 내용입니다!

    DCMU가 저해하는 것은 광계 Ⅱ에서 PQ로 전자가 전달되는 것이므로 비순환적 광인산화를 멈추는 것이지, 순환적 광인산화는 일어난다고 봐야 할 것 같아요.
    찾아보니까 광계Ⅱ에서 PQ로 전자가 전달되는 과정 중 일부가 QA → QB → PQ 인데, 이중 DCMU는 QB에 결합하여 PQ와 경쟁한다고 합니다.

  • 24.11.17 17:49

  • 24.11.17 18:02

    https://m.cafe.daum.net/S2000/bS7/18228?svc=cafeapp

    예전 카페글인데 의견이 분분한거 같아요 저도 확실한 답이 궁금하네요ㅠ

  • 24.11.17 18:02

    https://m.cafe.daum.net/S2000/bS7/14306?svc=cafeapp

  • 24.11.17 19:02

    치욱이는 닫힌 계를 가정한 것이고, 선우는 열린 계를 가정한 것입니다.

    닫힌 계(전자 유실이 없는 경우)는 DCMU 처리 시 전자가 무한히 순환적 광인산화를 통해 ATP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명체는 열린 계(전자 유실이 발생)이므로 DCMU처리 시 지속적인 전자 유입이 없으면(물의 광분해 부재) 전자 유실에 의해 순환적 광인산화도 저해됩니다.

    임용에 나오기 어렵습니다. ^^

  • 작성자 24.11.17 19:04

    헉 선생님 감사합니다 !! 닫힌계, 열린계로 보니 이해가 돼요 !!! 감사합니다 ㅠㅠ 시험에 안나온다니.. 그냥 가볍게 봐야겠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 24.11.17 19:04

    @불안을 실행으로 덮기 깊게 생각하지 마세요 ㅎㅎ
    임용에 나오기도 어려워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