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금지!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4. 질문 전에 검색해보기! 질문은 구체적으로!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지우지 마세용)
물리화학이랑 분석은 학교 다닐 때에 버렸어서 거의 노베에 가깝습니다 ㅠㅠ
1. 유기는 어느정도 자신이 있어서 물리화학과 분석을 위주로 공부하려고 하는데요,
전공서적을 우선 읽고서 인강에 들어가는게 좋을까요?
만약 전공서적을 본다면 어느정도 깊이까지 보는게 좋은지 여쭤보고 싶고, 인강은 좀 쉬운 강사님이 있으면 추천받습니다 ㅠㅠ
2. 일반화학이 임용에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전기화학쪽이랑 산.염기 쪽이 약한데 이게 큰 영향을 줄까 싶네요 ㅠㅠ
MDEET쪽 인강이라도 듣고 오는게 좋을까요?
첫댓글 1. 전공서부터 보면 진입장벽이 넘 높다고 생각합니다. 전 들어보진 않았는데 ㄱㅈㅎ 교수님 강의가 그나마 좀 양이 적어서 후딱 듣기 좋을 거 같아요. 개념은 첨부터 깊이 이해하려 하기보단 일단 빨리 훑는게 장땡입니다
2. 일반화학은 전 굳이....? 전기화학이랑 산염기는 매우 중요한 파트이지만 분석에서 하면 됩니다.
제가 전기화학과 산염기쪽이 많이 약한데, 그럼 이쪽은 차라리 분석강의를 보는게 나을까요?
@팽도링 분석 강의나 전공서도 매우 친절하게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일반화학은 오히려 너무 쉬워서 원하는 설명을 찾지 못하실거예요. 분석화학 내용이 영 이해가 안된다면 그때 일반화학을 참고하셔도 충분합니다. ex) 스쿠그 분석화학의 다가산염기 적정의 경우 당량점을 구하는 과정이 너무 복잡하게 기술되어 오히려 일반화학 내용이 기출 풀이에 더 적합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03 10:23
1. 학생 때 공부하던 방법 그대로 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인강 듣고 공부하는게 잘 됐다면 인강 듣고, 인강 없이 공부했다면 전공서적부터 펼치고.
근데 인강, 전공서적 모두 이해수준은 얉게부터 조금씩 파가면서 하는게 맞는거 같아요. 다시 볼 때마다 새로 얻어가는게 있는거 같거든요.
2. 일반화학은 고등학교 화1, 화2 내용 합친 수준입니다. 알고 있다면 패스해도 무관할거 같네요.
특히 전기나 산 염기 모두 해리스 책에 친절하게 서술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전기 산 염기쪽이 너무 약한데.. 이쪽을 메우기 위해서 일반화학 강의를 다시 듣기에는 비효율적이란 말씀이겠죠.. ㅜㅜ
일반화학 강의도 알아보니 70정도라 너무 부담스럽네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