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ECD 교육 2030 개념 노트
1. 학생 행위주체성:
"행위주체성은 목표를 설정하고 반성하고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책임감 있게 행동할 수 있는 역량으로 정의된다. 이것은 작용받는 것이 아니라 작용하는 것이고, 타인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형성하는 것이며, 다른 사람에 의해 설정된 결정과 선택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책임있는 결정과 선택을 하는 것이다."
- 행위주체성은 도덕적, 사회적, 경제적, 창조적 등 거의 모든 맥락에서 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타인의 권리와 필요를인식하는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덕적 행위주체성을 사용해야 한다.
- 더불어 자신과 사회의 이익을 위해 행위주체성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초적인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기술이 필요하다.
- 협력적 행위주체성은 교사와 학생이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공동 창작자가 되는 것,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와 공유된 목표를 향해 상호지원하고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부모, 친구, 교사, 지역사회는 학생의 행위주체성에 영향을 미치고, 학생은 교사, 친구, 부모의 행위주체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아이의 발달과 건강과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선순환 구조이다.(Salmela-Aro, 2009)
"행위주체성의 발달은 가족, 친구, 교사와 오랜 시간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관계적 과정이다." (Schoon, 2017)
"학생 행위주체성은 다양한 맥락에서 훈련되어야 한다."
"행위주체성을 발달시키는 것은 학습의 목표이자 동시에 학습 과정이다."
"행위주체성은 학생들이 미래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발달시키기 위한 토대이다."
- 학생들이 학습하고, 피드백을 받고, 자신의 작업에 대해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행위주체성이 발달하게 된다. (예상-행동-성찰)
행위 주체성은 문화적 특수성에 의해 다르게 정의되더라도 '학생들이 교육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은 OECD 학습 나침반 2030의 핵심이다.
"남아공에서 학생 행위주체성은 "사람은 다른 사람을 통한 사람"이라고 해석된다.(Desmond, 2017)
교사는 행위주체성을 중요시하는 교육 환경을 설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 교사가 효과적인 공동 행위자가 되려면 "점누성을 성장시키는 방향으로 목적의식적이고 건설적으로 행동하고 학생과 동료교사들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다.(Calvert, 2016) 이를 위해 교사 교육 및 전문성 개발을 포함한 지원을 받아야 한다. (마사누스바움의 역량개념)
친구들은 서로의 행위주체성에 영향을 준다.
협력적 행위주체성은 학생과 학생 수준에서도 발생한다. 학생들이 수업을 구성하는 데 능동적인 역할을 하게 될 때, 학생들이 수업에서 더 참여하고, 질문하고, 개방적이고 솔직한 토론을하고, 반대 의견을 표현하고, 도전적인 발언을 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Salmela-Aro, 2017 [20]). 그렇게 할 때 학생들은 더 높은 수준의 분석 기술과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게 되고, 문제해결에 더 창조적이게 된다 (Greig, 2000 [21]; Hogan, Nastasi and Pressley, 2000 [22]). 학생들은 더 강한 자율성을 습득하고 팀 작업에 더 자
신감을 갖게 된다 (Gafney and Varma-Nelson, 2007 [23]). 이를 통해 학생들은 더 높은 성취도, 태도 및 끈기, 더 큰 권한 부여, 향상된 분석적 사고 및 문제해결 능력을 갖게 된다.
“집합적 행위주체성”은 공공재에 변화를 이끌어 낸다.
집합적 행위주체성은 공동체, 사회운동, 글로벌 사회를 위해 함께 행동하는 개인이라는 개념과 연관이 있다. 협력적 행위주체성과는 대조적으로 집합적 행위주체성은 더 큰 규모에서 실행되고 공동 책임감, 소속감, 정체성, 목적과 성취를 포함한다. 정부에 대한 불신의 증가, 이민의 증가, 기후 변화 등과 같은 많은 복잡한 문제들이 집단적 대응을 필요로 한다. 사회 전체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집합적 행위주체성은 개인이 서로의 차이와 긴장을 제쳐두고 함께 모여 공동의 목표를 달성할 것을 요구한다 (Leadbeater, 2017 [6]). 집합적 행위주체성을 통해 사회는 더욱 견고해지고 통일적이 된다.
2. 학습의 전제 조건이 되는 핵심토대
OECD 미래의 교육과 기능 2030 프로젝트의 국제적 관계자들은 특히 중요한 세 가지 토대를 강조한다
⚫ 인지 토대 : 문해력과 수리력, 이에 기반하여 구축되는 디지털 문해력과 데이터 문해력을 포함
⚫ 건강 토대 :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행복
⚫ 사회적 정서적 토대 : 도덕과 윤리를 포함
문해력이란? 사람들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세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읽고, 쓰고, 말하고, 듣는 능력"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문해력은 다양한 형식과 맥락에서, 그리고 다양한 목적으로 으로 텍스트와 시각적 정보를 이해, 해석, 사용, 생성하는 능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기호와기호 시스템을 인코딩하고 디코딩함으로써 의미를 생성하는 것).
수리력이란? "수학 정보와 아이디어에 접근, 사용, 해석, 의사소통하여 다양한 상황의 수학적 요구에 참여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다. (PIAAC Numeracy Expert Group, 2009 [2]). 특히 수리력은 디지털 환경을 포함한 일상 생활에서 수학적 도구, 추론, 모델링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는 수리력, 데이터 문해력, 디지털 문해력이 종합되어 사용된다.
현대 사회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하려면 사람들은 우리의 일상 생활을 채우는 숫자와 언어로 된 많은 기호를 읽고 쓰고 의미를 만들 수 있어야 하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의미 있게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문해력과 수리력은 오늘날처럼 2030년 그 이후에도 필수적이다.
수리력은 수학 공식을 이용해 연습문제를 푸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과 전문적인 상황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탐색, 해석, 계산하고 데이터를 활용해서 의사소통하는 데 능숙해는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테이터 문해력
디지털화가 삶의 모든 영역으로 확장됨에 따라 디지털 및 데이터 문해력은 이미 핵심 토대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글을 읽고 쓰려면 다양한 온라인 미디어의 디지털 텍스트와 소스를 읽고, 해석하고, 의미를 만들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아주 용이하게 생성, 접근, 공개되는 정보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걸러낼 수 있는 능력이필요하다.
유투브 사용자는 매분 48시간 이상의 새동영상을 업로드한다. 2018년에는 매일 거의 5억 개의 트윗이 게시되었다 (Omnicore,
2019 [6]). 매달 약 300억 개의 콘텐츠가 페이스북에서 공유된다 (Bhatia, 2019 [7]). 데이터는 전례 없는 속도로 생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는 크기뿐 아니라 소스 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전세계적으로 유튜브에 올라가는 동영상은 1분에 48시간 분량 이라네. 그럼 10분엔 480시간, 1시간은 2,880시간, 하루에 69,120시간, 1년에 25,228,800시간이 되겠다. 이기준은 2019년 발표자료니까 지금은 더 많이 올라갈 수도 있겠다.
데이터 문해력은 데이터에서 의미있는 정보를 도출하는 능력, 데이터를 읽고, 작업하고, 분석하고, 논쟁하는 능력이며, "차트를 적절하게 읽는 방법, 데이터에서 올바른 결론을 도출하는 방법, 데이터를 인식하는 방법 등 데이터가 잘못되거나 부적절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해서 데이터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이해하는 능력이다. ”(Carlson et al., 2011 [4]).
빅 데이터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과 영향력은 방대한 새로운 기회, 압력, 윤리적 도전과 딜레마를 만들고 있다. 데이터 문해력을 갖춘다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화된 세계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한편으로는 점점 더 상호 연결되는 세계와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적 고립이 심화되고 있다는 역설과 수와 범위에서 거의 무한한 미디어 소스의 시대에 “탈진실”의 출현과 같은 긴장들을 완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건강:
오늘날의 어린이와 청소년은 이전 세대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더 적게 잠을 자고 있다 (Aston, 2018 [12]). 새로운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사이버 괴롭힘, 잠재적으로 유해한 온라인 행동, 신체 활동에 소요되는 시간의 감소 등과 같은 새로운 위험들이 나타나고 있다 (Hooft Graafland, 2018 [20]).
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 신체적, 정서적 건강과 행복을 발달시킬 필요가 있다. 핵심 토대로서 건강이 보장되어야만, 평생 동안 건강하게 지내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지식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다. 여기에는 건강 정 보에 접근, 이해, 평가, 적용할 수 있는 능력, 기술, 지식, 동기, 자신감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효한 판단을 내리고 의료, 질병 예방, 건강 증진에 대한 책임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다 ((HLS-EU) Consortium Health Literacy Project European, 2012 [9]; Zarcadoolas, Pleasantand Greer, 2005 [10]; Kickbusch and Maag, 2008 [11]).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습관은 성인 생활로 이어지고 건강에 필수적인 신체 활동과 학업 성취도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다 (Cook and Kohl, 2013 [15]). OECD 국제 학생 평가 프로그램 (PISA)의 결과에서 교육 시스템의 평균 과학 성과와 해당 국가의 15세 학생이 학교 밖에서 중간 정도의 신체 활동을 하는 일수 사이에는 양의 상관 관계가 밝혀졌다 (OECD, 2017 [16]). OECD의 21세기 아동 프로젝트에 따르면, “정기적으로 운동하고 영양이 풍부하며 수면을 잘하는 아동은 학교에 빠지지 않고 나가서 학교에서 잘 지낼 가능성이 높다” (Burns, 2018 [17]). 또한 청소년기의 좋은 건강 습관이 평생동안 삶과 사회적 참여의 질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 (Halfon, Verhoef and Kuo, 2012 [18]; Dietz, 1998 [19]).
사회적, 정서적 토대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미래의 도전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젊은이들은 지속적으로 적응하고,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도전을 직면해서 극복하고, 개인 및 집단 생활에서 직면하게 되는 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 그러한 능력은 회복력, 자기규제, 신뢰, 공감, 협력과 같은 사회적, 정서적 기술에 달려있다.
오랫동안 수학 교육과정의 정점이었던 미적분학이 실제로 수학 학생에게 가장 유용한 목표일까? 학교는 아이들이 기후 변화, 도시화 증가, 인구 고령화와 같은 큰 문제와 세계적 변화에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는가? 젊은 학습자들이 고등 교육과 미래의 직업 시장을 위해 실행 가능한 많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학교가 교육과정에 포함해야 하는 새로운지식 영역은 무엇인가?
글로벌 트렌드 (OECD 교육 및 기술의 미래 2030 프로젝트 배경 참조)에 비추어, 학교와 학교 시스템은 학생들이 새로운 현실과 새로운 요구에 대처할 수 있게 보다 광범위한 지식, 기술, 가치, 태도를 발달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현대화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일부 사회 부문에서는 학교에 학생들의 금융 문해력을 발달시킬 것을 요구했다. 마찬가지로 '가짜 뉴스'가 증가하고 전통적인 뉴스 미디어를 변화시키는 디지털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학교에서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즉 비판적 사고를 통해 여러 미디어 소스에서 의미를 도출하고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 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스타트 업” 문화의 폭발과 함께 전통적인 노동 모델과 전문직 경로가 붕괴됨에 따라 학생들이 기업가적 기술을 발달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테러 공격과 삶과 평화에 대한 위협으로 민간인들이 점점 더 상처를 입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므로, 학생들은 공감, 관용, 타인에 대한 존중을 포함한 글로벌 역량을 시급하게 발달시켜야 한다. 실제로 교육을 통한 평화와 지속 가능한 개발을 촉진하는 것은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SDG) 목표 4.7에 명시되어 있다.
UN SDGs(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시행 된 새천년개발목표(MDGs) 종료 후, 2015년 9월 새로 설정 된 목표로, 2016년부터 2030년까지 새로 시행되는 유엔과 국제사회의 최대 공동목표입니다. 인류의 보편적 사회문제 (빈곤, 질병, 교육, 여성, 아동, 난민, 분쟁 등), 지구 환경 및 기후변화 문제 (기후변화, 에너지, 환경오염, 물, 생물다양성 등), 경제 문제 (기술, 주거, 노사, 고용, 생산 소비, 사회구조, 법, 인프라구축, 대내외 경제) 를 2030년까지 17가지 주요 목표와 169개 세부목표로 해결하고자 이행하는 국제사회 최대 공동목표이며, 2015년 제70차 UN총회 및 UN지속가능개발 정상회의에서 193개국 만장일치로 제정되었습니다. 특히 SDGs는 매년 3조3,000억~4조5,000억달러(3,850조~5,880조원)의 천문학적 예산이 들어가며, 전 세계 산업계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SDGs는 글로벌 주요 기업이 기업경영 핵심가치로 삼는 ‘지속가능경영’ , ‘ESG경영’, ‘환경경영’의 가장 중심이 되는 글로벌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Goal 1 : 모든형태의 빈곤종결 Goal 2 : 기아해소,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발전 Goal 3 : 건강 보장과 모든 연령대 인구의 복지증진 Goal 4 : 양질의 포괄적인 교육제공과 평생학습기회 제공 Goal 5 : 양성평등달성과 모든 여성과 여아의 역량강화 Goal 6 : 물과 위생의 보장 및 지속가능한 관리 Goal 7 : 적정가격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제공 Goal 8 :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및 양질의 일자리와 고용보장 Goal 9 : 사회기반시설 구축, 지속가능한 산업화 증진 Goal 10 : 국가 내, 국가 간의 불평등 해소 Goal 11 : 안전하고 복원력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와 인간거주 Goal 12 :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 Goal 13 :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방지와 긴급조치 Goal 14 : 해양, 바다,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보존노력 Goal 15 : 육지생태계 보존과 삼림보존, 사막화방지, 생물다양성 유지 Goal 16 : 평화적, 포괄적 사회증진, 모두가 접근가능 한 사법제도 제도와 포괄적 행정제도 확립 Goal 17 : 이 목표들의 이행수단 강화와 기업 및 의회, 국가 간의 글로벌파트너십 활성화 |
그러나 교육과정은 이미 과부하 상태이다. But curricula are already overloaded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과정은 전통적으로 특정 교과와 학습 영역을 중심으로 설계되어있다. 새로운 과목이나 학습 영역을 추가하면 교육과정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역량 중 일부의 개념적 복잡성을 감안하면 새로운 과목이나 학습 영역을 기존 과목에 포함시키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맥락에 특수한 주제를 개별적으로 단독으로 학습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다는 증거들이 있다. 예를 들어, PISA 결과 (OECD, 2014 [31])는 학교에서 금융 문해력 프로그램 수행한 것과 PISA 금융 문해력 테스트 점수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핵심 토대에 대한 양질에 학습에 추가하여 새로운 역량을 모든 학생들을 위한 심도있는 학습 경험으로 의미 있게 이어지도록 교육과정 내에 포함시키는 것이 한 가지 방안일수 있다. 예를 들어, OECD 미래의 교육과 기능 2030 교육과정 내용 매핑 연습에 참여한국가들에서 금융 문해력은 일반적으로 수학, 인문학, 기술/가정 경제와 같은 교과에 포함되었다. 표 1 (다음 페이지)은 금융 지식과 같은 주제가 지식, 기술, 가치, 태도 구성 요소로"분해"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준다.
Figure 1. Exposure to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at school and performance in financial literacy
그림 1. 학교에서의 금융이해교육 노출 및 금융이해 성과
이는 핵심 기초에서 양질의 학습 외에도 모든 학생을 위한 딥 러닝 경험으로 이어질 의미 있는 방식으로 이러한 새로운 역량을 커리큘럼에 포함시키는 것이 한 가지 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예를 들어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커리큘럼 내용 매핑 운동1에 참여한 국가 전체에서 평균적으로 금융 이해력은 일반적으로 수학, 인문학, 기술/가정 경제학과 같은 과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표 1(다음 페이지)은 금융 지식과 같은 주제가 지식, 기술, 가치 및 태도 구성 요소로 "분해"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변혁적 역량(TRANSFORMATIVE COMPETENCIES)
민주적인 시민, 참여하는 시민을 길러내야 하는 이유는 이제 전지구적 문제에 대한 해결이 '국가', '시장'은 한계에 봉착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변혁적 역량은 '건강한 민주시민'을 길러내는 것과 동일한 과정이다.
* 전주교대 이경한 교수 강의 적바림 - 민주시민교육의 내용 요소들: 인권교육, 문화 다양성(culture diversity)교육, 평화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UN의 SDGs) - GDP가 2만5천불 이하이면 교육의 아젠다를 학교가 주도하게되고 그 이상이면 학부모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Q. 시민참여를 위해서는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하는데 우리 사회는 각자 먹고 사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데 참여하는 시민을 길러내는데 한계가 있는 것은 아닌가? A: 먹고 사는 문제가 힘들어지면 정치 참여도가 낮아지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다. 자본과 국가의 고도의 전략일 수 있다. 그런데 공적영역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적어지만 사적영역의 자율성과 존엄성을 보장 받을 수 없다.(하버마스) 따라서 사적 영역의 보장을 위해서는 공적 영역에 대한 관심과 참여는 자신이 어떤 사회에서 살고 싶은지에 대한 선택의 문제가 된다. 생태시민성의 특징(Dobson, 2003) - 첫째, 공간적으로 국가의 경제를 넘어 전 지구적으로 확대되는 '비영토성(비여역성)'이다. (미세먼제 문제는 우리나라의 화석발전소에 대한 문제는 제기되지 않으며 중국이라는 외부의 대상만을 부각시킴으로서 문제의 원인을 외재화 한다.) - 둘째, 권리보다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성에 기반하여 의무와 책임을 먼저 고려하는 비계약성이다. - 셋째, 인간과 자연 간의 비상호호혜성에 기반한 정의, 공감, 배려, 연민 등의 덕성과 가치에 대한 존중이다. - 넷째, 사적 영역이 강조된다. 엄밀히 사적/공적 영역을 모두 포괄한 범위를 다루고 있지만, 사적 영역에서 일상적 실천을 중시한다. (소비 등 일상의 삶과 기후변화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는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간의 넘나듦이다.) - 다섯째, Dobson의 시민성 정의는 환경 문제가 국경을 초월해서 전 지구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해결 방법과 실행에서도 전지구적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환경은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성에 근거한다. 그런데 시간은 관념의 산물이다. 과거도 의식의 산물이라면, 미래 또한 관념의 산물이다. 관념의 영역은 실재적이지 않다. 그래서 어렵다. 결국 미래에 대한 이야기는 신념의 문제라서 종교적인 측면을 갖는다. 영국의 시민교육 1) 마샬(Marshall, 1950)의 시민성 -18세기: 공민적 시민성(Civic citizenship)-개인의 자유와 권리에 대한 인식, 재산권 등 강조 -19세기: 정치적 시민성(politcal citizenship)- 정치적 권리행사에 참여할 권리에 초점, 국회, 지방의회, 행정부 등에 참여하여 선거권, 피선거권 행사하는 자질 등을 강조 - 20세기: 사회적 시민성(Social citizenship)- 시민의 경제적 복지와 안정, 문화적 삶을 요구하는 권리에 대한 인식 강조. 민주시민교육, 생태시민교육은 특정 교육프로그램으로 제안되어서는 안 된다. 기존 교과 체계 내에서 성취기준별로 매칭하는 것을 한 축으로 하고 창체나 자유학기제 등 비교과영역에서 실행방안이 제안되고 실천사례가 공유되어야 한다. 더불어 민주시민교육은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갖춘 교사를 전제로 해야 한다. |
1) 새로운 가치 창출하기: 혁신은 포용적 성장과 지속 가능한 발달의 핵심
혁신은 새로운 일자리, 비즈니스, 제품 및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 이상입니다. 그것은 새로운 지식, 통찰력, 아이디어, 기술, 전략 및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기존 문제와 새 문제 모두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창출된 새로운 가치는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이기도 하므로(Rychen, 2016 [5]), 사회와 경제 모두를 위한 지속 가능성과 탄력성에 대한 비전을 필요로 합니다(Ben
tley, T., 2017 [4]).
Box 1. ‘새로운 가치 창출’과 관련된 핵심 구성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학생들은 새로운 아이디어, 전망 및 경험에 대한 목적의식, 호기심 및 열린 마인드를 가져야합니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려면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찾는 데 있어 비판적 사고와 창의력이 필요하며 복잡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협력해야 합니다. 솔루션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평가할 때 학생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도하는 데 민첩성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관련된 위험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학생들은 또한 새롭게 떠오르는 통찰력과 발견을 기반으로 접근 방식을 변경할 때 적응력이 필요합니다. |
2) 긴장과 딜레마 조정하기: 상충되고, 모순적이거나 양립할 수 없는 요구의 균형 잡기
상호 의존적 세계에서 지구적 도전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예컨대 평등과 자유, 자율과 연대, 효율성과 민주적 절차, 생태학과 단순한 경제 모델, 다양성과 보편성, 그리고 혁신과 연속성간의 긴장과 딜레마 및 타협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겉보기에 모순되거나 양립할 수 없는 요구들의 균형을 맞추는 기능을 필요로 합니다.
상충되는 요구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선택의 여지가 없거나 심지어 단일한 해결책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것입니다. 미래의 번영을 위해 학습자는 겉보기에 모순되거나 양립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이는 생각, 논리 및 입장 사이의 다양한 상호 연결과 상호 관계를 고려하고, 장단기적 관점에서 자신 행위의 결과를 고찰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보다 복잡한 세계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역량은 ‘다양성과 부조화를 창조적 대응 방식으로 관리하는 능력’입니다(Haste,2001 [6]). 상충되는 아이디어를 긴장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학습자는 검증이 필요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그들은 반대 입장을 더 깊이 이해하고 자신의 입장을 뒷받침하는 논거를 개발하며 딜레마와 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Eberly Center, 2016 [7]).
예를 들어, 학생들이 물-에너지-식량 연계나 순환 경제와 같은 실제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복잡한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도록 하는 시스템-사고 접근법은, 학생들이 시스템 내에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작업은 학습자가 다양한 해결책을 인식하고 모호성을 성공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Senge, 2015 [8]).
Box 2. ‘긴장과 딜레마의 조정’과 관련된 핵심 구성 긴장과 딜레마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먼저 다양한 관점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이러한 다양한 관점들이 어떻게 긴장과 딜레마를 초래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인지적 유연성과 관점-수용 기능을 갖추어야 합니다. 학생들은 또한 자신과 다른 견해를 가진 타인에 대한 공감과 존중을 모두 보여주어야 합니다. 그들은 또한 겉보기에 다루기 힘든 문제, 특히 갈등 해결 기능에 대한 새롭고 다른 해결책을 고안하기 위해 창의성과 문제 해결 기능이 모두 필요할 것입니다. 긴장과 딜레마를 조정하는 것은 복잡하고 때로는 어려운 결정을 내리는 것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탄력성, 복잡성 및 모호성 대한 관용, 타인에 대한 책임감을 발달시켜야 합니다. |
3) 책임지기 : 행동의 윤리 고려하기
책임감은 행동이
결과를 낳고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힘이 있음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성숙한 행위주체성의 핵심(학생의 행위주체성에 대한 개념 노트 참조)이 됩니다(Leadbeater, 2017 [10]).
발달 신경과학의 발전은 청소년기에 폭발적으로 나타나 평생 동안 변화하고 발달하는 뇌의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특히 가소성 있는 뇌 영역과 시스템은 미리 계획하고, 결정의 결과를 고려하고, 위험을 평가하고, 충동과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자기규제의 발달에 관련되어 있습니다(Steinberg, 2017 [12]). 청소년기는 이제 취약한 시기가 아니라 책임감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로 간주 될 수 있습니다.
책임감 있게 행동한다는 것은 깊은 성찰과 규범, 가치, 의미 및 한계와 관련된 질문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Box 3. ‘책임지기’와 관련된 핵심 구성 책임지기는 강한 도덕적 나침반, 통제력 및 성실감을 필요로 하며, 행위의 결과가 타인의 더넓은 이익을 위한 것인지에 따라 결정이 내려집니다. 다른 사람에 대한 연민과 존중도 이 역량에 중요합니다. 비판적 사고는 자신의 행동과 다른 사람의 행동을 성찰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역량을 위해서는 자기 인식, 자기 규제 및 성찰적 사고의 감각을 갖는 것이 특히 중요합니다. 책임지기 이전에 신뢰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학생들이 동료, 교사 및 부모로부터 신뢰를 받을 때, 그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
Knowledge
지식과 기능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보강합니다. 연구자들은 다양한 상황에서 지식과 기능을 이해하고, 해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세계를 일련의 독립된 개별 단위가 아니라 서로 연결된 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점점 강조되어 왔습니다. 전 세계의 교육 시스템은 교과와 필수 교육과정 지식을 사실의 모음으로 정의하는 것에서 학문을 상호 연결된 시스템으로 이해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KEY POINTS (핵심 지점)
❚ 학문적 지식: 예를 들어 수학 및 언어(국어) 학습에서 배운 것과 같은 교과별 개념과 세부 내용을 포함합니다.
학문적 지식이나 교과별 지식은 여전히 이해를 위해 필수적 토대이자, 학생들이 다른 유형의 지식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구조입니다. 또한 학문적 지식을 습득할 기회는 형평성의 기초가 됩니다.
❚ 학제간 지식은 한 학문/교과의 개념 및 내용을 다른 학문/교과의 개념 및 내용과 연관시키는 것을 포함합니다.
주제별 학습을 통해 핵심 개념을 전달하고, 연결성을 확인함으로써, 관련된 교과를 결합하거나 새로운 교과를 생성함으로써, 그리고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지원함으로써, 교육과정으로 통합할 수 있습니다.
❚ 인식론적 지식은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이 어떻게 작업하고 생각하는지 이해하는 것입니다. 이 지식은 학생들이 학습의 목적을 찾고 학습의 적용을 이해하며 학문적 지식을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인식론적 지식은 전문가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법을 아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는 학생들의 학습의 관련성과 목적을 보여주고,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절차적 지식은 어떤 일이 어떻게 수행되는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취해진 일련의 단계나 행동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일부 절차적 지식은 영역별로 다르며 일부는 영역을 가로 질러 전이될 수 있습니다
절차적 지식은 과업이 수행되는 방식과, 구조화된 절차를 통해 작업하고 학습하는 법에 대한 지식입니다. 이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특히 유용합니다.
지식이란? knowledge? (송수초 옥효진 교사의 '교실 국가'실험 (24:30~37:10) / 민주시민을 키우는 교육 1부~2부 (미래교육 플러스)
OECD 학습 나침반의 핵심 구성 요소인 지식은 세계의 특정 측면에 대해 확립된 사실, 개념, 아이디어 및 이론을 포함합니다. 지식은 일반적으로 이론적 개념과 아이디어뿐 아니라 특정 작업을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천적 이해를 포함합니다.
학문적 지식은 이해의 기본 구성 요소이며, 다른 유형의 지식도 학습하고 발달시킬 수 있는 필수적 구조와 기본 개념을 제공합니다.
학문적 지식을 습득함에 따라, 학생들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지식을 연결할 수 있게 되고(학제간 지식), 전문가들이 이러한 지식을 서로 다른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 배우며(인식론적 지식), 이 지식을 사용하는 다양한 절차와 방법에 대해 배웁니다(절차적 지식). 따라서 학문적 지식은 이해와 전문성으로 이어지는 개념적 구조의 토대입니다(Gardner, 2006 [8]). 학생들이 기본적 수준의 학문적 지식을 배울 때 이 지식을 전문 지식으로 발달시키거나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배우는 과목별 개념과 학문적 지식의 세부 내용은 물론 당시 사회에 중요한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의 영향을 받습니다.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는 상호 의존적으로 발달합니다.
다양한 지식 영역에서 역량과 이해가 발달함에 따라, 학생들은 수행과 기능 수준이 빠르게 발달한 다음, 과업의 초점이나 그것이 수행되는 맥락이 변함에 따라 뒤로 후퇴하는 급격하고 반복적인 학습 주기를 겪을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지 발달, 자기 인식, 태도 및 신념, 다양한 환경에서 학습에 적응하고 전이하는 능력은 모두 서로를 강화시켜, 학습자 사이에서 더 깊은 수준의이해와 더 높은 수준의 역량을 모두 지원할 수 있게 됩니다. 학문적, 학제 간, 인식론적 및 절차적 지식 사이의 상호 작용은 이러한 맥락에서 발생하며, 각 학습자가 알고 있는 것을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적용하는 능력으로 지식의 서로 다른 측면을 연결하고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학문적 지식(교과 지식)을 습득하는 것은 학습의 형평성과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하나의 단계입니다.
Voogt, Nieveen 및 Thijs(2018 [10])는 "모든 학생이 양질의 교육과정에 접근하여 최소한 기본 수준의 지식과 기능에 도달할 기회가 있고, 교육과정이 사회-경제적 지위, 성별, 민족 또는 지역에 따른 장벽이나 낮은 기대치를 두지 않는 것“을 평등으로 규정합니다. 그들은 학습 기회를 “교육과정이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모든 학습자가 자신의 재능을 개발하고 잠재력에 도달할 수 있는 최대한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교육과정이 구성되는 방식이라는 의미”로 규정합니다. Young and Muller(2016 [11])는 배울 수 있는 형평성과 기회를 " 힘있는 지식"이라는 개념으로 표현합니다.
학제간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다섯 가지 접근법
복잡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 학제간 지식이 점점 더 중요합니다.
1) 핵심개념이나 빅 아이디어를 통해 전이시키는 법을 배운다. 핵심 개념이나 큰 아이디어가 각 교과 내에 존재하지만 다양
한 교과를 가로지르는 "메타 개념" 또는 "거시적 개념"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Erickson, Lanning and French, 2017 [14])
2) 여러 학문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개념 간의 상호 연결성을 규명하는 방법을 배운다. 삶에서와 마찬가지로 교육에서도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어 있습니다. 학문은 서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리가 사는 세상의 복잡성을 반영하여 상호 연결된 방식으로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3) 학생들은 주제 학습을 통해 다양한 학문을 연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4) 연관된 과목을 결합하거나 새로운 과목을 만들어 학제간 학습을 구성하고 촉진한다.
학제간 지식은 학생들이 한 상황에서 다른 상황으로 지식을 전이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Mestre(2002 [16])에 따르면, "우리는 학습의 전이를 한 맥락에서 배운 지식이나 절차를 새로운 맥락에 적용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 유사한 맥락에서 전이가 일어나는 경우 ‘근접 전이’라고 하고, 다른 맥락에서 전이가 일어나는 경우 ‘원거리 전이’라고 합니다.
(교사가 자기 교육과정을 디자인할 때 지식의 전이 과정에 대한 흐름을 고려해야 한다. 막연한 지식의 나열이 아니고 좀더 심화되고 확장될 수 있는 개념의 흐름, 배움의 흐름을 고려하여 학습 흐름을 고려해야 한다.)
지식을 다른 상황으로 옮기는 것은 유사한 상황으로 옮기는 것보다 더 어려워 보입니다. 전이와 학습에 관한 문헌의 포괄적인 검토에서, Day and Goldstone(2012 [17])은 근접 전이는 쉽지만, 원거리 전이가 실제로 어려운 것은 전이가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임을 지적합니다. 사람은 새로운 맥락에 적용하기 위해 이전 지식을 불러내려면 구조적 또는 개념적 유사성을 인식해야 합니다. Day and Goldstone은 다음과 같이 경고합니다. “유사성과 전이에 관한 문헌은 학생들이 현실 세계에서 유사한 상황에 직면할 때, 특히 그러한 상황의 구체적인 세부 사항이 교사가 제시한 것과 잘 일치하지 않을 때, 이러한 아이디어의 관련성을 종종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2012, p. 156 [17]).
(학생들이 배우는 지식의 전이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면 학생들의 삶의 경험에 기반한 내용요소가 실제 수업에서 제시되고 탐구되는 학습경험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배움과 삶이 이원적이 않다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
인식론적 지식 또는 전문가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법을 아는 것은 학생들의 학습에서 연관성과 목적을 찾은 데 중요하다.
지식을 실제 삶의 문제와 연결하는 것은 더 큰 학생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많은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내용 지식의 가르침을 그 과목이 학생들의 일상과 가능한 미래 작업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와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무엇보다도 이것은 수학자, 역사가 및 엔지니어처럼 생각하는 것이 의미하는 바를 배우는 것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인식론적 지식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의해 자극될 수 있습니다. “나는 이 교과에서 무엇을 그리고 왜 배우고 있는가?”, "나의 삶에서 그 지식을 어디에 이용할 수 있는가?", "이 학문 분야의 전문가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의사, 엔지니어, 예술가 및 과학자와 같은 전문가는어떤 종류의 윤리적 행동 강령을 따르는가?“
절차적 지식 "어떻게"에 대한 지식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시스템 사고 및 설계적(design) 사고와 같은 틀(frameworks)에 대한 절차적 지식은 학생들이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할 수 있는 사고 패턴과 구조화된 과정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일이 어떻게 이루어지거나 만들어 지는지 이해하는 것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취해진 일련의 단계나 행동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전략, 생산 및 내부화된 행동으로 특징지을 수 있습니다(Byrnes and Wasik, 1991 [21]). 일부 절차적 지식은 수학에서와 같이 영역별로 다르지만, 다른 종류의 절차적 지식은 서로 다른 영역에 걸쳐 전이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사고와 유사한 설계적 사고는 명료한 정의를 어렵게 하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그것은 문제에 대한 전체론적 관점을 포용하지만 특정 측면에 집중합니다(Benander, 2018 [19]). Goldman(2017 [23])은 디자인 사고를 "사람들이 새로운 해결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과정, 일련의 기능 및 사고방식이며, 그 목표는 단순히 과정의 단계를 가르치고 학생들에게 공감 발달, '팀 협업' 참여, 행동 지향적 문제 해결에 대한 의지, 효능감, 그리고 실패와 실패 후 다시 도전하려는 끈기가 성공의 필수적이고 생산적인 측면이라는 이해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선다.”고 설명합니다. 설계적 사고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 해결책이 실제로 작동하는지, 해결책의 잠재적 사용자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해결책의 현대 사회 및 문화적 적합성, 그리고 해결책의 미적 매력(Pourdehnad, Wexler and Wilson, 2011 [24]).
교육의 과제는 학문적, 절차적 지식을 모두 촉진하고 이를 기능, 태도 및 지식을 전이시키는 능력과 연결하여 학생들이 더 깊은 이해를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Benander, 2018 [19]).
2030을 위한 기능(SKILLS FOR 2030)
기능은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책임 있는 방식으로 지식을 책임감 있는 방식으로9 사용할 수 있는 능력(ability)과 힘(capacity)입니다. 기능은 복잡한 요구의 충족을 위해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를 동원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체론적 역량 개념의 일부입니다.
OECD Learning Compass 2030은 세 가지 유형의 기능을 구분합니다(OECD, 2018 [1]).
●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학습하는 법을 학습하기 및 자기 규제를 포함하는 인지 및 메타인지기능
인지 기능은 언어, 숫자, 추론 및 습득한 지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사고 전략입니다. 그것들은 언어적, 비언어적 및 고차원적 사고 기능으로 구성됩니다. 메타인지 기능에는 학습하는 법을 배우는 기능과 자신의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를 인식하는 능력이 포함됩니다(OECD, 2018[1]).
● 공감, 자기효능감, 책임감 및 협력을 포함하는 사회적 및 정서적 기능
사회적 및 정서적 기능은 사람들이 자신을 개발하고 가정, 학교, 직장 및 지역사회(community)에서 관계를 발전시키고 시민적 책임을 행사할 수 있도록 일관된 사고, 감정 및 행동 패턴으로 나타날 수 있는 개별 능력(capacity)들의 집합입니다(OECD, 2018 [1]; OECD, n.d [2]).
● 새로운 정보 및 통신 기술 장치 사용을 포함하는 실행적 및 신체적 기능
신체적 기능은 물리적 도구, 조작 및 기능을 사용하는 능력(ability)의 집합입니다. 여기에는 정보 및 통신 기술 장치와 새로운 기계를 사용하고, 악기를 연주하고, 예술 작품을 만들고, 스포츠를 하는 것과 같은 손기능(manual skills)이 포함됩니다. 그리고 스스로 옷을 입고, 음식과 음료를 준비하고, 신체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능력과 같은 생활 기능을 포함하고, 근력, 근육 유연성 및 체력을 포함하는 자신의 힘(capacity)을 동원하는 능력을 포함합니다(OECD, 2018 [1]; OECD, 2016 [3]). 실행적 기능은 특정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재료, 도구, 장비 및 인공물을 사용하고 조작하는 데 필요한 능력입니다(OECD, 2016 [3]).
창의적 사고와 자기 규제와 같은 인지 기능과 책임지기와 같은 사회적 기능은 자신의 행동의 결과를 고려하고, 위험과 보상을 평가하고, 자신의 작업 결과물에 대한 책무를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합니다. 이것은 사람이 자신의 경험, 개인적 및 사회적 목표, 배우고 들은 내용, 옳고 그름 (OECD)에 비추어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고 평가하는 도덕적, 지적 성숙을 시사합니다(OECD. 2018 [1]). 좋은 의사 결정과 윤리적 판단은 기능 개념에 포함되지만 이러한 역량은 태도와 가치에 대한 개념 노트에서 다룹니다.
지식과 기능의 전이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발생한다.
지식과 태도 및 가치에 대한 개념 노트는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가 경쟁적이라기보다는 상호 의존적으로 발달하는 역량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지식 습득에는 특정한 인지 기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기능과 관련된 내용적 지식은 서로 얽혀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를 강화합니다. 또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고 사용하기 위한 동기로서, 그리고 ‘웰빙’, 즉 건강한 인격 및 시민권을 구성하는 것을 규정하는 데 있어, 태도와 가치는 지식과 기능을 발달시키는 데 필수적입니다(Haste, 2018 [4]).
한 상황에서 다른 상황으로 지식과 기능의 전이는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합니다. Abuzour, Lewis 및 Tully (2018 [5])는 전이의 사회적 토대를 지지하는 연구를 완료했습니다. 그들이 발견한 것은 첫째, 학생들은 기능을 전이할 수 있는 충분한 기본 지식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 다음 동료의 지원과 지침 준수는 학생들이 자신의 기능을 교실에서 작업장으로 옮기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강화(Reinforcement)는 전이의 중요한 구성요소입니다.
놀이(DeKorver, Choi and Towns, 2017 [7])와 프로젝트 기반 학습(Lee and Tsai, 2004 [8])과 같은 방식을 통한 지식과 기능의 전이에 대해 일부 연구가 수행되었습니다.
인지 기능은 필수적이며, 메타인지 기능도 필수적이 되고 있다
복잡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기술(technology)은 인간의 지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 것인지 그리고 미래에 필요한 기능(skill)의유형과 수준에 영향을 줍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컴퓨터로 제어되는 장비는 일상적인(routine) 작업(컴퓨터 코드로 쉽게 표현할 수 있는 잘 정의된 절차를 따르는 작업)으로 이루어진 광범위한 작업에서 노동자를 대체했습니다. 반복적 계산, 입력 또는 정렬 작업과 같은 대부분의 절차적인 작업과 반복적인 동작 수행을 중심으로 하는 생산 작업은 1980년대 초부터 자동화되어 왔습니다(그림 1). 거의 동시에 비절차적인 대인 관계 및 분석 기능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설명은 간단합니다. 컴퓨터 기술이 절차적인 작업에서 노동을 대체함에 따라 창조성, 사회적 및 정서적 기능과 같은 비절차적인 인지 기능을 가진 노동자에게 새로운 고용 기회를 창출했습니다(Berger and Frey, 2015 [13]; Bialik and Fadel, 2018 [14]).
일부 연구자들 (Avvisati, Jacotin 및 Vincent-Lancrin, 2013 [17])에 따르면 혁신가와 비혁신가를 가장 명확하게 구분하는 기능은, 특히 ‘새로운 아이디어와 해결책을 제시하는 능력’과 ‘아이디어에 의문을 제기하려는 의지’인 창조성입니다.
AI는 창조성이 필요한 직업을 대체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주어진 주제나 상황에 대해 비범하거나 영리한 아이디어를 내놓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조적인 방법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인 독창성을 요구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노동자는, 자동화의 현재적 한계를 반영하는 컴퓨터 제어 장비로 대체될 가능성이 훨씬 적습니다. 따라서 아트디렉터, 패션디자이너 및 미생물학자는 조만간 실직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즉 컴퓨터가 많은 영역에 침투하고 있지만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직업을 가진 노동자를 대체할 가능성은 낮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의 기술 동향에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자와 미래 학습자가 창의적인 기능을 습득해야 합니다(Berger and Frey, 2015 [13]).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메타인지, 평생 학습 및 타문화 이해가 필요합니다.
메타인지는 ‘생각에 대해 생각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메타인지는 자신의 학습 및 사고 과정에 대한 인식이 특정한 학습 기법을 다양한 상황에 의도적으로 적용하도록 하는 ‘비절차적인 분석 기능’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Bialik and Fadel, 2018 [14]; Berger and Frey, 2015 [ 13]). 학습 전략또는 ‘학습하는 방법의 학습’도 평생 학습의 핵심역량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으며 많은 유럽 국가에서 교육 목표로 강조되고 있습니다(Kikas and Jõgi, 2016 [22]).
메타인지 기능은 학습 과정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교육에 필수적입니다(Veenman, Kok 및 Blöte,2005 [23]). 예를 들어 메타인지는 학습의 핵심 요소인 비판적 사고를 상당히 예측합니다(Magno, 2010 [24]). 메타인지의 요소는 추론, 규제 및 성찰이 교육과정에 더욱 필수적인 중등학교에 입학함에 따라 점점 더 중요해집니다. 학교에서 마음 챙김(mindfulness) 기반 개입의 확산은 특히 이러한 기능을 목표로 합니다. 예비 결과는 이러한 개입이 스트레스와 불안을 줄이고 낙관주의를 높이며 사회적 및 인지적 기능의 향상을 돕고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Schonert-Reichl et al., 2015 [25]; Schonert-Reichl and Lawlor, 2010 [26]; Beauchemin, Hutchins and Patterson, 2008 [27]).
세계화와 인공지능의 발전과 같은 추세가 노동시장의 요구와 노동자가 성공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사람들은 평생 동안 ‘학습하는 법을 학습하는’ 능력에 훨씬 더 의존해야 합니다.
현재 세계의 그리고 미래 세계의 초 연결성을 고려할 때, 인지 발달의 또 다른 핵심 영역은 다른 문화에 대한 지식과 이해입니다. 일부 발달 과학자(Eccles and Gootman, 2002 [29])는 특히 젊은이들이 성숙해짐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문화에 대한 심층 지식이 인지 발달에 결정적임을 확인합니다.
학생들의 디지털 기능은 기술 발달과 함께 진화해야 합니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대응으로 작업장이 지속적으로 실질적인 구조 조정을 거치면서, 많은 디지털 기능은 빠르게 구식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코딩 기능은 불과 몇 년 만에 쓸모없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유럽 직업 훈련 개발 센터(European Center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Training)의 연구에 따르면 핀란드, 독일, 헝가리 및 네덜란드 노동자의 16%가 지난 2년 동안 자신의기능이 쓸모없게 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디지털 및 ICT 관련 기능은 특히 급속한 노후화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Cedefop, 2012 [31]). 따라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동자는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습득해야 하며, 이는 유연성, 평생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및 호기심을 필요로 합니다. ICT 전문가도 필요하지만 기술 변화에 노동자가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들의 결합이 훨씬 더 중요할 것입니다. 따라서 교육은, 새로운 직업이 출현할 때 새로운 직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창의적, 도전적, 기술적 기능의 결합인 ‘융합 기능(fusion skills)’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Berger and Frey, 2015 [13]).
사회적 및 정서적 기능이 점점 더 필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직업에 사회적, 정서적 기능이 필요한 노동자는 기술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낮습니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AI는 창조성이 필요한 직업을 가진 노동자를 대체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마찬가지로, AI는 복잡한 사회적 상호 작용이 필요한 직업의 노동자를 대체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기술 발전에 적응하기 위해 노동자는 설득과 협상을 포함하는 사회적 기능도 습득해야 합니다(Berger and Frey, 2015 [13]).
정교한 기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일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을 저평가할 위험이 있습니다. 일부 학자(Turkle, 2017 [32])는 이러한 평가 절하가 이미 일어나고 있다고 확신합니다. 이 학자들이 옳다면 사람들이 자신과 타인의 인간성(humanity)의 가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점점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Putnam, 2000 [33]). 사람들이 사회에 기여하는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개인 및 사회의 웰빙만이 아니라 기관들(institutions)의 건강과 관련성에도 필요합니다(Berkowitz and Miller, 2018 [16]).
인구통계학적 및 사회적 변화는 더 많은 사회적, 정서적 기능을 요구합니다.
인구가 노령화됨에 따라 의료(healthcare)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입니다. 이것은 과학적 기술과 배려, 사교성 및 존중과 같은 사회적 및 정서적 기능을 모두 요구하는 새롭게 출현하는 의료 관련 직업에 반영됩니다. 예를 들어, 중증 돌봄(acute care) 간호사와 병원 직원은 정서적 패턴을 이해하고 환자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각력을 필요로 합니다(Berger and Frey, 2015 [13]).
또한 공감, 자기 인식, 타인에 대한 존중 및 의사소통 능력과 같은 사회적 및 정서적 기능은 교실과 직장이 인종, 문화 및 언어적으로 다양해짐에 따라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관계를 인정하고 대응하기 위해, 교육은 인지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 간주되는 특정한 사회적 및 정서적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감’과 같은 사회적 정서적 기능에는 ‘관점 갖기(perspective-taking)’와 같은 인지적 기능이 필요합니다. 교육은 또한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사회를 포용하고 성찰하기 위해 필요한 개방성과 개인으로서의 타인에 대한 존중과 같은 유형의 태도와 가치를 기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러한 특정 기능 집합은 글로벌 역량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OECD, 2018 [34]).
사회적 및 정서적 기능은 학업(academic) 및 노동 시장 전망을 향상시킵니다.
학교에서의 성취는 인내, 자제, 책임감, 호기심 및 정서적 안정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및 정서적기능에 달려 있습니다. 일부 사회적 및 정서적 기능은 학업 환경에서 성공적인 참여와 수행을 위한 전제조건입니다. 즉, 사회적, 정서적 기능이 부족하면 인지 기능의 사용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실행적, 신체적 기능은 학생들이 다른 유형의 기능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음악과 예술을 통해 신체적 기능을 개발하면 인지 및 메타인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음악과 예술은 신체적으로 배웁니다. 예술에서의 학습을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해 어린이는 이를 경험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음악이나 예술 교육과 같은 방식으로 또는 그 만큼이나 어린이의 인지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활동은 찾을 수 없었습니다. 예술에서 신체적 기능을 습득하려면 상당한 인지 및 메타인지 과정이 일어나야 합니다. 예술은 신체적 기능을 통해 표현되지만예술의 숙달에는 인지 및 메타인지 과정도 필요합니다(OECD, 2016 [3]).
양질의 의미 있고 지속적인 예술 교육을 어린이 교육 경험에 포함시킨 효과는 광범위하게 연구되 었습니다(Winner, Goldstein 및 VincentLancrin, 2013 [36]). Dana Consortium (Asbury and Rich, 2008 [37])은 지능 영역에서 예술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을 수행했으며, 예술 활동에 참여하면 어린이의 주의력이 향상되고, 이는 다시 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했습니다(Posner와 Patoine, 2010 [38]).
예술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학생들의 공감 지능(Davis, 2008 [39])을 발달시켜, 다른 사람과의 연결성, 정서적 교류(engagement), 동질감(sense of identification) 및 책임감을 향상시킵니다. 시각 예술을 공부하고 제작함으로써 학생들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지속하고, 전념하여 과제를 끝까지 수행할 수 있습니다(Hetland et al., 2007 [40]). 확산적 사고와 함께 사용되는 이러한 기능은 그 외의 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거의 발달하지 않습니다. Hetland 등은 또한 예술은 학생들에게 ‘상상(envision, 마음에 그리다)’, 즉 그들이 볼 수 없는 것에 대해 생각하도록 가르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가설을 개발하거나 과거의 사건을 상상하거나 미래의 사건을 예측하는 것과 같은 다른 영역으로 전이될 수 있습니다. 예술을 통해 발달한 지성은 학생들의 성공에 대한 외부 측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실시한 Walker, Tabone 및 Weltsek (2011 [41]) 연구에 따르면 통합 예술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이 주(state) 평가를 통과할 가능성이 77% 더 높았습니다(OECD, 2016 [3]).
신체적, 실행적 기능(skill)은 학생들의 전반적인 기능(functioning)과 웰빙에 필수적입니다.
실행적 기능은 종종 손재주 및 공예품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실행적 기능은 훨씬 더 광범위한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옷 입기, 청결 유지, 음식 준비, 문서 작업 참여 또는 모든 종류의 기술 사용과 같은 많은 일상적인 기능(function)에는 실행적 기능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문자로 의사소통하는 것은 사용자가 작은 키패드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하고 보낼 수 있는 일련의 실행적 기능을 숙달했다고 가정합니다(OECD, 2016 [3]).
학생의 건강(health)과 웰빙(well-being)은 글로벌 우선순위입니다. 체육은 학생들이 건강한 습관을 개발하고 건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에 확립된 습관은 성인기까지 이어지므로, 조기에 건강한 습관을 확립하면 젊은이들 성인으로서 건강한 선택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연구에 따르면 운동이 어린이의 신체 및 정신 건강, 인지 및 학업 성취에 미치는 이점이 밝혀졌습니다. 종단 연구에 따르면 미취학 연령의 기본 운동 능력 발달은 어린이가 학교에 입학할 때(van der Fels et al., 2015 [43]) 인지 효율성과 학업 성취도를 예측합니다(Roeberset al., 2014 [42]).
최근 연구는 운동 협응(co-ordination) 및 기능 역량을 아동(Haapala, 2012 [44];Haapala et al., 2014 [45]; Rigoli et al., 2012 [46]) 및 청소년 (Marchetti et al. 2015 [47]; Rigoli etal., 2012 [48])의 인지 효율성 및 학업 성취와 연결합니다. 이러한 연관성은 제어된 운동 활동과실행(executive) 기능(function))과 관련된 뇌 구조들 간의 연관을 드러내는 신경 발달 연구와 일치 합니다(Diamond, 2012 [49]). 또 다른 리뷰는, 한편으로 신체 활동과 운동 기능 숙련도 간의, 다른 한편으로 어린이의 인지 기능(function) 및 학업 성취도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한 추가적 지지를 제공합니다(Vazou et al., 2016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