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13 PEET 기출문제 5번에서 음이온수지 크로마토 그래피이기 때문에 -기를 가진 Asp가 더 많이 용출되어서 답이 2번이 아닌가요?

2. 2012 MEET 예비검사 29 번에서 문제 자체를 어떻게 해석해야 될 지 모르겠네요...*NEM→DTT→NEM 과 NEM→DTT→*NEM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NEM(방사선 NEM)과 NEM 은 서로 별개의 물질 인가요? 그리고 단백질 전기영동 결과에서 색칠 되어지지 않은 부분은 방사선이 없는 것인지 단백질 자체가 없는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첫댓글 1. 용출부피는 순서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용액을 용출시키는동안 부피는 계속 증가하니까요.
특정 물질의 부피를 말하는게 아니고 전체 용액의 부피를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오히려 흡광도가 특정 물질의 정량을 의미합니다.
아~그렇군요 이해가 됐어요 감사합니다^^
NEM은 이황화결합에 참여하지 않은 시스테인 잔기에 결합하기 때문에 시험관 I에서 *NEM→DTT→NEM 순서로 처리하게 되면 이황화결합에 참여하지 않은 시스테인 잔기에만 *NEM이 결합하게 됩니다. DTT를 처리하면 이황화결합이 끓어지고 끊어진 자리에 다음에 처리한 방사성동위원소가 처리되지 않은 NEM이 결합합니다. 시험관II에는 NEM→DTT→*NEM 순서로 처리하기 때문에 이황화결합을 했던 시스테인 잔기에만 방사성동위원소로 표지된 NEM이 결합하게 됩니다. 전기 영동한 실험결과를 보면 X는 이황화결합이 없고, Y는 이황화결합에 참여하지 않은 시스테인 잔기와 이황화결합이 모두 존재하고 Y는 모두 이황화결합을 한다는 걸 알수있습니다
*NEM과 NEM은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를 했느냐 하지 않았느냐의 차이입니다. 하나에 없는 무언가가 첨가되면 다른 물질이라고 봐야 하겠지만...그것은 크게 중요한 부분은 아닌것 같습니다. 결국에 두 물질 모두 이황화결합에 참여하지 않는 시스테인 잔기에 결합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하는 이유는 눈으로 관찰하기 위함입니다. 시험관 I의 Z와 시험관 II의 X 는 단백질이 없는게 아니라 방사성동위원소로 표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설명이 맞는지 모르겠네요. 제 설명대로 라면 1번이 답일 것 같은데...아니라면 무시하세요..ㅠ.ㅠ
1번이 답 맞아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