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점 약해지는 사회관계망
필요시 도움 가능한 사람 3명 미만
사회적 신뢰도는 절반 간신히 넘겨
국민 사이의 유대감이 점차 옅어지고 있다.
<표> 2019 사회조사결과보고서 중 ‘필요시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 조사결과
2019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9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들은 특정 상황 발생 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의 수가 이전 조사에 비해 줄었다고 답했다. 2019년에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할 경우’ ‘갑자기 큰돈을 빌려야 할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의 수는 각각 2.3명, 2.2명, 2.9명으로 이전 조사가 시행됐던 2017년보다 감소했을 뿐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3명 미만이었다.
같은 조사에서 우리 사회에 대한 신뢰도는 간신히 절반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사회를 ‘믿을 수 있음’으로 응답한 사람이 50.9%로 ‘믿을 수 없음’ 49.1%보다 1.8%p 높았다. 이는 대한민국의 사회적 관계망과 신뢰도가 옅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다.
강원도에서도 비슷한 조사결과가 나왔다. 2019년 발간된 ‘2019 강원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도민들은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할 경우’ ‘갑자기 큰돈을 빌려야 할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의 수가 각각 1.9명, 2.4명, 2.0명이라고 답변했다.
사회에 대한 신뢰도는 ‘신뢰할 수 있다’ 24.0%, ‘신뢰할 수 없다’ 8.3%, ‘경우에 따라 다르다’ 63.2%, ‘모르겠다’ 4.5%로 나타났다. 이전 조사와 비교했을때 ‘신뢰할 수 있다’는 4.9%p 감소했고 ‘신뢰할 수 없다’는 0.5%p 증가해 2년 사이에 도민 간의 신뢰수준이 떨어졌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 개인화와 분화가 급속도로 이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다수 존재한다. 경상대 사회학과 강수택 교수의 논문 <근대, 탈근대, 사회적 연대>는 전통적인 사회질서와 규범이 약화됨에 따라 결속력이 약해지며 분열한 뒤에 새로운 시대에 맞는 연대를 준비한다고 주장했다.
초연결사회라고 불리지만 개인 간의 연결은 약해지는 모순적인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다가오는 시대에 걸맞은 사회적 관계를 생각해봐야 한다.
서지현 대학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