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非說所說分
須菩提 汝 勿謂 如來作是念 我當 有所說法 莫作是念.
수보리 여 물위 여래작시념 아당 유소설법 막작시념
何以故 若人言 如來有所說法 卽爲謗佛 不能解我所說故.
하이고 약인언 여래유소설법 즉위방불 불능해아소설고
須菩提 說法者 無法可說 是名說法.
수보리 설법자 무법가설 시명설법
爾時 慧命須菩提白佛言 世尊 頗有衆生 於未來世 聞說是法
이시 혜명수보리백불언 세존 파유중생 어미래세 문설시법
生信心不. 佛言. 須菩提 彼非衆生
생신심부 불언 수보리 피비중생
非不衆生. 何以故 須菩提 衆生衆生者如來說 非衆生 是名衆生
비불중생 하이고 수보리 중생중생자여래설 비중생 시명중생
-非說所說分 제 21
"수보리야, 너는 여래가 이런 생각을 하되, '내가 마땅히 설한 바 법이 있다'고
이르지 말라. 이런 생각을 하지 말지니 무슨 까닭인가 하면 만약 사람이 말하길
여래가 설한 바 법이 있다고 하면 이는 곧 부처님을 비방함이니라. 능히 내가
설한 바를 알지 못한 연고니라. 수보리야, 설법이라는 법은 법을 가히 설할
것이 없음을 이름하여 설법이라 하느니라."
그 때에 혜명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자못 어떤 중생이 미래세에 이 법 설하심을 듣고 믿는 마음을 내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되,
"수보리야, 저들은 중생이 아니며 중생이 아님도 아니니 무슨 까닭인가.
수보리야, 중생 중생이라 함은 여래가 설하되 중생이 아니고 그 이름이 중생이니라."
제 이십일 비설소설분 (第二十一 非說所說分)
설함이 없는 설법.
법을 설한다고 하지만.
법을 설한다고 할 만한 그 어떤 법도
없기 때문에...다만 이름하여
법을 설한다고 하는것이다.
중생. 중생이라고 하지만 그 이름이 중생이지
부처님 회상에 왔는데
그게 보살이지 어찌 중생 이겠느냐
법을 설하는 여래와 듣고 믿고 따르는
중생 사이에는 오고 가는 법이
필요 없다는 것이다.
여래께서 팔만대장경을 설하시고도
진정한 설법이란 한"법"도 설할 것이
없다고 했다.
우리의 "본래면목"은 그 자체로 부처고
완벽하고 "공"한 자리란 것이다.
본마음 "참나"자리에서 나왔기에
"본래자리"로 돌아가면 된다는 것이다.
설법도 본래면목 자리가 이미 투명하고
공하게 갖추어져 있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알아보지 못하기에 할 수 없이
설법을 하는것이고
대장경 소장경이 나오는 것이다.
유마경에서 유마거사의 침묵에 대한것은
한법도 설할것이 없는것을 말하는것이다.
"설법"이라는것은 본래 비어있어
설할것도 없지만
중생들의 미혹을 없애기 위하여
여러가지 비유와 문자(경전)를 써서 즉
"방편"으로 마음의 맑고 깨끗함을 나타내므로
이를 이름하여 설법이라 한다.
부처가 "설한법이 있다"고 말하는것은
부처를 비방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부처는 한마디도 설한바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아무말도 하지않았다고 하면
잘못 생각이다.
눈밝은 사람은 고개너머 에서
해가 떠오른다는 것을 잘안다.
중생의 차이는 물과 불처럼 모두
그 성질이 다르다.
설함이 없이 설하고 들음 없이 듣는것이
참된 설법이요.청법 이다.
모두가 부처요.
실상은 "공"한데 모양을 나누어서 말 할 수 있는게
아무것도 없다는 것이다.
여래는 "나"가 없다고 했다.
"내가없다"는 "무아"는
"비어있음"을 의미하고
공성. 연기. 중도. 무상. 무주를 의미한다.
"나"라는 실체가 없기에 "공"이며
영원하지 않으니 "무상"이고
실체가 없으니 "무아"이고
마음이 어디에도 머물지 않으니"무주"이다.
그러므로 어느 한쪽의 극단에
치우치지 않으니 바로 "중도"이다.
세상에 "나"도 있고 "너"도 있으며
"세상"도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연기"하기 때문이며 수 많은 인연들이 모여
잠시 물거품처럼 꿈처럼
잠시 만들어졌다가 사라질 뿐이다.
이 "연기법"은
"내가없음"을 깨닫고자 애쓴 결과가 아니다
본래 세상의 모습이 그러하기 때문이다.
산은 그대로 산이요.
물은 그대로 물이었다.
모든 존재를 살펴보라
영원한것. 죽지않는것. 영원히 소유하는것.
언제까지 머물러 있을 곳이 있는가?
잠시만 명상을 해본다면 쉽게 알 수 있는
"연기법"이다.
"불법"은 성경 속에서도 있고 코란에도 있으며
수많은 고전속에서도 있는것이다.
중요한것은 "진리" 그 자체이지
"진리"라는 그 이름이 아니다.
글자에 "집착"하지 말라는 것이다.
그렇기에 "경전" 그 자체가 아니라
경전에 대한 올바른 이해 "정견"에 있다.
그래서 한"법"도 설한바 없다고 한것이다.
법을 설할 여래도 없고 설할 법도 없으며
설한 법을 들을 중생도 없다는
"비설소설"의 가르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