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한시
秋史 金正喜(김정희)
운산 최의상 2015. 10. 3. 10:37
김정희(金正喜)에 대하여..
추사의 일생은 보통 다섯단계로 나뉘어진다.
- 태어나서부터 연경에 다녀오는 24세까지의 수업기
- 연경을 다녀온 25세부터 과거에 합격하는 35세까지 10년간의 학예 연찬기,
- 관직에 나아가는 35세부터 제주도로 귀양가는 55세까지 20년간 중년의 활동기
- 55세부터 63세까지 제주도에서 귀양살이하는 9년간의 유배기
- 제주도 귀양에서 풀려나서부터 세상을 떠나는 71세까지 8년 간의 만년기.
1. 가계·관력
조선조의 훈척가문(勳戚家門)의 하나인 경주김문(慶州金門)에서 병조판서 노경(魯敬)과 기계유씨
(杞溪兪氏)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나 큰아버지 노영(魯永)앞으로 출계하였다.
그의 가문은 안팎이 종척으로 그가 문과에 급제하자 조정에서 축하를 할 정도로 권세가 있었다.
1819년(순조 19) 문과에 급제하여 암행어사·예조참의·설서·검교·대교·시강원보덕을 지냈다.
그러나 1830년 생부 노경이 윤상도(尹商度)의 옥사에 배후조종혐의로 고금도(古今島)에 유배되었으나,
순조의 특별배려로 귀양에서 풀려나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로 복직되고,
그도 1836년에 병조참판·성균관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勳戚(훈척) 나라에 훈공이 있는, 임금의 친척
추사 김정희의 논문집으로 추정되는 ‘해동비고(海東碑攷)’가 발굴됐다.( 2007, 01, 08일)
추사가 우리나라 고대의 비석 7개를 연구 분석한 ‘해동비고(海東碑攷)’의 발견은 전설로만 전해지던
추사 금석학의 진면목을 드러내는 쾌거다.
이 논문집엔 경주 무장사비를 비롯해서 신라 문무왕비, 당(唐)이 백제를 멸망시킨 후 세운 평백제비
(平百濟碑), 진감·지증·진경대사 등 고승의 비문들이 들어 있다.
우리나라와 중국은 물론 일본 문헌까지 널리 인용하며 비석의 내용을 치밀하게 고증하고 있다.
攷 살필 고.㉠살피다 ㉡상고하다 ㉢치다 ㉣두드리다 ㉤아버지 ㉥수할
2. 금석학파의 성립
그뒤 1834년 순조의 뒤를 이어 헌종이 즉위, 순원왕후 김씨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자,
그는 다시 10년 전 윤상도의 옥에 연루되어 1840년부터 1848년까지 9년간 제주도로 유배되어
헌종 말년에 귀양이 풀려 돌아왔으나, 1851년 친구인 영의정 권돈인(權敦仁)의 일에 연루되어 또다시
함경도 북청으로 유배되었다가 2년 만에 풀려 돌아왔다.
이때는 안동김씨가 득세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정계에 복귀하지 못하고 아버지의 묘소가 있는 과천에
은거하면서 학예(學藝)와 선리(禪理)에 몰두하다가 생을 마쳤다.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기예(聰明氣銳)하여 일찍이 북학파(北學派)의 일인자인 박제가(朴齊家)의 눈에
띄어 어린 나이에 그의 제자가 되었고, 그로 말미암아 그의 학문방향은 청나라의 고증학(考證學)쪽으로 기울어졌다.
考證學 : ①고증(考證)에 관한 학문(學問) ②중국(中國) 청(淸)나라 때 일어난 학문(學問)으로 경서
(經書)를 고증(考證)하는 학문(學問)
24세 때 아버지가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갈 때 수행하여 연경에 체류하면서, 옹방강(翁方綱)·완원(阮元)같은 거유와 접할 수가 있었다.
이 시기의 연경학계는 고증학의 수준이 최고조에 이르러 점차 난숙해갔으며,
종래 경학(經學)의 보조학문으로 존재하였던 금석학(金石學)·사학·문자학·음운학·천산학(天算學)·지리학
등의 학문이 모두 독립적인 진전을 보이고 있었다.
經學 경서(經書)를 연구(硏究)하는 학문(學問)
金石學 금석문자(文字)를 연구(硏究)하는 학문(學問). 광물학(鑛物學)
그 가운데서도 금석학은 문자학과 서도사(書道史)의 연구와 더불어 독자적인 학문분야로 큰 발전을
이루고 있었다. 따라서, 그는 경학을 비롯한 모든 분야에서 많은 영향을 받아 귀국 후에는 금석학연구에 몰두하고, 금석자료의 수탐(搜探)과 보호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搜探 수사하고 탐지(探知)함. 더듬어 찾음
그 결과 북한산순수비(北漢山巡狩碑)를 발견하고 《예당금석과안록 禮堂金石過眼錄》·
〈진흥이비고 眞興二碑攷〉와 같은 역사적인 저술을 남기게 되었으며,
깊은 연구를 바탕으로 후학을 지도하여 조선금석학파를 성립시켰는데,
그 대표적인 학자들로서는 신위(申緯)·조인영(趙寅永)·권돈인·신관호(申觀浩)·조면호(趙冕鎬) 등을
들 수 있다.
巡狩碑 임금이 변경을 순수(巡狩)한 기념(記念)으로 세워둔 비. 진흥왕(眞興王) 순수비
3. 경학과 불교
한편, 그의 경학은 옹방강의 ‘한송불분론(漢宋不分論)’을 근본적으로 따르고 있으며,
그의 경학관을 요약하여 천명하였다고 할 수 있는 《실사구시설 實事求是說》은 경세치용(經世致用)을
주장한 완원의 학설과 방법론에서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밖에 수많은 청대학술의 거벽들의 학설을 박람하고 자기 나름대로 그것을 소화하였다.
實事求是: 사실(事實)에 토대(土臺)하여 진리(眞理)를 탐구(探究)하는 일이란 뜻으로, 공론(空論)만 일삼는 양명학(陽明學)에 대한 반동으로서 청조의 고증(考證) 학파(學派)가 내세운 표어(標語)로, 문헌학적(文獻學的)인 고증(考證)의 정확(正確)을 존중(尊重)하는 과학적(科學的), 객관(客觀) 주의적(主義的) 학문(學問) 태도(態度)를 말함 : 한서(漢書)
經世致用 학문(學問)은 실제(實際) 사회(社會)에 이바지되는 것이어야 한다는
음운학·천산학·지리학 등에도 상당한 식견을 가지고 있음이 그의 문집에 수록된 왕복서신과 논설에서
나타난다. 다음으로 그의 학문에서 크게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불교학(佛敎學)이다.
용산의 저택경내에 화엄사(華嚴寺)라는 가족의 원찰(願刹)을 두고 어려서부터 승려들과 교유하면서
불전(佛典)을 섭렵하였다.
그는 당대의 고승들과도 친교를 맺고 있었는데, 특히 백파(白坡)와 초의(草衣)양 대사와의 관계가
깊었으며, 많은 불경을 섭렵하여 고증학적인 안목으로 날카로운 비판을 하기도 하였다.
당시 승려들과의 왕복서간 및 영정(影幀)의 제발(題跋) 등이 그의 문집에 실려 있다.
말년에 수년간은 과천 봉은사(奉恩寺)에 기거하면서 선지식(善知識)의 대접을 받았다. 禪 ??
이와같이 그의 학문은 여러 방면에 걸쳐서 두루 통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청나라의 거유들이 그를 가리켜 ‘해동제일통유(海東第一通儒)’라고 칭찬하였으며,
그 자신도 이 미칭(美稱)을 사양하지 않을 만큼 자부심을 가졌던 민족문화의 거성적 존재였다.
影幀(영정) ①그림으로 나타낸 어떤 사람의 얼굴 모습이나 용태. 특(特)히, 조선(朝鮮) 시대(時代) 이전(以前)에 그려진 옛 사람의 초상화(肖像畵)를 가리킴. 영상 ②초상(初喪)을 치르거나 제사(祭祀)를 지낼 때 놓아두는, 죽은 사람의 사진(寫眞)이나 초상화(肖像畵)
4. 서예
또한, 그는 예술에서도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예술은 시·서·화 일치사상에 입각한 고답적인 이념미(理念美)의 구현으로 고도의 발전을 보인
청나라 고증학을 바탕에 깔고 있었다.
그래서 종래 성리학을바탕으로독자적인 발전을보여온 조선 고유의 국서(國書)와 국화풍(國畵風)에
대하여는 철저하게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는데, 이는 바로 전통적인 조선성리학에 대한 그의 학문적인
태도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그는 어릴 때부터 천재적인 예술성(특히 서도)을 인정받아 20세 전후에 이미 국내외에 이름을 떨쳤다.
그러나 그의 예술이 본궤도에 오른 것은 역시 연경(燕京)에 가서 명유들과 교유하여 배우고 많은 진적(眞蹟)을 감상함으로써 안목을 일신한 다음부터였다.
옹방강과 완원으로부터 금석문의 감식법과 서도사 및 서법에 대한 전반적인 가르침을 받고서 서도에
대한 인식을 근본적으로 달리했다.
眞蹟 ①실제의 유적(遺蹟) ②친필(親筆)
옹방강의 서체를 따라 배우면서 그 연원을 거슬러올라 조맹부(趙孟頫)·소동파(蘇東坡)·안진경(顔眞卿) 등의 여러 서체를 익히고, 다시 더 소급하여 한(漢)·위(魏)시대의 여러 예서체(隷書體)에 서도의 근본이
있음을 간파하고 본받기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들 모든 서체의 장점을 밑바탕으로 해서 보다 나은 독창적인 길을 창출(創出)한 것이 바로 졸박청고(拙樸淸高)한 추사체(秋史體)이다.
拙樸淸高 拙樸 서투르나 순박하다(질박하다)
淸高 사람됨이 맑고 고결(高潔)함
추사체는 말년에 그가 제주도에 유배되었을 때 완성되었는데, 타고난 천품에다가 무한한 단련을 거쳐
이룩한 고도의 이념미의 표출로서, 거기에는 일정한 법식에 구애되지 않는 법식이 있었다.
▲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1786-1856)가 말년에 가장 아꼈다는 제자 김석준(金奭準.1831-1915)의 시집인 연백당초집(硏白堂初集)이 한국 한문학 전공인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한영규 박사에 의해 최근 발견됐다. /연합뉴스
5. 시와 회화
한편, 그는 시도(詩道)에 대해서도 당시의 고증학에서 그러했듯이 철저한 정도(正道)의 수련을
강조했다. 스승인 옹방강으로부터 소식(蘇軾)·두보(杜甫)에까지 도달하는 것을 시도의 정통과 이상으로
삼았다.
그의 시상이 다분히 실사구시(實事求是)에 입각한 것은 당연한 일로서 그의 저술인
《시선제가총론 詩選諸家總論》에서 시론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화풍(畵風)은 대체로 소식으로부터 이어지는 철저한 시·서·화 일치의 문인취미를 계승하는 것으로서,
그림에서도 서권기(書卷氣)와 문자향(文字香)을 주장하여 기법보다는 심의(心意)를 중시하는
문인화풍(文人畵風)을 매우 존중하였다.
마치 예서를 쓰듯이 필묵의 아름다움을 주장하여 고담(枯淡)하고 간결한 필선(筆線)으로 심의를
노출하는 문기(文氣)있는 그림을 많이 그렸다.
특히 그는 난(蘭)을 잘 쳤는데, 난 치는 법을 예서를 쓰는 법에 비겨서 말하고 ‘문자향’이나 ‘서권기’가
있는 연후에야 할 수 있으며 화법(畵法)을 따라 배워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枯淡 (고담) ①청렴(淸廉) 결백(潔白)하여 욕심(慾心)이 없음
②서화(書畵), 문장(文章), 인품(人品) 등이 저속(低俗)하지 않고 아취(雅趣)가 있음
그의 서화관은 가슴속에 청고고아(淸高古雅)한 뜻이 있어야 하며, 그것이 ‘문자향’과 ‘서권기’에 무르녹아
손끝에 피어나야 한다는 지고한 이념미의 구현에 근본을 두고 있다.
이러한 그의 예술은 조희룡(趙熙龍)·허유(許維)·이하응(李昰應)·전기(田琦)·권돈인 등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당시 서화가로서 그의 영향을 받지 않은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조선 후기 예원(藝苑)을
풍미하였다. 현전하고 있는 그의 작품 중 국보 제180호인 〈세한도 歲寒圖〉와 〈모질도 耄耋圖〉·
〈부작란 不作蘭〉 등이 특히 유명하다.
淸高 古雅 예스러워 아담함
대둔사 '무량수각' 현판. 제주도로 유배가면서 써준 것이다.
예산 화암사 '무량수각' 현판.
\6. 전각
시·서·화 이외에 그의 예술에서 빠뜨릴 수 없는 것이 전각(篆刻)이다.
전각이 단순한 인신(印信)의 의미를 넘어서 예술의 한 분야로 등장한 것은 명나라 중기였으며,
청나라의 비파서도(碑派書道)가 낳은 등석여(鄧石如)에 이르러서 크게 면목을 새롭게 하였는데,
그는 등석여의 전각에 친밀히 접할 수가 있었고, 그밖에 여러 학자들로부터 자신의 인각(印刻)을 새겨
받음으로써 청나라의 전각풍에 두루 통달하였다.
篆刻(전각) ①돌ㆍ나무ㆍ금이나 옥 따위에 인장(印章)을 새김 ②또는, 그 글자. 흔히 전자(篆字)로 새김
篆 전자 전.
大篆 (대전)중국(中國) 주(周)나라 선왕 때 태사(太史) 주가 만든 한자(漢字) 서체(書體)
印信 도장. 관인(官印) .
印刻 ①나무나 그밖의 물건(物件)에 새기는 일 ②또는 그 글자
또, 고인(古印)의 인보(印譜)를 구득하여 직접 진한(秦漢)의 것까지 본받았다.
그의 전각수준은 청나라와 어깨를 겨누었다.
印譜 여러 가지 인발을 모아 둔 책. 중국(中國)에서는 송(宋)나라의 선화(宣和) 때 시작(始作)하여
원(元)나라 때도 있었으나 전하지 않고, 명(明)의 융경 연간(隆慶年間)에 무릉(武陵)의 고씨(顧氏)가
그의 별호가 많은 만큼이나 전각을 많이 하여서 서화의 낙관(落款)에 쓰고 있었는데, 추사체가 확립되어
감에 따라 독특한 자각풍(自刻風)인 추사각풍(秋史刻風)을 이룩하여, 졸박청수(拙樸淸瘦)한 특징을
드러내었다.
7. 산문
그의 문학에서 시 아닌 산문으로서 한묵(翰墨)을 무시할 수 없다.
단순한 편지가 아니라 편지형식을 빌린 문학으로서 수필과 평론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그의 문집은 대부분이 이와같은 편지글이라고 할 만큼 평생 동안 편지를 많이 썼고, 그를 통해서
내면생활을 묘사하였던 것이다.
翰墨(한묵) (문한(文翰)과 필묵(筆墨)이라는 뜻으로) 문필을 이르는 말
그 중에도 한글편지까지도 많이 썼다는 것은 실학적인 어문의식(語文意識)의 면에서 높이 평가할
일이다.
현재까지 발굴된 그의 친필 언간(諺簡)이 30여통에 이르는데 제주도 귀양살이중에 부인과 며느리에게
쓴 것이 많다. 국문학적 가치로 볼 때 한문서간보다 월등한 것이며, 또 한글 서예면에서 민족예술의
뿌리가 되는 고무적인 자료이다.
한문과 국문을 막론하고 그의 서간은 한묵적 가치면에서 새로운 주목을 받고 있다.
諺簡(언간) (전날)언문 편지(便紙)라는 뜻으로, 우리 한글로 쓴 편지(便紙)를 얕잡아 이르던 말
8. 평가
우리나라 역사상에 예명(藝名)을 남긴 사람들이 많지만 이만큼 그 이름이 입에 오르내린 경우도 드물다. 따라서, 그에 대한 연구도 학문·예술의 각 분야별로 국내외 여러 학자들 사이에서 일찍부터
이루어져왔다.
그 결과 그는 단순한 예술가·학자가 아니라 시대의 전환기를 산 신지식의 기수로서, 새로운 학문과 사상
을 받아들여 조선왕조의 구문화체제로부터 신문화의 전개를 가능하게 한 선각자로 평가된다.
그의 문집은 네 차례에 걸쳐 출판되었다.
《완당척독 阮堂尺牘》(2권 2책, 1867)·《담연재시고 覃#연14齋詩藁》(7권 2책, 1867)·
《완당선생》(5권 5책, 1868)이 있고, 《완당선생전집》(10권 5책, 1934)은 종현손 익환(翊煥)이
최종적으로 보충, 간행한 것이다.
참고문헌 |
阮堂先生全集(1934) 韓中關係史硏究(全海宗, 一潮閣, 1970) 諺簡의 硏究(金一根, 建國大學校出版部, 1986) 秋史實記(崔完秀, 澗松文華 30, 韓國民族美術硏究所, 1986) 淸朝文化東傳の硏究(藤塚#인23, 國書刊行會, 1975). 〈金一根〉 |
출처 : 마음의 정원
글쓴이 : 마음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
좋아요공감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