改過遷善(개과천선)
改 過 遷 善
고칠 개 지날 과 옮길 천 착할 선
*. 改過遷善(개과천선)-잘못을 고치고 옳은 길에 들어섬.
晉(진)나라 혜제 때 양흠 지방에 周處(주처)라는 망나니가 살고 있었 다. 그의 부친인 주방은 동오의 파양태수를 지냈으나 주처가 어렸을 때 세상을 떠 주처는 부모의 가르침을 받지 못하고 방탕한 생활을 했 다. 또한 주처는 강인한 체력에 힘이 장사라 걸핏하면 폭행을 일삼아 마을 사람들은 그를 보면 피했을 정도였다.
주처가 어린 시절을 그렇게 보내다가 철이 들자 점차 자기의 잘못을 깨닫기 시작했다. “지난 허물을 과감히 고치고 새로운 사람이 되겠도 다.” 하고 굳은 결심을 했다.
어느 날 마을 사람들이 모두 모인 자리에서 마을 사람들에게 물었다. “지금은 세상이 태평하여 모두들 걱정이 없이 사는데 왜 여러분들은 저만 보면 얼굴을 찡그리고 피하십니까?” 그러자 모두들 머뭇거리고 대답을 하지 못했다. 그때 한 사나이가 이렇게 대답을 했다. “세 가 지 해로움도 제거하지 못했는데 어찌 태평을 논할 수 있겠는가?”
주처는 그의 말에 “세 가지 해로움이라니 그것이 무엇입니까?” 라 고 물었다. 그러자 그 사나이는 “남산에 있는 사나운 호랑이와 長橋 (장교)아래에 있는 蛟龍(교룡), 그리고 바로 주처 자네를 합쳐 세 가 지 해로움이라고 한다네.” 주처는 사나이의 그 말에 더더욱 새로운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결심을 했다. 그리고는 마을 사람들에게 다짐을 했다. “제가 반드시 그 세 가지 해로움을 제거하겠습니다.” 그러자 마을 사람들은 마음속으로 다행으로 여겨 그를 칭찬했다.
그때부터 주처는 검을 들고 남산에 올라 호랑이를 잡아 죽였으며, 장교 아래의 물에 뛰어들어 교룡과 싸움을 벌여 사흘이 넘도록 돌아 오질 않았다. 이에 마을 사람들은 주처가 교룡에게 잡아 먹혔다고 손 을 들어 기뻐했다. 그러나 주처는 악전고투 끝에 교룡을 죽이고 살아 서 마을로 돌아왔다. 이를 본 마을 사람들은 별로 달갑게 여기질 않 았다.
주처는 마을 사람들이 아직도 자기에게 원한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 더욱 마음을 고쳐 착한 사람이 되겠다고 각오를 다지며 고향을 떠나 동오에 가서 대학자인 陸機(육기)와 陸雲(육운) 두 형제를 만나 자신 을 솔직하게 말했다. “저는 전에 나쁜 짓을 수없이 많이 했습니다. 그러나 이제부터는 뜻을 세워 새로운 사람이 되려합니다. 하지만 너 무 늦은 것 같아 두렵습니다.”그러자 육운은 “자네는 나이가 아직 젊네. 굳은 의지를 가지고 改過遷善(개과천선)하면 자네의 앞길은 창 창할 걸세.”하며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이때부터 주처는 뜻을 세워 동오에서 십여 년간 학문을 닦고 익혀 마침내 유명한 대학자가 되었다.
이렇게 생겨난 고사가 개과천선이다.
[출처] 改過遷善(개과천선)|작성자 나구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