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장 청동기와 철기
제1절 청동기문화의 형성과 변천
Ⅰ. 청동기시대(遼寧式銅劍期)의 청동기(기원전 20~15세기)
1. 청동기 문화권(요하 기준)
요서 지방의 하가점상층문화(夏家店上層文化)
요동의 요령식동검문화(遼寧式銅劍文化)
길림성지역의 서단산문화(西團山文化)
한반도의 요령식동검문화(遼寧式銅劍文化)
2. 무기류
검(遼寧式銅劍), 투겁창(鉾)(자상(刺傷)을 입히는 봉부와 자루를 끼는 투겁부(銎部)), 촉(鏃)
銎 도끼구멍 공. 鉾 矛(창모)의 고자. 鏃 살촉 족, 살촉 촉
3. 공구류
도기(斧), 손칼(刀子), 끌(鑿)
4. 기타
거친무늬거울(多鈕粗紋鏡), 단추(泡), 종방울(銅鐸)
泡 거품 포, 작은샘 포
Ⅱ. 초기철기시대의 청동기(한국식세형동검기, 기원전 3~2세기)
1. 무기류
검(細形銅劍), 창(鉾), 꺽창(戈)
2. 공구류
도기(斧), 끌(鑿), 각도(刻刀)
3. 기타
의기 : 잔줄무늬거울(多鈕細紋鏡), 팔주령(八珠鈴), 쌍두령(雙頭鈴), 간두령(竿頭領). 防牌形銅器, 劍把刑銅器, 圓蓋形銅器
충청남도 논산에서 출토되었으며 지름 21.2cm이며 1971년 12월 21일 국보 제141호로 지정되었다.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옛 사람들은 청동으로 만든 큰 대야에 물을 담아 자기의 얼굴을 비추어 보면서 단장하였으며, 대야를 잘 닦으면 물이 없어도 얼굴이 잘 비치는 것을 깨닫게 되어 만든 것이 구리거울이다.
Ⅲ. 원삼국시대의 청동기(기원전 1세기~기원후 3세기)
거울 : 戰國鏡(山字文鏡), 前漢鏡, 後漢鏡,
화폐 : 五銖錢, 半兩錢, 貨泉, 貨布(王莽錢), 대천오십(大泉五十)
전한(서한)의 오수전과 반량전
신 王莽대의 화천. 화포, 대천오십)
貨布(王莽錢), : 중국 전한(前漢) 말기, 왕망(王莽) 때 사용되던 화폐의 하나
帶鉤 : 馬形帶鉤, 虎形帶鉤
漢과 新
전한(前漢, 西漢)(BC 206~AD 9) | 유방(劉邦) 高祖 |
신(新)(AD9~23) | 왕망(王莽) |
후한(後漢, 東漢)(25~220) | 劉秀 光武帝 |
제2절 철기문화의 유입과 발달
1. 초기 철기시대의 양상
청동기 : 대구, 명도전, 청동검, 청동창, 잔무늬거울, 검파두식
철기 : 투겁창, 각도, 도끼, 낫, 반달돌칼, 호미, 괭이, 끌
석기 ; 반달돌칼
Ⅱ. 원삼국시대의 양상
철기 : 따비, 꺽창, 판상철부, 창, 환두대도
Ⅲ. 철 및 철기의 생산기술
낙랑 : 거푸집((鎔范, 용범)
화성 기안리 유적 : 중국식 제강기술
다호리64호묘 : 철광석 부장
Ⅰ. 청동기시대(遼寧式銅劍期)의 청동기(기원전 20~15세기)
1. 청동기 문화권(요하 기준)
요서 지방의 하가점상층문화(夏家店上層文化)
요동의 요령식동검문화(遼寧式銅劍文化)
길림성지역의 서단산문화(西團山文化)
한반도의 요령식동검문화(遼寧式銅劍文化)
2. 무기류
검(遼寧式銅劍), 투겁창(鉾)(자상(刺傷)을 입히는 봉부와 자루를 끼는 투겁부(銎部)), 촉(鏃)
銎 도끼구멍 공. 鉾 矛(창모)의 고자. 鏃 살촉 족, 살촉 촉
3. 공구류
도기(斧), 손칼(刀子), 끌(鑿)
4. 기타
거친무늬거울(多鈕粗紋鏡), 단추(泡), 종방울(銅鐸)
泡 거품 포, 작은샘 포
Ⅱ. 초기철기시대의 청동기(한국식세형동검기, 기원전 3~2세기)
1. 무기류
검(細形銅劍), 창(鉾), 꺽창(戈)
2. 공구류
도기(斧), 끌(鑿), 각도(刻刀)
3. 기타
의기 : 잔줄무늬거울(多鈕細紋鏡), 팔주령(八珠鈴), 쌍두령(雙頭鈴), 간두령(竿頭領). 防牌形銅器, 劍把刑銅器, 圓蓋形銅器
충청남도 논산에서 출토되었으며 지름 21.2cm이며 1971년 12월 21일 국보 제141호로 지정되었다.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옛 사람들은 청동으로 만든 큰 대야에 물을 담아 자기의 얼굴을 비추어 보면서 단장하였으며, 대야를 잘 닦으면 물이 없어도 얼굴이 잘 비치는 것을 깨닫게 되어 만든 것이 구리거울이다.
Ⅲ. 원삼국시대의 청동기(기원전 1세기~기원후 3세기)
거울 : 戰國鏡(山字文鏡), 前漢鏡, 後漢鏡,
화폐 : 五銖錢, 半兩錢, 貨泉, 貨布(王莽錢), 대천오십(大泉五十)
전한(서한)의 오수전과 반량전
신 王莽대의 화천. 화포, 대천오십)
貨布(王莽錢), : 중국 전한(前漢) 말기, 왕망(王莽) 때 사용되던 화폐의 하나
帶鉤 : 馬形帶鉤, 虎形帶鉤
漢과 新
전한(前漢, 西漢)(BC 206~AD 9) | 유방(劉邦) 高祖 |
신(新)(AD9~23) | 왕망(王莽) |
후한(後漢, 東漢)(25~220) | 劉秀 光武帝 |
제2절 철기문화의 유입과 발달
1. 초기 철기시대의 양상
청동기 : 대구, 명도전, 청동검, 청동창, 잔무늬거울, 검파두식
철기 : 투겁창, 각도, 도끼, 낫, 반달돌칼, 호미, 괭이, 끌
석기 ; 반달돌칼
Ⅱ. 원삼국시대의 양상
철기 : 따비, 꺽창, 판상철부, 창, 환두대도
Ⅲ. 철 및 철기의 생산기술
낙랑 : 거푸집((鎔范, 용범)
화성 기안리 유적 : 중국식 제강기술
다호리64호묘 : 철광석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