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흥녕부(興寧府. 晋康府, 晋陽府) | 무신정권 중심기구, 진강후(晋康侯) |
교정도감(敎定都監) | 교정별감(敎定別監). 반대세력 수색 및 비위사실 감찰 |
정방(政房) | 정색승선(政色承宣). 최우때 설치한 동지작인 인사행동기구 |
서방(書房) | 문인들의 숙위기간 |
도방(都房) | 경대승이 만든 사병집단으로 최씨정권에서 확대 |
삼별초(三別抄) | 좌별초. 우별초, 신의군 |
무신정권(1170~1270)
시기 | 연대 | 인물 | 내용 | 중심기구 |
제1기(성립기, 1170~1196) | 1170~1179 | 이고(李高), 이의방(李義方), 정중부(鄭仲夫) | 이의방(李義方)이 1171년 이고(李高)를 죽이고, 이의방(李義方)은 1174년 정중부(鄭仲夫)의 아들 정균(鄭筠)과 사위 송유인(宋有仁)에 살해됨 | 중방(重房) |
1179~1183 | 경대승(慶大升) | 김자격, 견룡(牽龍), 허승(許升), 김경린과 함께 정중부(鄭仲夫) 부자와 송유인(宋有仁) 참수. 병사 | 도방(都房) | |
1183~1196 | 이의민(李義旼) | 조위총(趙位寵)의 난(1174년) 때 공훈. 의종(毅宗) 살해. | 중방(重房) | |
제2기(확립기, 1196~1258) | 1196~1219 | 최충헌(崔忠獻) | 이의민(李義旼) 살해 | 교정도감(敎定都監. 1209~ |
1219~1249 | 최우(崔瑀)→최이(崔怡) | 1219년 추밀원부사로 아버지 최충헌의 뒤를 이어 집권. 1225년 정방을 설치하여 인사권을 장악했고 도방을 확장. 몽골의 침공 소식에 1232년 강화천도(江華遷都). 1243년 국자감을 수축했으며 사재를 동원해 대장경판 재조를 완성. | ||
1249~1257 | 최항(崔沆) | 전전긍지(殿前承旨) 이공주(李公柱), 최양백(崔良伯), 김준(金俊) 등의 가노(家奴)에게 관직을 별장(別將) 제수. 집권하자 김경손(金慶孫)장군, 지이부사 상장군(知吏部事上將軍) 주숙(周肅, 본면 周永賚), 최우(崔瑀)의 계실이었던 대씨부인 참살 | ||
(1257~1258 | 최의(崔竩) | 이공주 낭장(郎將) 임명 | ||
제3기(쇠퇴기, 1258~1270) | 1258~1268 | 류경(柳璥)과 김인준(金仁俊)→김준(金俊) | 김준(金俊, 가노출신 김윤성의 아들).고종45년 3월(1258년)에 동생 김승준, 아들 김대재(金大才, 최영백 사위)・김용재・김식재과 大司成 柳璥. 神義軍都領別將 朴希實. 樞密院使 崔昷, 이연소. 將軍 朴松庇.都領別將 林衍과 함께 崔竩 참수하고 崔良伯 제거.무오정변(戊午政變) | |
1268~1270 | 임연(林衍) | 원종이 임연(林衍), 강윤소(康允紹), 환관 최은(崔壄)・김경(金鏡)을 시켜 金俊 살해. 무진정변(戊辰政變). 원나라의 친조(親朝) 요구를 거부하면서 대몽항쟁을 준비하다가 근심과 울분으로 사망 | ||
1270~1270 | 임유무(林惟茂) | 원종이 이분성(李汾成)을 보내 해 회유당한 근위대 삼별초와 어사중승(御史中承) 홍문계(洪文系((임연의 사위 임유무의 매형)), 문하성직사(門下省直事) 송송례(宋松禮) 등에게 살해당하고 어머니 이씨와 형제들은 모두 원나라로 압송 |
Ⅳ. 고려 후기의 정치변동
1. 원의 내정간섭
가. 부마체제의 성립
원 나라는 필요에 의하여 고려국왕을 교체하고 고려 국왕은 원나라의 부마국(鮒馬國)으로서 국왕은 세자로 있는 동안 독로화(독로화, tuluge)로서 북경에 머물러 있다가 즉위하여 왕이 되었고 왕이 된 뒤에도 북경에 자주 드나들며 개경을 비우는 경우가 많았으며 원제국 안에서 예우와 통제를 받았다.
충렬왕 | 충선왕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충숙왕 | 충혜왕 | 충목왕 | 충정왕 | 공민왕 |
1274~1298 | 1298~1298 | 1298~1308 | 1308~1313 | 1313~1330 | 1330~1332 | 1332~1339 | 1339~1344 | 1344~1348 | 1349~1351 | 1351~1374 |
나. 왕실과 관제의 격하
고려의 왕실용어와 관제를 격하시켰다.
⑴ 관제의 격하
고려 전기(2성6부) | 충렬왕 원년(1부 4사) |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 첨의부(僉議부) |
상서성(尙書省) | |
도병마사(都兵馬使) |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 |
중추원(中樞院)→추밀원(樞密院) | 밀직사(密直司) |
어사대(御史臺) | 감찰사(監察司) |
한림원(翰林院 | 문한서(文翰署) |
이부(吏部) | 전리사(典理司) |
호부(戶部) | 판도사(版圖司) |
예부(禮部) | 폐지(전리사에 통폐합) |
병부(兵部) | 군부사(軍簿司) |
형부(刑部) | 전법사(典法司) |
공부(工部) | 폐지 |
국자감(國子監) | 국학(國學) |
⑵ 왕실 용어 격하
원 간섭기 이전 | 원간섭기 |
조(祖), 종(宗) | 충~왕(忠~王) |
짐(朕) | 고(孤) |
폐하(陛下) | 전하(殿下) |
태자(太子) | 세자(世子) |
다. 정동행성의 설치(충렬왕 6년 1280년~1356년)
원은 일본 원정에 고려를 동원하기 위해 정동행성을 설치하고 폐지와 설치를 거듭하다가 충렬왕 11년 이후 계속 유지했다. 정동행성의 장관인 좌승상(左丞相)에는 고려 국왕이 임명되었고 정동행성은 형식적인 기구였고 정동행성 이문소를 통해 고려의 내정에 간섭하였다.
라. 영토상실
⑴ 쌍썽총관부(雙城摠管府, 1258~1358년)
고종 45년 1258년 조휘(趙暉), 탁청(卓靑)이 도병마사 신집평(愼執平)을 살해하고 몽골에 투항하면서 설치되었다가 공민왕 5년 1358년 무력으로 회복하였다.
⑵ 동녕부(東寧府, 1270~1290년)
원종 11년 1270년 최탄(崔坦), 한신(韓愼), 이정령(李廷齡), 계문비(桂文庇), 현효철(玄孝哲)등이 임연(林衍)이 왕을 쫓아내고 안경공(安慶公) 창(淐)을 세웠을 때에 이를 토벌하다는 구실로 원나라에 투행했다가 충렬왕 16년 1290년에 회복하였다.
⑶ 탐라총관부(耽羅摠管府, 1273~1301)
원종 15년 1273년 삼별초난을 진압한후 설치하였다가 충렬왕 27년 1301년에 회복하였다.
마. 인적 물적 수탈
⑴ 인적 수탈
공녀(처녀, 寡婦處女推考別監[과부처녀추고별감]), 내시(환관) 등을 요구했다.
⑵ 물적 수탈
금, 은, 포백, 자기, 호피, 인삼, 해동청(海東靑, 매, 鷹坊[응방]) 등의 물품을 수탈했다.
바. 원 문화의 영향
⑴ 몽고풍과 고려양의 유행
변발, 호복, 조혼, 족두리, 연지 등의 몽고풍속이 고려에서 유행하였고 원에서는 고려쌈 등이 유행하였다.
⑵ 자주성 손상
⑶ 문물의 전래
원을 통하여 성리학, 화약, 서양문물이 전래되었다.
역대 국왕들의 왕권강화를 위한 신진세력 및 정권소외세력 등용
1. 고려 光宗의 과거합격자들의 활동
2. 고려 忠宣王 즉위년(충령왕원년, 1298) 사림원(詞林院) 신진학자들의 개혁운동
3. 고려 忠穆王 3년(1347년) 整治都監의 개혁운동
4. 고려 恭愍王 신진사대부의 정계진출
5. 조선 成宗 士林勢力의 등용
6. 조선 中宗 趙光祖의 등용
7. 조선 正祖 남인계열의 등용
8. 조선 高宗 大院君의 四色登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