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쪽 | B6 크기 | 12,000원
ISBN 979-11-91332-61-2
2025.8.25.
재생종이로 만든 책
<사회사업개론>
사회사업 현장에서 강점 기반 통합 실천 이해
김세진
이런저런 문제나 어려움이 있는 당사자일지라도 분명 잘해왔고 잘하고 있고 잘할 수 있는 일이 있다고 믿습니다.
만나고 싶고, 만나고 있고, 만나면 좋을 사람이 있을 겁니다.
이런 믿음으로 문제 너머를 보는 시선, 이것이 ‘강점 관점’입니다.
‘강점 관점’으로 바라본 사회사업가는 당사자의 ‘강점’을 발견하고, 그것을 발휘하도록 거듭니다.
이것이 ‘강점 실천’입니다.
이 과정에서 사회사업가는 그 일을 당사자에게 묻고 의논하고 부탁하여, 당사자의 일이 되게 합니다.
당사자가 이를 스스로 이루었을 때, ‘임파워먼트’가 일어납니다.
강점을 발휘하는 경험이 쌓이면 자존감이 형성됩니다.
또한, 강점을 발견하고 발휘하는 집단 속에 있을 때, 자존감은 더욱 강화됩니다.
이런 과정에서 ‘좋은 관계’가 형성됩니다.
자존감과 좋은 관계는 ‘탄력성’을 만듭니다.
탄력성을 갖춘 당사자는 이제 지원이 줄어들거나 없어도 살아가며,
새로운 어려움이 닥쳐도 잘 이겨낼 수 있습니다.
그 어려움조차 경험적 자산이 되어, 점점 성장하고 성숙하게 합니다.
이러한 삶이 바로 ‘생동하는 삶’입니다.
당사자가 자기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도록 거드는 이 모든 과정이 바로 강점 사회사업,
곧 ‘사회사업(social work)’입니다.
사회사업 현장은 우리를 때때로 ‘정신없이’ 바쁘게 만듭니다.
정말 사회사업가가 ‘정신’을 놓은 채 일한다면, 그 실천이 과연 진정한 사회사업일 수 있을까요?
마치 혼돈 속에서 깨어난 사람이 “나는 누구지? 여기는 어디지?” 하고 묻는 것처럼,
우리 사회사업가들도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춰 서서 자신과 실천 현장을 되돌아보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 책은 바로 그런 질문들에 답을 찾아가는 여정입니다.
‘나는 누구인가(사회사업가)’, ‘그는 누구인가(당사자)’, ‘여기는 어디인가(실천 현장)’
이 세 가지 근원적인 질문을 중심에 두고, 우리 실천의 방향성과 본질을 되짚어 보려 합니다.
그 과정을 통해 사회사업 중심에 놓인 ‘인간다운 삶’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잃지 않게 돕고자 합니다.
사회사업은 단순히 선의를 가진 원조 활동이 아닙니다.
축적된 지식, 기술, 경험, 가치를 바탕으로 ‘당사자’의 사회적 기능 향상과 ‘사회’ 정의 실현을 추구하는 전문직입니다.
우리가 돕고자 하는 당사자는 문제의 집합체가 아니라, 강점과 잠재력을 지닌 주체적 존재입니다.
우리 실천 현장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환경 속 인간’이라는 생태체계론적 관점에서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공간입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별·집단·지역사회사업이라는 직접 실천 방법과,
사회 행동·행정·연구 같은 보조 방법을 어떻게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를 구체적으로 안내합니다.
특히, 당사자의 문제 너머에 있는 희망, 열망, 재능, 역량, 가치, 강점, 꿈에 집중하고,
그것을 ‘생동’하게 하는 적극적 욕구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생동’이란, 당사자가 자기 삶의 주인으로 살아가게 거드는 일,
둘레 사람과 다양한 형태로 연결되어 어울리게 지원하는 과정을 뜻합니다.
이 책은 ‘방법’과 ‘관점’의 관계를 의도적으로 구성했습니다.
먼저 개별·집단·지역사회사업이라는 세 가지 방법을 익히도록 한 뒤,
‘삶의 생동’을 다루는 장에서 강점과 욕구 관점을 본격적으로 설명합니다.
이는 독자가 방법의 구조와 쓰임을 구체적으로 이해한 다음,
그 방법을 새롭게 해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관점을 덧입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방법을 모르는 상태에서는 관점이 추상적으로 들리며,
현장을 구체적으로 상상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방법과 관점은 서로를 해석하고 보완하는 한 쌍입니다.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부에서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사회사업가의 이상과 정체성을 탐구합니다.
2부에서는 ‘어떻게 도울 것인가’라는 실천적 질문에 답하며, 구체적인 실천 관점과 방법을 정리합니다.
3부에서는 강점과 욕구 기반 사회사업이 어떻게 실제 현장에서 삶의 생동을 이끌어냈는지
다양한 사례를 통해 보여줍니다.
4부에서는 이런 관점의 실천이 마주하는 한계와 비판을 성찰하며,
실천가로서 정체성과 실천 범위를 다시 점검합니다.
이 책은 현장 사회사업가에게 당장 적용해볼 만한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이론을 안내하고,
앞서 그렇게 이룬 사례로써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사회사업가는 누구이고, 당사자의 어떤 삶을 위해, 어디에 서서 실천하는지를 분명히 아는 사회사업가는
어떤 상황에서도 실천 가운데 정신을 잃지 않을 겁니다.
이 글이 방황하는 사회사업가에게 길잡이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다시 나아갈 힘이 되면 좋겠습니다.
사회사업은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어가는 매력적인 일입니다.
차례
머리말_2
1부_사회사업 이상 : 나는 누구인가
1장. 사회사업 본질과 사회사업가 정체성_10
2장. 사회사업 핵심 관점 ‘환경 속 인간’ 이해_13
3장. 당사자를 바라보는 관점 : 그는 누구인가_17
4장. 실천 현장 이해 : 여기는 어디인가_20
2부. 사회사업 방법 : 어떻게 도울 것인가
1장. 사회사업 3대 주요 방법_25
1. 개별사회사업(Case work)_26
2. 집단사회사업(Group Work)_28
3. 지역사회사업(Community Organization)_ 33
4. 입체적 지원_39
2장. 사회사업 통합 실천_42
1. 통합 실천 개념_42
2. 적용 사례_47
3. 통합 실천에서 지역사회사업의 자리매김_53
3장. 3대 주요 방법을 지원하는 3대 보조 방법_60
1. 사회 행동(Social Action)_60
2. 사회복지 행정(Social Welfare Administration)_63
3. 사회복지 조사연구(Social Work Research)_64
4. 관점과 방법의 통합_65
3부. 사회사업 실천 사례 : 삶의 생동
1장. 강점 이해와 실천_67
1. 강점이란 무엇인가_67
2. 강점 사회사업은 무엇인가_69
3. 강점과 약점_71
4. 강점과 임파워먼트_72
5. 강점과 탄력성_74
6. 강점과 3대 방법_79
2장. 욕구 이해와 실천_81
1. 욕구란 무엇인가_81
2. 브래드쇼의 ‘사회적 욕구 네 가지’ : 현장 적용을 위한 분석 틀_82
3. 매슬로의 ‘욕구 5단계 이론’ : 인간 욕구의 위계적 구조_88
4. 소극적 욕구와 적극적 욕구 : 문제 없는 삶을 넘어, 함께 좋은 삶으로_89
5. 왜 적극적 욕구와 강점 실천에 주목해야 하는가_91
3장. 강점 실천 사례_97
1. 개별사회사업에서 강점 실천 사례_97
2. 집단사회사업에서 강점 실천 사례_103
3. 지역사회사업에서 강점 실천 사례_111
4. 실천 해석_116
4장. 삶의 생동으로 이어지는 선순환_122
4부. 성찰과 응답
1장. ‘이론적 기반의 모호성’ 또는 ‘절충주의’ 비판_126
2장. ‘거시적 실천 축소’ 비판_129
3장. ‘욕구 위계 이론의 한계’ 비판_132
4장. ‘브래드쇼 욕구 유형의 적용 난이도’ 비판_134
5장. ‘적극적 욕구 및 강점 실천의 적용 가능성’ 비판_137
6장. ‘사회사업가 역할 부담 증가 또는 모호성’ 비판_140
7장. ‘실천 현장의 이상적 묘사’ 비판_143
8장. ‘잘된 사례만 소개한다’는 비판_146
9장. ‘과연 학술적인 글인가?’란 비판_149
맺음말_151
참고 도서_155
[책 구매]
https://cafe.daum.net/coolwelfare/SD5b/1
[본문 미리 보기]
첫댓글 개론 : 내용을 대강 추려서 서술함. 또는 그런 것. (네이버 국어사전)
안내 첫날, 오늘만 50권 가까이 보냈습니다. 고맙습니다.
(혼자 포장해 보낼 수가 없어서, 퇴근하고 온 아내에게 부탁해 책방에서 함께 포장했습니다.)
선생님들의 뜻있는 실천을 빛나게 하는 데,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