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학부 졸업생 3명, 국내 주요 대학 교수로 임용
박준 님의 스토리
• 1시간 • 2분 읽음
[대구=뉴시스] (좌측부터) DGIST 김묘정 동문(연세대 교수), 양준모 동문(영남대 교수), 유동현 동문(전남대 교수). (사진=DGIST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뉴시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교육의 결실로 첫 학부 졸업생이 국내 주요 대학의 교수로 잇달아 임용됐다고 19일 밝혔다.
DGIST 기초학부 첫 입학생(14학번)인 김묘정, 양준모, 유동현 교수는 각각 연세대학교, 영남대학교, 전남대학교 교수로 각각 임용됐다.
김묘정 교수는 DGIST 학부 졸업 후 KAIST에서 박사 학위를, 양준모·유동현 교수는 DGIST에서 학사 및 박사 학위를 모두 취득했다.
김묘정 교수는 DGIST 학부 3학년부터 다양한 연구실 인턴 경험을 통해 유기화학 기반 합성법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됐다.
또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연구를 통해 유기합성에 대한 흥미를 키웠다. 이후 관련 분야 연구를 더욱 심화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진학해 가시광선 촉매 반응을 활용한 유기합성 연구를 수행했다.
시카고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도 재직하며 스켈레탈 에디팅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를 통해 유기화합물 골격 변환 반응을 개발하며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탐색했다.
주요 연구 업적은 ▲피리딘 C-H 결합 기능화 ▲단백질 생체접합 ▲설폰아마이드 변환 반응 등으로 유기 반응 개발 연구 분야에 기여했다.
양준모 교수는 학부 재학 시절 로봇, 기계, 메카트로닉스 관련 과목을 수강하며 연구 기반을 다졌다. 학부생 주도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UGRP 및 동·하계 인턴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며 실무 경험을 쌓았다.
아울러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에서 ▲유연힌지 구조(CFH)를 활용한 인간형 로봇 핸드 개발(Soft Robotics 저널 표지 선정) ▲Supernumerary Robotic Finger 연구(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 장려상 수상) 등의 연구 성과를 냈다.
논문 6편도 게재하고 국제학회에서 8회 발표했으며 특허 4건을 등록했다.
유동현 교수는 학부 시절 수학, 통신 및 보안 관련 과목을 심도 있게 공부하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정수론을 비롯한 다양한 수학 과목을 이수하며 연구 역량을 키웠고 3학년부터는 대학원 수준의 통신 및 보안 관련 과목을 집중적으로 학습했다.
또 대학원생 시절 보안 및 암호 관련 심화 연구를 수행했으며 해외 교수들과의 주기적인 협업을 통해 국제 협력 경험을 쌓았다.
이와 함께 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학사·석사·박사 연계과정에서 ▲차량 내부 및 외부 기기 간 안전한 데이터 공유를 위한 속성 기반 암호화 및 인증·키 교환 프로토콜 개발 ▲위치 정보를 동적 속성으로 추가한 속성 기반 암호화 연구를 수행했다.
양자 암호 및 수중 통신 보안 등 다양한 보안 기술도 연구하며 학문적 성과를 거뒀다.
한편 DGIST는 2014년 첫 학부생을 선발한 이후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첨단 연구 인프라를 통해 우수 인재를 꾸준히 배출하며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DGIST는 이번 성과를 통해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교육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으며 앞으로도 세계적 학문·연구 인재를 배출하는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