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선교 전략
정민영, (사)한국해외선교회(GMF) 성경번역선교부(GBT)
Ⅰ. 서론
▶ 선교의 이유/목적(Why), 내용(What), 방법(How)
▶ 전략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 정의: "일의 성취를 위한 전반적 계획 및 그 근간을 이루는 원칙들...
목표 달성 및 문제 해결을 위한 전반적 접근, 계획 또는 방법론" (Dayton & Fraser)
* 모든 일에는 나름대로의 전략이 있다.
바울의 궁극적 목표는 온 세상에 그리스도를 전하는 것이었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그의 전략은 개척선교(frontier mission)였다(롬 15:20).
보다 구체적으로 그는 주요 도시들을 우선적으로 방문하여 회당을 찾아가 복음을 전하는 전략을 택했다(행 17:2).
* 전략의 수행에는 다양한 "방안들과 방도들(means and methods)" 및 "시안들(試案, operations)"이 동원된다.
동일한 전략이라도 구체적인 적용은 상황에 따라 다른 형태로 진행될 수 있다. ex) 상황적 지도력.
* 전략이란 장차 하나님께서 어떠한 일을 이루실 것이며 우리가 그분의 도구로서 그 일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믿음의 선언이다.
▶ 전략의 유형
(1) 표준화 (Standard Solution) 전략
(2) 무계획 ("Being-in-the-way") 전략
(3) 상황화 (Unique Solution) 전략
▶ 복음서에 나타난 전략적 양상들
* 12 제자 파송 전략 (마태복음 10장)
- 특정 종족집단 초점 (5)
- 말씀 선포 (7)
- 능력 대결 (1, 8)
- 값없이 관대하게 베풀 것 (8)
- 현지인들의 도움을 받을 것 (9-10)
- 너무 많이 가지고 가지 말 것 (눅 9:3)
- 순수한 자세를 지니되 지혜롭게 처신할 것 (16)
- 현지인과 더불어 지낼 것 (눅 9:4)
* 70 제자 파송 전략 (누가복음 10장)
- 동료와 함께 갈 것 (1)
- 현지인과 함께 지낼 것 (5, 7)
- 그들의 음식을 먹을 것 (7-8)
- 전도자로서의 올바른 정체감과 위상을 견지할 것 (16)
1. 자립교회의 원칙
▶ 19세기의 자립선교 원리: 三自 (自給, 自治, 自傳) 원리
* 19세기 세계선교의 방향을 바꾼 획기적인 이론. '先 文明化, 後 福音化'의 구도로부터 직접 전도와 교회 개척으로 방향 전환.
* 선구자: (1) Rufus Anderson, 미국 해외선교회(ABCFM: American Board of Commission for Foreign Mission) 총무.
(2) Henry Venn, 영국 교회선교회(CMS: Church Missionary Society) 총무.
▶ Rufus Anderson
* 선교의 목적 (1856년 ABCFM 연례보고서): (1) 죄인의 회심, (2) 회심자들로 교회 조직, (3) 현지교회 지도자 양성, (4) 자립, 자전하는 교회가 될 때까지 도운 후 다른 지역(region beyond)으로 이동해야 한다(그러나 선교적인 면에서는 현지교회와 계속 협력해야 한다).
* 바울의 선교 원리 (1) 예수님의 소명에 근거한 권위, (2) 결신자들로 교회 설립, (3) 교회 설립 후 현지인 지도자 세워 위임, (4) 지원하는 선교회 체제 없이 오히려 이방교회에 구제 요청, (5) 하류층 전도 후 상류층 접근, (6) 사도들이 세운 교회도 문제가 많았다, (7) 초대교회는 삼자교회. 따라서 물질적 가난과 도덕적 결함이 자립원리 실천의 문제가 될 수 없다.
▶ Henry Venn
* 선교의 목적은 복음 전파와 교회 설립.
* 선교와 식민주의의 결탁을 철저히 비판하고 배격.
* 현지인 지도자를 양성하여 자치하는 토착교회가 되게 하는 일 강조.
영국교회의 반대를 무릅쓰고 현지인 청년 Samuel Adgat Crother를 나이지리아 최초의 감독으로 임명.
* 전략
단계 1: 현지교회 설립 즉시 지도자 세움 (자치)
단계 2: 현지교회로 하여금 목회자에 대한 경제적인 책임을 지게 함 (자급)
단계 3: 지역교회 목사들과 평신도 대표들 중심의 협의체 구성.
* 선교의 안락사(euthanasia) 주장: 자립교회 세운 후 다른 지역으로 이동. 현지교회는 흥하고 선교(사)는 쇠퇴해야 한다.
* 성령의 역사에 대한 강한 확신: 현지교회는 외국(인)의 도움이 없어도 성령의 도우심으로 능히 설 수 있다. 현지인 지도자의 도덕적 결함과 능력 부족은 성령께서 책임지실 것이므로 큰 문제가 아니다. Anglo-Saxon의 편견으로 판단해서는 안된다.
* Samuel Hoffman (RCA 선교국): "The Christian missionary who loved as an evangelist and liked as a teacher, may find himself resented as an administrator."(참고:레나 테일러, 선교현장 이야기. IVP.)
▶ Gustav Warneck
* 자립선교의 원리를 계승하여 현지교회가 자립하면서 국가 전체를 기독교화 해야 한다는 국가기독교화(Volkschristianisierung) 개념으로 발전.
▶ John Nevius
* 미국인 선교사로 1854년 중국 영파(寧派)에서 사역 시작. 후에 산동성 지부로 이전.
* 1885년 선교잡지 Chinese Recorder에 Planting and Development of Missionary Churches를 기고하여 초기 한국에서 활동한 선교사들의 교과서이자 학생자원운동(SVM) 출신 선교사들의 훈련교재로 사용됨.
* Nevius의 책(1885)의 요지 (김성태, 1994: 228-231):
(1) 철저한 선교지 언어 습득. 언어 습득은 문화 이해의 첩경.
(2) 신자가 처한 곳을 떠나지 말고 주변의 복음화에 힘 쓸 것. ↔ 선교 기지/게토 중심의 청교도 선교 전략.
(3) 문화 변혁의 주체 및 토착교회의 지도자는 현지인. 선교사는 조력자.
H. G. Barnett. 1953. Innovation: The Basis of Culture Change. New York: McGraw Hill * 문화 변혁에 있어서 외지인(선교사)은 촉매(catalyst)나 동조(advocate) 역할만 하고 변혁(innovation)은 현지인에 의해 일어난다 (p. 291). 참고: Moskona 일부다처 제도의 변화.
(4) 토착적인 교육방법을 통한 지도자 훈련/양성. 강의 중심의 서구식 교육보다 암송을 통한 직관적 깨달음과 도제(apprenticeship) 교육 * 현장 중심의 조사(helper) 훈련.
(5) 철저한 성경공부의 강조. 성경에서 바른 선교 방법이 나오고, 성경을 통해 진정한 삼자 토착교회의 설립이 가능(Nevius, 1958: 10; Clark, 1930: 26-27). 자립하는 토착교회의 설립을 위해서는 성경을 통한 변혁이 필수적인데, 변혁의 주체는 현지인이어야 하고 변혁의 조력자가 되기 위해 선교사는 현지의 언어와 문화를 잘 습득해야 한다.
* 그의 글을 읽은 Underwood 선교사의 초청으로 1890년에 한국을 방문한 Nevius는 한국에서 사역 중이던 선교사들에게 그의 자립선교 원리를 가르쳤고, 그 결과 장로교와 감리교, 그리고 지금의 침례교도 그 원리를 수용했고, 교회 개척뿐 아니라 교육 및 의료 선교에도 적용됨.
* 중국의 서양 선교사들이 선교비로 고용한 현지인 지도자들의 실패를 경험으로 무보수 전도자 채용을 주장. 전도자를 고용하는 것을 그는 '구 방도(the old method)'라 칭하고, 그러한 방도를 통해 중국에 '쌀 신자(rice Christian)'가 양산(量産)되었다고 비판.
* 구 방도(Old method)의 폐단:
(1) 보수 받는 전도자들의 결실 부족, 고용되지 못한 이들의 질투와 불만.
(2) 고용된 자들의 신분 상승, 해고하면 배교.
(3) 동기 파악의 어려움.
(4) 돈과 보수를 바라는 마음 부추김.
(5) 무보수 자원 사역의 거침돌.
(6) 선교사역의 중요성 평가절하, 피선교지 사람들에 대해 '쌀 신자'라는 부정적 인상 고착.
* 현지문화에 대해서는 무관심했던 Anderson이나 Venn과는 달리 Nevius는 문화 변혁을 통한 토착교회의 설립 주장. Underwood(1908: 109-110)의 분석:
(1) 부름 받은 곳에 머물면서 주변 사람들에게 복음 전파.
(2) 현지교회가 감당할 수 있는 전도 방법과 교회 구조 지향.
(3) 현지교회가 일꾼과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전담 사역자 선발/양성.
(4) 현지 성도들에 의해 현지 정서에 맞는 예배당 건축.
* 기타, 광범위 순회 전도, 엄격한 교회 치리, 모든 신자들에 의한 총체적 전도 (Nevius, 1958: 31-33, 48-51), 선교지 분할 (comity) 정책 (송길섭, 1987: 68-69; Clark, 1930: 33-34) 등.
* Nevius 전략에 대한 비판들 (김성태, 1994: 231-233):
(1) Calvin Mateer (Clark, 1930: 44-60): (a) 경제적으로 어려운 현지교회의 몰락 위험 -> 그러나 Nevius가 선교기금의 사용을 무작정 금한 것은 아니고 토착교회의 의존성을 심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신축적이고 자발적인 제한이었다. 참고: Moskona의 지역개발(CD) project. (b) 서구적 개인주의 및 제도주의의 이식.
(2) 서광선, 송길섭, 이장식: (a) 반지성주의 (특히 W. D. Reynolds = 이눌서) -> 자유주의적이고 개방적인 편견에 의한 비판이라 보임. (b) 교파주의 -> 그러나 지역 분할 정책은 선교사들/단체들 간의 불필요한 경쟁과 중복투자, 자원의 낭비를 막기 위한 선교연합 정신에서 나온 것.
(3) 민경배: 비정치주의 -> 신학적 견해 차이에 기인한 비판.
(4) 전성천: 고립주의 -> (2-b)와 동일한 문제.
* 당시 한국에서 사역 중이던 대부분의 선교사들과 한국교인들이 Nevius 정책을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받아들인 결과, 선교 25주년이 되던 1909년에는 한국인 사역자 1,052명 중 94%의 재정 지원을 한국교회가 전적으로 감당했고, 당시 총 800개에 달하던 교회당들 중 20여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국교인들의 헌금으로 세워졌다. (PC USA의 한국선교 4반세기 보고서. 참고: Harry A. Rhodes, ed. 1934. History of the Korea Mission PC USA 1884-1934. Seoul: Chosen Mission Presbyterian Church, p. 399).
▶ Roland Allen
* 중국에서 자립 선교를 실천한 대표적 인물
* Allen(1931: 253)의 Nevius 정책 분석:
(1) 모든 신자는 믿은 후에도 자기 직업에 종사하면서 자발적으로 전도.
(2) 전도인 고용 불가.
(3) 한국식 교회당을 교인들의 힘으로 건축.
(4) 모든 신자들에게 성경을 읽고 연구하게 함 - 성경이 신생 교회를 키우고 자립하게 한다는 믿음 [참고: 행 20:32].
* 바울의 선교 방법 (Allen, 1927: 49):
(1) 경제적 원조 구하지 않는 자립(tent making) 선교.
(2) 피전도자를 경제적으로 돕지 않음.
(3) 지역교회의 재정에 관여하지 않음.
2. 돈과 선교
▶ 바울의 재정 원칙 (참고: Allen, 1993: 79-95)
(1) 재정적인 도움을 구하지 않음.
- 健德 차원: 삯꾼 목자나 이교도 지도자와의 구분. 그리스도의 복음에 장애가 되지 않게 하려는 의도
(고전 9:12, 행 20:33-34, 살전 2:5-9, 살후 3:7-8)).
- 복음 사역자로서 회중/교회로부터 지원 받는 것을 비난하지 않고 타당한 일로 인정
(고전 9:13-14, 참고: 마 10:10, 눅 10:7).
- 개종자들이 자발적으로 주는 선물은 받음 (빌 4:16, 고후 11:7-8). 참고: 남미 L 선교사의 경우.
- Faith mission의 원리
(2) 사역 대상에게 재정적 지원을 하지 않음.
- 현지교회의 재정적 자립 원칙 * 현지인 지도자/교사의 부양은 현지교회의 책임 (갈 6:6).
- 지역교회에게 가난한 사람들을 보살피고 지원하도록 권면.
- 선교사를 파송한 교회가 현지교회를 재정적으로 지원한 사례는 없다. 오히려 예루살렘 교회가 어려움을 당할 때 현지교회가 도왔다 (행 11:27-30).
(3) 현지교회 스스로 재정을 관리하게 함.
- 선교사는 불개입, 불간섭.
- 선교사가 현지교회의 재정을 관리하는 것은 현지인들의 교육적 경험을 박탈하고 책임감을 길러 주는 대리권을 빼앗는 일이며, 외지인으로서 감당하기에 부적합하고 벅찬 짐을 떠맡는 것이다.
▶ 현지교회에 대한 재정적 지원은 자립을 저해하는 요인 (참고: Bonk, 1992; 전호진, 1985: 242-245).
* 외자(外資)에 의존, 선교사에 종속.
* 현지교회들 간의 상부상조는 좋으나 해외의 교회/교단에 의존하도록 만드는 것은 옳지 않다.
* 해외 자금의 확보, 운영, 관리를 놓고 현지교회 내에 분쟁과 분열이 조장됨.
* 어렵더라도 현지교회의 자원을 동원,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물고기를 주기보다는 물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 자립하게 할 것. 단기적이고 단회적인 열매보다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효과를 지향할 것.
*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해 보이는 경우라도 전적으로 지원하지 말고 현지인들과 분담하는 형식을 취하되 단계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여 지원 비율을 줄여가야 한다.
* 사례: Ecuador 키츄아 인디언 신학교의 건축.
▶ 현지교회의 재정적 자립이 필요한 이유들 (Hodges, 1953: 74-85).
(1) 자립 원리는 성경의 원리이다. 선교지 교회는 '모교회'라 할 수 있는 예루살렘 교회의 원조를 받지 않았고, 바울은 자신이 설립한 현지교회로부터 보수를 받을 수 있었지만 유보했다.
(2) 가난한 교인들이 십시일반(十匙一飯)으로 교역자를 부양하고 교역자가 교인들과 같은 수준으로 생활할 때 일체감을 가지게 된다.
(3) 책임감이 영적인 축복을 가져온다. 자립정신이 있어야 전도도 하고 교회도 부흥한다.
(4) 선교사에게 보수를 받는 현지인 사역자는 현지교회보다 선교사 및 선교부에 더 책임감을 느끼고 충성하게 된다.
(5) 믿음과 희생 정신이 영적인 목회를 가능케 한다. 선교비와 해외원조에 의존하는 목사에게 역동적인 신앙과 사역을 기대하기 힘들다.
(6) 선교사로부터 많은 금전적 혜택을 누린다거나 외국의 스파이로 오해받을 수 있다.
(7) 자립이 전도의 문을 넓혀 준다. 자립정신으로 일할 때는 능동적으로 전도하지만, 보수를 받으면 적극성이 상실되기 때문에 전도의 문이 좁아진다.
3. 집단 개종
▶ 19세기 독일의 국가기독교화 운동
* 개인의 회심보다는 국가 전체를 기독교화 해야 한다는 사상: J. C. Hockendijk, Karl Groul.
* Gustav Warneck은 마 28:19의 "족속(????)"을 동질 종족집단(Volks)으로 해석하여 선교의 대상을 개인뿐 아니라 민족 단위로 이해했다. 또,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을 선택하신 사실을 근거로 이방인도 민족 단위로 선택하신다고 이해했다.
* Bruno Gutmann은 1901년 동아프리카에 파송된 후 국가기독교화의 원리에 입각한 집단 세례와 개종을 시도했다. 교회와 자연 공동체 사이에 큰 갈등이 없다고 본 그는 개종자를 가족, 씨족, 부족 등의 자연관계로부터 분리시켜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 기타, Christian Keysser(1877-1961)는 뉴기니에서, L. I. Nommensen(1834-1918)은 인도네시아에서 집단개종을 성공적으로 시도했다. (추장을 먼저 전도하여 집단개종을 유도한 후, 추장이나 부족 지도자를 교회의 지도자로 세우는 전략). 특히 Nommensen의 사역은 매우 성공적이어서 그가 죽을 당시 Sumatra의 Batak 부족 교회는 34명의 목사와 788명의 교사, 18만 명의 신자, 그리고 500여 교회로 성장한 상태였다.
▶ 교회성장학파의 People Movement 전략.
* 선구자: Donald McGavran (1955 & 1990: 221-237)
* Pickett의 영향: 서구선교의 개인주의적 전도/선교 방식을 비판하고, 인도와 같은 집단적 문화구조를 가진 사회에서는 대중전도운동이 가장 자연스러운 접근방법이라고 주장 (Pickett, J. Waskom. 1933. Christian Mass Movements in India. 1933. Lucknow, India: Lucknow Publishing House, p. 330).
* 개혁주의자인 Boer(1961: 163)도 사도행전에 기록된 집단개종의 예를 들면서 서구의 개인주의 때문에 사도행전적 선교가 오랫동안 외면 당했다고 지적.
* 교회사가인 Latourette도 19세기 개인주의의 영향으로 개신교회가 개종한 사람들을 가족이나 부락, 종족으로부터 분리해 냄으로써 소속 집단으로부터의 영구적 단절 및 부조화를 야기시켰다며 자연집단 전체(entire natural group)의 개종을 겨냥할 필요를 주장 (Latourette, Kenneth S. 1936. Missions Tomorrow. New York: Harper, p. 159).
* People movement는 국가기독교화 운동이나 대중(mass) 운동과는 구분된다.
- 구분점 = 동질집단 원리 (HUP).
- McGavran의 정의 (1990: 223): "A people movement results from the joint decision of a number of individuals all from the same people group, which enables them to become Christians without social dislocation, while remaining in full contact with their non-Christian relatives, thus enabling other segments of that people group, across the years, after suitable instruction, to come to similar decisions and form Christian churches made up exclusively of members of that group."
- 사도행전뿐 아니라 교회사 전체를 집단운동의 역사로 조망하고 미래의 교회 성장도 집단운동으로만 가능할 것으로 예측. 특히 회교를 비롯한 복음의 주요 반대세력의 저항을 신학적이 아닌 사회적인 것으로 보고, people movement야말로 복음에 대한 사회적 저항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나님께서 주신 방법이라고 주장
* 문제점.
(1) 피상적인 교인들을 양산(量産)하는 데 머물 위험성이 크다.
(2) 사회/정치적 지도자(족장이나 유지 등)가 자동적으로 교회에서도 지도력을 발휘하게 되는 구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 대안: 가족 단위의 선교 전략
- 사회의 변화에 따라 이합집산하는 대부분의 집단과는 달리 가정/가족은 가장 안정된 자연집단.
- 성경적 모델(Boer, 1961: 165):
고넬료 일가(행 10:24, 44), 빌립보 간수장(행 16:31), 고린도 회당장 그리스보 가정(행 18:8), 스데바나 가정(고전 1:16).
- 가정교회 = 신약교회의 한 전형 (행 2:46, 5:42, 12:1-17, 20:7-12, 고전 16:19, 롬 16:3-5).
- 가족 단위 전도의 이점:
(1) 기독교가 가정을 파괴하지 않는다는 긍정적인 인상.
(2) 믿는 자들의 신앙을 강화하고 보존하는 데 유리.
(3) 지역사회의 복음화에 기여. "구원받은 가정은 지역사회 복음화의 가장 위대한 잠재력이다.'
(Peters, George W. 1970. Saturation Evangelism. Chicago: Moody Press, p. 158.)
- 전략.
(1) 가장이나 어른을 우선적인 전도 대상으로 삼을 것.
(2) 원만한 대인관계의 개발에 우선순위를 둘 것.
(3) 충분한 교제를 통해 신뢰를 얻은 후 전도할 것.
4. Fuller 신학교(FTS)를 중심한 교회성장학파의 선교전략
(참고: McGavran, 1955 & 1970, Wagner, 1976).
▶ 동질집단 원리 (Homogeneous unit principle)
* 사회학적 전제.
(1) 기독교 운동에 대한 대부분의 반대는 신학적이 아닌 사회학적인 이유로 말미암는다.
(2) 사람들은 인종, 언어, 계급의 장벽을 뛰어넘지 않고 동질집단 내에서 신자가 되기 원한다.
* 전략: 다인종 교회의 설립을 지양하고 동질집단 단위의 교회를 설립하라. 하나님께서 동질집단 내에 머무는 것을 자연스럽고 편하도록 만드셨으니 그 상태로 지내는 것이 좋다 (Wagner, 1979: 104 이하).
* 문제점
(1) 인종적,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고 연합과 보편성을 지녀야 할 복음적 교회의 특성과 배치된다.
(2) 동질집단을 창조 질서로 보는 것은 성경적이 아니다. 집단적 배타성은 죄의 결과이다. Don Larson, "I was born human, but raised tribal. And I've spent a half of my life learning to be human again."
(3) 부족은 스스로 자기 집단을 신격화하고 다른 부족과 갈등과 불화를 일삼는 경향이 높다. 교회는 부족의 성격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성격의 공동체를 목적하고 있다. 부족과 교회, 세상과 교회 사이에는 거리가 있어야 하며, 때로는 교회가 부족이나 국가의 죄를 지적할 수 있어야 한다는 사상. (Bavinck, Johannes H. 1954/60.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Missions. 전호진 역. 1980. 선교학 개론. 서울: 성광문화사, p 170-172).
* 비판자들:
- Peters, George. 1981. A Theology of Church Growth. Grand Rapids: Zondervan.
- Padilla, C. Rene. 1983. "The Unity of the Church and the Homogeneous Unit Principle,"
Exploring Church Growth, Wilbert Shenk ed. Grand Rapids: Eerdmans.
- Elliot, H. Ralph. 1982. Church Growth that Counts. Valley Forge: Judson Press.
▶ 복음의 수용성(receptivity) 원리.
* 내적 요소.
- 특정 문화가 갖는 가치체계의 취약성으로 인해 변혁을 추구하는 여론이 형성되면 수용성이 높아진다.
- '구속적 유추(redemptive analogy)'가 세계관에 내재되어 있는 경우 수용성이 높아진다. 참고: Richardson, Don. (1) 1977. Lords of the Earth. Ventura: Regal Books. (2) 1986. Eternity in Their Hearts. 정중은 역. 1993. 영원을 사모하는 마음. 서울: 생명의 말씀사.
* 외적 요소.
- 천재지변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기존 가치의 붕괴, 문화 쇠퇴, 공허감.
- 정치, 경제, 사회적 변동에 의한 기존 체제의 변화.
* 전략: 복음에 대한 수용성이 높은 곳 - 새로운 정착지, 여행자가 많은 곳, 피정복지, 민족주의가 강한 사회, 문화 변동이 심한 곳 등 - 에 우선권을 두고 선교적으로 공략해야 한다. = 추수신학.
* 비판.
(1) 선교의 남은 과업은 대부분 복음에 대해 적대적인 (수용성이 낮은) 지역에 편중되어 있다. 따라서 추수신학적인 접근으로는 과업의 완수가 불가능하다. 효율성보다 중요한 것은 세계선교의 사명을 완수하는 일이다.
(2) 하나님의 주권적 경륜을 의지하면서 수용성이 높은 곳뿐 아니라 적대적인 지역에도 복음을 전해야 한다. 성령님은 종종 인간의 예상을 뛰어넘어 역사하신다.
▶ 선교사역의 궁극적 목표: 선교하는 토착교회의 설립.
* 교회 개척(church planting)과 선교 개척(mission planting).
* 복음화의 두 단계론
- 마 28:19-20에 대한 McGavran(1955: 14-16)의 2분적 해석: (1) 제자되는(discipling) 단계, (2) 양육(perfecting) 단계.
- 문법적 문제: 두 단계가 아니라 '제자삼으라'는 하나의 명령이다.
* 'Engel Scale': Spiritual Decision Process Model
참고: Engel, James F. and H. Wilbert Norton. 1977. What's Gone Wrong with the Harvest? Grand Rapids: Zondervan, pp. 43-58.
* 남은 과업의 완수를 위해 요청되는 세 가지 우선순위 (Winter, Ralph D. "Is One Kind of Mission Work More Important Than Another?" in Mission Frontiers, Bulletin of the U.S. Center for World Mission, May-June 1995, p. 20):
(1) 선교동원가들(mission mobilizers)을 통한 국내 교회의 선교적 동력화.
(2) 선교사들을 통한 현지교회의 선교적 동력화
(3) 개척선교(frontier mission)에의 헌신.
▶ 평신도 지도력 배양을 통한 교회성장 전략
* McGavran이 구분한 교회의 다섯 가지 지도력
(1) 평신도: 자원 봉사자로서 직분 없이 섬김.
(2) 평신도: 자원 봉사자로서 직분을 가지고 섬김.
(3) 평신도 지도자: 교회에서 부분적으로 지원 받으며 교회 기관을 돌보거나 개척교회 사역 참여.
(4) 목회자: 신학 훈련을 받고 목회에 종사하는 성직자.
(5) 목회자: 교회간의 관계 및 국제적인 교회 사역을 위한 행정적으로 관리적인 직무 감당.
* 건전하고 성장하는 교회가 되려면 위에 언급한 평신도 사역자 층(1-3)이 개교회의 70%를 차지해야 한다 (McGavran. 1977. Ten Steps for Church Growth. New York: Harper and Row, pp. 108-110).
* 평신도 목회자(lay pastor) 개념
- Saddleback Valley Community Church의 예.
참고: Warren, Rick. 1995. The Purpose Driven Church: Growth Without Compromising Your Message and Mission. Grand Rapids: Zondervan.
▶ 능력 전도 (power evangelism)
* 선구자:
(1) Tippett, Alan R. 1987. Introduction to Missiology. Pasadena: William Carey Library, pp. 82-85. '힘의 충돌' 개념.
(2) Wagner, C. Peter. 1988. The Third Wave of the Holy Spirit. Ann Arbor: Servant Pub.
(3) Wimber, John. 1986. Power Evangelism. San Francisco: Harper & Row.
* 능력대결(power encounter)과 선교
* 지역영(territorial spirit)과 영 구분도(spiritual mapping)
* Vinyard Church 운동과 Toronto Blessing
* 비판.
(1) 영적전쟁은 축귀나 신비적 차원에서보다는 오히려 그리스도인의 일상적인 삶과 사역의 현장에서 부단히 벌어지는 내적 투쟁이다 (엡 6:10-20).
(2) 성경적인 가르침보다는 경험적인 자료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3) 마치 하나님과 마귀가 힘 겨루기를 하는 듯한 구도는 성경적으로 그릇된 시각으로 다분히 정령 숭배적인 틀(animistic paradigm)에 휩쓸리고 있다는 의구심을 일으킨다. 참고: 1994. 영적 전쟁. 현대선교 시리즈 제6호. 서울: 한국해외선교회(GMF).
(4) 신앙의 수준을 4단계로 나누어 4차원의 신앙세계에서 힘의 전도를 할 수 있는 영적 권세가 나타난다고 한 Wagner의 주장은 본질적으로 하나님의 은총인 신앙을 차등화하는 비성경적 구분이며, 힘의 개념을 물량화하고 체험적이고 현세적인 현상에 초점을 맞춤으로 기복신앙과 번영신학을 조장할 위험이 있다 (김성태, 1994: 150).
(5) 성경적인 힘(dynamis, exousia)은 본질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통한 전인적인 변화와 그에 따른 영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사와 표적보다는 하나님의 말씀을 통한 총체적인 삶의 변혁이 요구된다 (ibid.).
5. 미전도 종족집단 (unreached peoples) 선교 전략
▶ 지역 개념과 종족집단 개념
- 1910 Edinburgh 선교대회: '복음이 들어가지 않은 지역들(unoccupied fields)'
- 대상의 재정의(redefining the target): '종족집단(people groups)' - 1974 Lausanne 대회.
- 1980 Edinburgh 대회: '2000년까지 모든 종족집단에 교회를'
▶ 근대선교 운동의 3 시대 (Winter, Ralph D. 1981. "Four Men, Three Eras, Two Transitions: Modern Missions," Perspectives on the World Christian Movement: A Reader, Revised Edition, Ralph D. Winter & Steven C. Hawthorne, eds. Pasadena: William Carey Library, B-33ff.
(1) 연안(Coastlands) 선교 시대: William Carey, BMS, 1972 -
(2) 내지(Inland areas) 선교 시대: Hudson Taylor, CIM/OMF, 1865 -
(3) 미전도종족(unreached/"hidden people") 선교 시대: Donald McGavran & Caneron Townsend, WBT/SIL, 1934 -
▶ 미전도 종족집단 입양 (AAP) 운동
참고 도서
김성태. 1994. 세계선교 전략사. 서울: 생명의 말씀사.
백낙준. 1985. 한국 개신교사 (1982-1910).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송길섭. 1987. 한국 신학 사상사.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전호진. 1985. 선교학.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한화룡. 1993. 도시선교. 서울: IVP.
Allen, Roland. "The Nevius Method in Korea." The World Dominion, IX. No. 3, July 1931.
________. 1927. Missionary Methods: St. Paul's or Ours? Grand Rapids: Eerdmans.
김남식 역. 1993. 바울의 선교방법론. 서울: 베다니.
Beaver, R. Pierce. 1963. To Advance the Gospel: Selections from the Writings of Rufus
Anderson. Grand Rapids: Eerdmans.
________. "The History of Mission Strategy." Southwestern Journal of Theology, Vol. XII,
Spring 1970, No. 2.
Boer, Harry R. 1961. Pentecost and Missions. Grand Rapids: Eerdmans.
Bonk, Jonathan J. 1992. Mi$$ion$ and Money: Affluence as a Western Missionary
Problem. American Society of Missiology Series, No. 15. Maryknoll: Orbis.
Clark, C. A. 1930. The Korean Church and the Nevius Methods. New York: Fleming H. Revell.
Dayton, Edward R. and David A. Fraser. 1990. Planning Strategies for World
Evangelization, rev. ed. Grand Rapids: Eerdmans & Monrovia: MARC.
Hian, Chua Wee. 1975. "Evangelization of Whole Families." J. D. Douglas, ed. Let the Earth
Hear his Voice, pp. 968-971. Minneapolis: World Wide Publications.
Hodges, Melvin L. 1953. The Indigenous Church. Chicago: Moody Press.
Kraft, Marguerite and Meg Crossman. 1996. "Women in Mission." Worldwide Perspectives, 6:18-21.
McGavran, Donald A. 1955. The Bridges of God: A Study in the Strategy of Missions.
New York: Friendship Press.
________. 1970/1990. Understanding Church Growth, 3rd edition. Grand Rapids: Eerdmans.
________. 1992. "A Church in Every People: Plain Talk about a Difficult Subject." Perspectives, pp. D100-105.
Mial, William. 1992. "The Impact of Missionary Radio on Church Planting." Perspectives, pp. D196-197.
Moffett, Samuel. 1992. "Evangelism: The Leading Partner." Perspectives, pp. D207-209.
Munir, Al. 1992. "A Two-Stage Approach to Church Planting in a Muslim Context."
Perspectives, pp. D200-206.
Nevius, John L. 1885. Planting and Development of Missionary Churches.
김남식 역. 1981. 네비우스 선교방법: 선교교회의 설립과 발달. 서울: 성광문화사.
________. 1958. Planting and Development of Missionary Churches. New Jersey: The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Patterson, George. 1992. "The Spontaneous Multiplication of Churches." Perspectives, pp. 76-93.
Robb, John D. 1991. "Prayer as a Strategic Weapon in Frontier Miss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Frontier Missions, B(1), 23-31.
Shenk, Wilbert R. 1983. Henry Venn - Missionary Statesman. American Society of
Missiology Series, No.6. Maryknoll: Orbis & Ibadan, Nigeria: Daystar.
Steffen, Tom A. 1994. "Selecting a Church Planting Model That Works." Missiology, July 1994: 361-376.
Underwood, Horace G. 1908. The Call of Korea. New York: Fleming H. Revell Co.
Wagner, C. Peter. 1971. Frontiers in Missionary Strategy. Chicago: Moody Press.
전호진 역. 기독교 선교전략. 1978. 서울: 생명의 말씀사.
________. 1976. Your Church Can Grow: Seven Vital Signs of a Healthy Church.
Ventura: Regal Books.
________. 1979. Our Kind of People: The Ethical Dimensions of Church Growth in
America. Atlanta: John Knox Press.
________. 1992. "On the Cutting Edge of Mission Strategy." Perspectives, pp. D50-53.
Warren, Max, ed. 1971. To Apply the Gospel: Selections from the Writings of Henry
Venn. Grand Rapids: Eerdm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