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 오순절 성령운동의 역사적 고찰
자료 : spirit.hwp
현대 오순절 성령운동의 배경
1) 죤 웨슬리와 감리교운동
18세기 영국에서 일어난 웨슬레의 감리교 운동은 오순절 성령운동의 기원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위
치를 차지한다. 교회사적으로 볼 때 18세기 감리교운동은 19세기 성결운동으로 이어지고, 성결운동은
20세기 오순절 성령운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대천덕 신부(예수원 설립자)는 이같은 역사적 흐름을
다음과 같이 재미있게 표현한바 있다. 원래 이 난로는 (성령을 상징)는 성공회에 있었는데 감리교
에서 가져갔고, 얼마 후 성결교회에서 가져갔으며 지금은 오순절 교단에서 가지고 있다.
교리적인 측면에서 볼 때 감리교운동이 중생(또는 칭의)이후 '은혜의 두 번째 사역' 또는 '즉각적인
성화'를 강조하는 것과 오순절 성령운동이 중생 이후 성령세례를 강조하는 것과 같은, 구조, 즉 중생
이후 또다른 은혜의 사역이 있음을 강조하는 2중 구조에서 그 맥락을 같이한다. 비록 웨슬레가 '은혜
의 두 번째 사역'에 대한 교리를 충분히 발전시키지 못해지만 그의 칭의와 성화에 대한 이중적 구조
적 변증은 오순절 성령운동에 있어 중생 이후 성령세례에 대한 신학적 기초를 마련하는데 크게 영
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2) 미국의 부흥운동
웨슬리의 감리교운동이 오순절 성령운동에 신학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할 때, 미국의 부흥운동은
방법론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 영적 대각성 운동 및 각종 부흥운동으로 이어진
미국의 부흥운동(특별히 Finney와 Moody에 의해 주도된 부흥운동)은 미국 기독교인의 신앙의 한
형태를 형성케 했다. 스위트 박사는 '부흥운동이 참된 의미로 미국화된 기독교를 규정짓게 했고, 미
국의 필요를 만족시켜준 기독교가 되게 했다'고 말했다. 오늘날 미국에 40만이 넘는 교회가 있고, 전
인구의 약 70% 이상이 교회를 출석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는 미국 건국초기 이후 청교도적 신앙계승
과 부흥운동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3) 에드워드 어빙, 챨스 휘니와 성결운동
어빙(1792-1834)은 영국의 장로교 목사로서 19세기 초기 영국에서 대부흥 운동을 일으켰다. 그는
그리스도의 긴막한 재림과 세계복음화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 새로운 부흥운동을 일으켰고 방언의
은사도 나타났으나, 이 운동은 널리 파급되지 못하고 영국의 일각에서 일어나 사라져 버린 운동이
되고 말았다.
휘니는 웨슬리의 사후 1년 뒤에 태어났는데 미 전역에 크게 부흥운동을 일으킴으로 웨슬레의 감리
교 운동과 오순절 성령운동의 기교역활을 했다. 그의 저서들은 오순절주의자들의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신학에서 주목할 것은 중생 이후의 경험을 가리켜 성령 세례라고 말한 것이다. 그러나 이 교
리가 그에게 있어 주된 강조점은 아니었고, 부흥운동에 있어 한 방편으로 사용되었을 뿐이다. 그는
부흥사로서 연약한 인간들이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감정적으로 영적인 경험을
체험케[ 하기에 힘썼다. 그는 칭의를 성화에 선행되는 것으로 보았다.
휘니의 영향 아래 남북전쟁 후 감리교에 속했던 많은 교인들이 감리교의 '성결'교리 또는 '완전한
성화'의 교리에 만족치 못하고 감리교에서 나와 성결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들은 '성서적 성결',
'성화', '완전한 사랑'을 추구하였으며 중생 이후의 경험에 강조점을 두었다.
성결운동에 있어 가장 영향을 미친 저서 보드맨의 '고차원 생활'을 보면 보드랜은 '두 번째 경험은
첫 번째 경험(중생)과 구별되며 때에 따라 몇 년 후에 경험되기도 한다'고 말하면서 중생에서의 2중
적 구조 즉 '진노에서의 구원'과 '정결케 됨'을 설명하였다. 이 성결교리에서의 핵심 되는 부분은 '의
인으로 칭맣 받는 것'과 '의인이 되는 것'이 두 개의 다른 경험으로 모든 죄인들에게 필요한 것임을
강조한 것이다.
4) 토레이 박사와 영·미 복음주의자들
웨스레, 휘니와 함께 꼭 기억되어야 할 사람은 복음주의 신학자 토레이 박사이다.(현재 예수원설립
자로 한국 강원도에서 사역하고 있는 대천덕 신부는 토레이 박사의 손자이다) 토레이 박사의 성령
론, 특히 성령세례에 관한 그의 견해는 오순절 성령운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데이비스는 그의
저서에서 토레이 박사를 오순절 성령운동의 세례요한이라고까지 말했다. 토레이 박사는 무디 성경학
원의 교장으로서 수많은 제자를 배출하였는데, 특별히 성령세례는 중생과 구별되는 중생 이후의 경
험으로서 서열으로서 성령의 사역임을 말하였다. 또한 '모든 신자들은 성령을 가졌으나. 성령세례를
받은 것은 아니고, 모든 신자들은 이 세례를 받을 수 있다'고 말하였다. 이 신학은 오순절 주의자들
에게 그대로 받아 들여져 릭스, 위리암스,등의 저명한 오순절 신학자들은 그들의 저서에 토레이의 성
령세례에 관한 주장을 그대로 인용하였다. 토레이와 더불어 고든, 마이어, 심슨, 머레이등의 복음주의
자들의 저서도 오순절 신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현대 오순절 성령운동의 기원 및 발전과정
1) 현대 오순절 성령운동의 기원
현대오순절 성령운동은 1901년 1월 미국 켄사스주 토피카시에서 일어난 부흥운동을 그 출발점으로
삼는다. 1900년 10월 감리교 목사였던 팔함은 켄사스주 토피카에서 성경대학을 시작했다.
1900년의 크리스마스 직전에 팔함은 3일 동안 학교를 떠나면서 '성령세례'에 대한 주제를 놓고 제자
들에게 성경을 연구하도록 했다.
팔함은 학교로 다시 돌아왔을 때 그의 제자들이 다음과 같은 똑같은 결론을 내린 것을 보고 놀랐
다. 즉 성경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제자들이오순절 성령강림의 축복을 받았을 때, 그 표적으로 다른
방언을 말했다는 논쟁할 수 없는 증거를 얻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학생들은 성경말씀(사도행
전)을 근거로 성령세례를 사모하여 간절히 기도에 힘쓰게 되었는데, 그 결과 성령세레를 체험케 되
었고 그 표적으로 방언을 말하게 되었다.
1901년 1월1일에 네브라스타주에서 온 성결교 처년선교사 오즈만이 팔함의 안수를 받은 후 이 몬
임에서 최초로 방언을 말했는데 그녀는 평생 배워 본 일이 없는 '중국어'로서 방언을 말했다. 그 후
에 얼마가지 않아서 팔함도 이와같은 경험을 하게 되었고 다른 학생들도 팔함을 자신이 했더 SRJT
처럼 방언으로 말하기 시작했다.
나중에 팔함과 그의 제자들은 그들이 받은 성령의 세례를 모든 크리스챤들이 받아야 한다고 확신
하게 되었으며, 성령의 세레를 받은 증거는 방언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게 되었다.
팔함은 오순절 메시지혹은 순복음 메시지라고 명명되는 메시지를 미조리주의 켄사스시와 켄사
스주의 로렌스, 미조리주의 엘도라도 스프링스, 킨사스의 갈레나, 미조리주의 죠프린, 텍사스주의 오
챠드와 휴스톤등의 여러 도시로 다니면서 전파했다.
2) 오순절 운동의 발전과정
1905년 팔함은 텍사스주 휴스톤에서 성경학교를 시작했다. 오순절 운동이 휴스톤에 이르러 자리잡
게 되었을 때 이 남부의 대도시는 본 운동의 기지가 되었고, 이 곳에서부터 전 세계로 파급되오ㅓ
나가기 시작했으며 로스앤젤레스에 이르러 근대의 최대 영적 부흥 운동 가운데 하나로 손꼽힐 만한
부흥운동이 일어났다.
휴스톤 학교에 다녔던 사람들 가운데 흑인 성결교 설교자인 시무어는 오순절 메시지가 옳다는 것
을 확신하게 되었다.
이 무렵에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닐리 테리라고 하는 한 흑인 여자가 휴스톤을 방문했다가 그곳에
있는 시무어가 설교하는 교회에 참석하게 되었다. 닐리 테리는 여기서 성령의 세례와 방언 하는 은
사를 받게 되었다.
닐리 테리는 시무어에게 큰 감명을 받았기 때문에 그녀가 소속해 있는 로스앤젤레스 교회가 시무
어를 초청해서 설교를 듣도록 설득시켰다. 그러나 시무어가 로스앤젤레스에 와서 한 첫 번째 설교는
적대감을 불러 일으키게 되었다. 휴스톤으로 돌아오고자 했으나 여비조차 없는 터이라 리라는 교우
집에 머물게 되었다. 시무어는 그때부터 집에서 집회를 갖기 시작했다. 이렇게 되자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 들어서 이 집단은 곧 전에는 교회를 사용하다가 최근에 와서는 마굿간으로 사용하는 아주사
거리에 있는 건물로 옮겨지게 되었다.
이곳에서 시무어는 여러 교파와 인종이 뒤섞인 사람들을 상대로 하여 예배를 인도했다. 이러한 집
회는 3년동안 계속되었으며 이 집회는 곧 오순절 운동의 센터가 되었다. 아주사 거리 선교화에 가
입한 세계 각국에서 참석한 모든 사람들은 성령의 세레를 받았으며 성령세례를 받았다는 증거로서
방언으로 말했다. 이곳에서 초대교회에 일어났던 모든 역사가 재현되었다. 성령의 각종 은사가 나타
났는데 특별히 신유의 능력이 놀랍게 일어났다.
아주사 거리 부흥회는 실로 세계 교회 부흥에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한 예로 노르웨이 오순절주의
창설자이자 유럽 오순절운동의 선구자인 바렛트는 아주사 거리 선교회이 여향을 받은 사람 중의 하
나이다.
에와르트는 아주사 거리 부흥에 대해 노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초대교회에서 그러했던 것처럼 성령세례와 그 역사의 표적으로 신유를 행하고 방언을 말한 것 등
은 아주사가의 부흥을 특징지은 요건들이었다. (중략) 모든 질병은 기도로 치유되었다. 부러진 팔다
리는 회복되었으며 에수님께서 약속하신 마가복음16장17-18절의 기적들은 믿는 자들에 의하여 예수
님의 이름으로 시행되었다. 에수님의 경우에 있어서 한항상 그랫듯이 유일한 제약이 있었다면 이는
우리 스스로의 고질적 불신아이었다.
그 후 수년동안 오수널 운동은 급격한 성장을 하게 되어 시카고, 윈니펙, 뉴욕으로 확장되었고,
1906년 이후 '순복음'이 미국 전역에서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오순절 운동은 1906년 카나다로, 1907년 영국, 노르웨이,스웨덴, 화란,독일, 폴란드,인도에,
1908년 중국에, 1913년 아프리카, 중남미, 멕시코, 일본등지에 퍼져 나갔으며 1914년에는 현재 오순절
교단에서 가장 큰 교단으로 전 세계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하나님의 성회가 조직되었다.
한 통계에 따르면 1926년에는 1936년까지 10년동안 미국내의 개신교 수가 8%에 해당되는 200만명
이 감소되었음에 비하여 같은 기간동안 오순절 성회는 264.7%, 하나님의 성회는 208.7%, 하나님의
교회는 92.8% 성장했다고 한다.
현재 성령운동에 참여한 성도의 수는 교파를 초월하여 총 약 일억오천오백만(1980년 통계)에 이르
며, 성령운동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 홀렌베게 박사는 2000년대에 가서는 이억사천삼백만명에 다다를
것이라 예상하였으나 이 예상은 10년이 지나지 않아 크게 벗어나서 1995년에 사억육천만이나 되는
숫자가 오순절/은사주의의 운동에 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은사주의 운동
20세기초 아주사를 중심으로 운동이 시작된 이래 50여년이 지나면서 이 운동은 기존의 모든 교파
속으로 파급되어져, 수많은 목회자와 성도들이 오순절적인 성령체험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존 교
회의 심한 반대에 부딪친 이들은 자신들의 경험에 대해 일체 침묵하든지, 소속된 교회를 떠나든지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만 했다. 특별히 유명한 오순절 여부흥사였던 애이미 심플 맥퍼슨의 전도사
역이 크게 영향을 미쳤던 1920년대에서 30년대 까지 기간중에는 감리료, 침례교, 장로교의 수많은 목
회자들이 오순절 성령체험을 한 후 소속 교단을 떠나야만 했다.
그러나 1960년대 이르러 한 성공회 신부에 의해 오순절 운동은 새로운 국면으로 발전되게 된다.
1960년 4월3일 주일 아침 캘리포니아의 반 누이스에 의치한 성 마가 교회를 담임하고 있던 데니스
베넷은 예배시간에 성도들에게 그간 최근에 경험했던 놀라운 성령의 체험에 대해 말했다. 그는 최초
기도중에 '전에 전혀 배워 본 일이 없는 방언으로 말하게 되었음'을 고백했다. 그가 이같은 성령의
은사로서의 방언을 말하자 부사제들과 성도들 중에 큰 반발이 일어났고, 그는 이를 수습하기 위해
교회를 사임해야 했다. 그는 교회를 사임후 위싱톤 주의 시애틀에 있는 작은 교회인 성 누가 교회의
목회 청빙을 받고 이를 수락하여 새로운 임지에서 목회를 시작하게 되었는데, 교회는 성령의 은사의
각종 은사를 경험하면서 폭발적으로 부흥했다. 이후 모든 교파에서 이같은 성령의 은사를 인정하게
되어, 기존 교파를 떠나지 않고 머물러 있으면서 활발하게 성령 운동을 전개해 나갔고 이들을 신오
순절주의자 또는 은사주의자라고 부르게 되었다. 특히 1963년 예일대학 캠퍼스에서 엘리트 학생들을
중심으로 하여 일어난 은사운동-방언을 비롯한 성령의 은사들을 체험했던 운동은 미국내에 신선한
충격을 가져다 주어, 타임지에서 이를 대서 특필하기도 했다.
그러나 더욱 놀라운 것은 카톨릭 내에서도 1960년대 후반기에 교수와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동일한
역사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펜실베니아 주 피츠버그에 소재한 드퀘스니 대학교 신학부의 몇몇 교수
와 학생들을 성령의 체험에 관심을 갖고 기도하던 중 방언을 말하게 되었고 이 운동이 다시 노틀담
내학의 교수와 학생들에게 파급되었으며 곧 급속히 온 카톨릭교회내로 파급되었다. 벨기에의 수에넨
스 추기경은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개신교 은사 운동 지도자들과도 대화를 통하여 신학적 견해의 간
격을 좁히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4) 제3물결 운동과 빈야드 운동
1980년대에 이르러 은사운동이 모든 교파에 퍼져나가자 성령세례를 받고, 성령의 은사들을 실천하
면서도 자신들을 구별할 명칭을 붙이지 않은 채 주요 전통 교단에 머물러 있고 많은 사람들이 생겨
나게 되었다. 이들은 주로 복음주의 적 전통을 따르는 교회에 속한 사람들이었는데 풀러 신학교의
피터 와그너 박사는 이들을 가리켜 제3의 물결이라고 불었다. 그는 자신의 예를 들어 제 3물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나는 내 자신을 은사주의나 오순절주의자로 보지 않는다. 나는 레이크 에비튜 회중 교회의 성도이
다. 나는 회중 교회주의자이다. 우리 교회에도 은사주의 성도들이 있으나, 교회 자체는 은사주의 겨
회가 아니다. 매주 월요일 밤 가정에서 모이는 은사주의 기도 모임이 있을 따름이다.
그러나 우리 교회는 점차로 에배를 드릴 때 성령께서 은사주의자들 가운데 행하시는 것과 똑같은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예를들면 매예배후 교역자가 육체적 치유와 내적 치유가 필요한 사람들을
불러내어 기도실로 데리고 가서 기름을 바른 후 기도해 주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병자들을 위한 기
도에 정통한 전문 사역팀을 갖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사역을 은사주의 방식이 아닌 회중 교회 방식으로 시행하는 것을 좋게 생각한다. 그
러면서도 우리는 은사주의 방식이 아닌 회중 교회 방식으로 시행하는 것을 생각한다. 그러면서도 우
리는 은사주의와 똑같은 결과를 얻고 있다. 나는 오순절주의자들이나 은사주의자들과는 여러 가지
주요한 신학적 차이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점이 서로의 사역에 방해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나
로 하여금 내 자신을 은사주의자라고 부르는 것을 꺼리게 한다.
이같은 제3물결 운동은 피터 와그너 박사가 풀러 신하교내에 죤 윔버 목사의 강의를 개설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죤 윔버 목사는 1977년 5월부터 1983년가지 척스미스 목사의 갈보리 채플 휄로쉽에속해 있다가 독
립하여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 빈야드 교회의 담임 목사가 되었는데 능력전도를 앞세운 그
의 지도력하에 교회가 폭발적으로 성장하였고, 동시에 미전역에 많은 빈야드 교회가 개척되어 1983
년에 6개 교회였던 것이 1987년에 250여 교회로 성장하였고, 1995년말 500교회를 넘어섰다고 한다.
빈야드 운동은 자유로운 예배, 치유 사역등을 그 특징으로 들수 있는데, 1994년 1월 토론토 공항 빈
야드 교회의 매일 부흥회가 시작되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 교회의 담임 존 아노트
목사는 캐드린 쿨만과 베니힌 목사의 영향을 받았으며, 1986년 존 읨버의 목사의 세미나에 참석했다
가 은헤를 받고 1987년 빈야드 교단에 소속하였다. 그는 1993년 남아프리카 오순절 부흥사인 로드니
하워드 브라운의 집회에 참석하였다가 '거룩한 웃음'의 현상을 보고 감명을 받고 돌아왔는데, 그후
그의 예배에 성령의 임재로 인한 '쓰러짐'과 '거룩한 웃음'이 넘쳐나게 되었다. 그의 교회의 독특한
예배에 대한 소문이 곧 사방으로 퍼져 나갔고, 관심을 가진 많은 목회자와 성도들이 토론토에 와서
예배에 참석하여 이같은 현상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돌아가 교회에서 이같은 새로운 형태의 에
배를 시도하게 되었다. 이같은 '토론토 축복'이 약2년 이상 계속되어오면서 북미 전역은 물론 전세계
교회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예배 도중 사자 등의 동물 울음 소리를 내는
현상도 종종 나타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논란이 계속 되어져 오던 중 죤 윔버 목사가 이같은 현상
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자 결국 1996년초 토론토측과 빈야드본부는 갈라서게 되었다.
빈야드 운동은 한국 교회에도 크게 영향을 수많은 목회자와 성도들이빈야드 운동을 배우고WU 캘
리포니아 애나하임이나 토론토를 나녀온 바 있으며, 국내에서 이 운동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는
데 이에 대한 신학적 정립이 시급한 형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