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나트륨은 분자식으로 쓸 수 없으니까 실험식으로 표현하잖아요
그럼 염화나트륨은 아예 분자상태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봐야하나요?? ㅜㅠ
첫댓글 이온결합 물질은 고체 상태일때 '분자'라 칭하지 않고 '결정'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분자 상태가 아닙니다. 염화나트륨은 분자가 아닙니다.
염화나트륨에서는 하나의 분자를 경계지을 만한 경계선이 없잖아요
원자의 모임이 분자인데 염화나트륨은 이온간의 결합이니까 분자가 아니다 가 아닐까요?
분자의 정의가 '공유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 원자들의 집합체'라던데요~염화나트륨은 이온결합이니까 아니죠
중3 수준에서 보면 염화나트륨은 화학식으로 씁니다. 염화나트륨은 결정형 고체로 양이온과 음이온의 이온수비 1:1이기 때문에 NaCl로 쓴다고 얘기합니다.*^^*
첫댓글 이온결합 물질은 고체 상태일때 '분자'라 칭하지 않고 '결정'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분자 상태가 아닙니다. 염화나트륨은 분자가 아닙니다.
염화나트륨에서는 하나의 분자를 경계지을 만한 경계선이 없잖아요
원자의 모임이 분자인데 염화나트륨은 이온간의 결합이니까 분자가 아니다 가 아닐까요?
분자의 정의가 '공유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 원자들의 집합체'라던데요~염화나트륨은 이온결합이니까 아니죠
중3 수준에서 보면 염화나트륨은 화학식으로 씁니다. 염화나트륨은 결정형 고체로 양이온과 음이온의 이온수비 1:1이기 때문에 NaCl로 쓴다고 얘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