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다시입다연구소, 국내 최초 ‘전국 수선의 날’ 행사 개최
부제-수선도 힙(hip)하면 안되나요? 국제 수선의 날 맞아 전국에 수선 혁명의 바람 불어
설립이래 지속가능한 의생활을 강조해온 다시입다연구소가 ‘1019 전국 수선의 날’ 행사를 통해 다시금 ‘고쳐서 오래 입는’ 즐거움을 알렸다. 국제 수선의 날을 맞아 전 세계 3천여 개의 수선 연맹이 함께한 이날 행사는 한국 최초로 다시입다연구소가 주최해 서울, 부산, 제주도 등 전국 25개 지역에서 동시에 열렸다.
다시입다연구소의 ‘1019 전국 수선의 날’ 행사가 국제 수선의 날을 맞아 서울시 종로구 페어트레이드카페앤숍에서 19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열렸다. ‘전국 수선의 날’은 지속가능한 의생활 캠페인의 일환으로, 망가진 옷을 버리지 않고 수선해 입어 의류 폐기물로 인한 환경 오염을 개선하자는 취지에서 기획됐다.
다시입다연구소 자체 설문조사에 따르면, 옷장 속 수선이 필요한 옷을 보유한 사람은 92%에 달한다. 하지만 패스트 패션 열풍으로 망가진 옷을 수선하기보다 버리고 다른 옷을 구매하는 움직임이 늘어 가면서, 한국은 지난해 의류 폐기물 수출 5개국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옷을 쉽게 사고 버리는 현대 사회에서 ‘수선’은 단순히 옷을 고치는 행위에서 그치지 않고, 소비자본주의로 인해 퇴화한 인간 고유의 수리 능력과 예술성, 창의성을 되찾아 ‘옷’과 나의 관계를 회복하게 만드는 근본적 환경 실천이다. 뚫린 구멍과 뜯어진 실밥 등을 수선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옷과의 친밀도는 옷을 쉽게 버리지 못하고, 불필요한 새 옷을 사지 않게끔 한다.
이날 수선 행사는 재봉틀바느질뜨개 수선, 키보드 수리가 상시 프로그램으로, 오후 1시부터 실크스크린 체험과 패션 브랜드 이새(ISAE)의 자수 수선예술이 각각 운영됐다. 오후 3시부터는 지난 4월 ‘21% 파티위크’에 이어 조민지 작가의 천연염색 교실이 열렸다.
전국 수선의 날에 참여한 시민들은 지속가능한 의생활과 순환경제사회 정착을 위해 ‘수선’의 필요성을 배우고 ‘고쳐 입고 오래 입는 삶’의 가치를 나눴다.
실크스크린을 체험한 정예림(23)씨는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창작만 하면 정말 간단하게 완성할 수 있어 재밌고 편했다”며 “집에 재봉틀이 있는데 한동안 바빠서 직접 수선을 하지 않았다. 오늘을 기점으로 다시 옷들을 수선해볼 예정”이라고 참여 소감을 밝혔다.
지하 전시공간에서는 차정순 작가의 상의 리폼 서비스가 오후 1시부터 3시, 장애인 의류 전문 브랜드인 베터베이직의 의류 리폼 상담이 오후 3시부터 4시까지 진행됐다. 전시는 실제로 뜨개 등 방법으로 수선된 의류들과 관련 도서, 수선 용어를 설명한 포스터 등이 마련돼 현장에서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었다.
부대행사로는 뮤지션 그룹 ‘보아 비아젬(Boa viagem)’의 브라질 민속음악 공연이 이어져 시민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했다.
정주연 다시입다연구소 대표는 인터뷰에서 이번 행사를 준비하는 데 있어 가장 공들인 부분은 ‘수선’에 대한 낡은 인식 개선이라고 말했다. 행사 이름에 리페어(repair)같은 소위 힙(hip)해보이는 외국어를 넣으면 어떻겠냐는 주변의 조언에도 불구하고, 우리 한글인 ‘수선’을 그대로 사용한 것도 같은 이유다.
“요즘 청년 세대에게 ‘수선’이 익숙하지 않고, 고루하고 낡은 행위로 인식되고 있는 점을 고치고 싶었어요. 제가 대학생이던 20년 전에는 청년들도 각자의 개성에 맞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선을 했거든요.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수선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되살려 많은 사람들이 다시 수선을 시작하게 됐으면 좋겠습니다.”
정주연 대표는 이어 수선이 전 연령층의 보편적인 문화로 정착한 북유럽의 사례를 들어 한국에도 이러한 수선 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인식 개선 프로젝트와 전문적인 수선 교육을 이어갈 것이라 앞으로의 계획을 전했다.
한편 다시입다연구소는 지난 12일 환경부 주관 ESG친환경대전에 참여해 공유옷장 플리마켓 ‘21% 파티’ 이벤트를 진행한 바 있다.
첫댓글 사진이 좋은 느낌. 사진 설명 달아주기. 수선공정의 각기 다른 과정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구체적으로 뭘 하는 것인지 알려주는 사진 설명이 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