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헝다그룹 파산위기, 대륙 넘어 전세계로 번지나
“중국판 리먼브러더스 사태의 도화선 될 수도”
[이코노믹리뷰=노성인 기자] 중국 최대 부동산 기업 헝다그룹이 파산 위기에 처했다. 최근 중국 당국이 시장 유동성 규제에 나서고 있어 헝다그룹의 위기가 중국의 부동산 산업 전반에 퍼질 위험이 있다는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헝다는 지난 1997년 부동산 사업을 시작으로 금융, 헬스케어, 여행, 스포츠, 전기차 관련 사업까지 진출한 대형 그룹사이다. 다만 무리한 신사업 확장과 중국 당국이 강력한 부동산 시장 억제 정책을 펴면서 최근 재무건전성이 급속도로 악화됐다.
블룸버그 등 해외 외신 등에 따르면 헝다그룹의 부채는 작년 말 기준 약 1조9,500억위안(약 350조원) 수준이다. 이에 헝다그룹이 부채 상환을 감당하지 못해 채무불이행에 빠지게 되면, 중국 금융시스템에 상당한 리스크와 충격이 전달될 전망이다.
골드만삭스는 “헝다그룹의 부동산 개발운영이 더 차질을 빚을 경우 중국 현지 바이어들과 투자자들의 심리에 매우 부정적으로 작용해 위험이 잠재적으로 부동산 시장 전반에 퍼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JP모간도 보고서를 통해 “최근 상황이 악화해 정부가 잠재적 전염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고 본다”라면서도 “정치인들이 주택시장 안정화라는 정부 지침을 따른다면 헝다그룹이 부동산 산업 전반에 파괴적 영향력을 행사할 정도로 갑자기 파산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헝다그룹의 달러채가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 지난 5월 말 80센트 정도였던 헝다 달러채는 이달 들어서 28센트 수준까지 추락한 상황이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66억달러(약 31조원)에 달하는 헝다의 달러채가 국제 금융시장을 흔들고 있다”며 “중국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중국판 리먼브러더스 사태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출처 : 이코노믹리뷰(https://www.econovill.com)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549375
中헝다, 회사채 거래 중지···"구조조정 임박"
하루 중단 후 협의거래 방식 매매
'헝다 리스크'에 홍콩 H지수 1.5%↓
150조대 관계사 시총, 85% 증발
파산 위기에 몰린 중국 부동산 재벌 헝다그룹이 급기야 회사채 거래를 중단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헝다그룹의 구조 조정이 임박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이날 헝다그룹 관계사 주식이 급락하고 홍콩 증시도 소폭 하락한 채 마감했다.
16일(현지 시간) 중국 매체에 따르면 헝다그룹은 이날 하루 회사채 거래를 중지한다고 밝혔다. 다음날인 17일부터는 회사채 '15헝다03' '19헝다01' '19헝다02'를 일반 거래가 아닌 협의 거래 방식으로만 매매할 수 있다. 국영은행 등을 통한 구조 조정을 염두에 둔 조치로 보인다. 앞서 블룸버그는 헝다그룹의 구조 조정이 이뤄질 경우 중국 역사상 최대 규모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헝다그룹 리스크로 홍콩H지수는 전날보다 1.5% 하락한 8,805.8에 마감했다. 장중 한때 2.3%까지 급락했지만 장 막판에 낙폭을 줄였다. 증시 하락의 빌미가 된 헝다그룹은 이날 증시에서 전날보다 6.4% 떨어진 2.63홍콩달러(396원 40전)에 마감했다. 홍콩 증시에는 중국 헝다그룹·헝다자동차·헝다주택관리 등 4개 사가 상장돼 있다. 한때 1조 홍콩달러(약 150조 원)에 달하던 관계사의 시총은 15% 수준인 1,500억 홍콩달러(약 22조 5,000억 원) 규모로 대폭 줄어든 상태다. 올 들어 헝다그룹 주가는 82% 하락했다.
헝다는 지난 1997년 설립돼 단기간에 중국 2위 부동산 개발 회사로 성장했다. 창업자 쉬자인은 2017년 알리바바의 마윈과 텐센트의 마화텅을 제치고 처음으로 중국 최고 부자에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전기차·생수·식용유·분유·테마파크·관광·헬스케어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문어발식으로 사업을 확장하다 부채가 산더미같이 쌓였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당국이 금융 리스크를 줄이고 주택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하자 문제가 생겼다.
중국 정부는 △선수금을 제외한 부채비율 233% 이하 △순부채비율 100% 이하 △유동 비율 1배 이상 등 세 가지 조건을 만족시킬 것을 요구한 바 있다. 하지만 헝다그룹은 이를 충족하지 못했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2RHKU50QK
'빚 350조원' 헝다그룹 파산설 확산
중국 부동산 시장 먹구름
헝다 주가 올해에만 80% 폭락
중국 대형 건설사 헝다(恒大·Evergrande)그룹의 유동성 위기가 확산되면서 파산이 임박했다는 이야기가 확산되고 있다. 헝다가 파산할 경우 중국 부동산 산업은 물론 중국의 금융시스템에도 큰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유동성 부족을 겪고 있는 헝다그룹은 16일 성명을 통해 이날 하루 모든 역내 채권에 대한 거래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헝다그룹은 채권 거래 방식을 조정해 17일부터 거래를 재개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날 채권 거래 중단 조치는 헝다그룹에 대한 잇단 신용등급 하향 조치와 맞물려 시장에서 헝다그룹의 파산설을 더욱 확산시키는 계기가 됐다.
전날 중국의 신용평가사인 청신인터내셔널은 헝다의 신용등급을 기존 AA 등급에서 A로 하향했고 지난주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도 헝다의 채권 신용등급을 정크(투자 부적격) 등급으로 강등한 바 있다.
헝다그룹은 현재 부채가 1조9700억위안(약 355조원)에 달한다. 차입에 의존해 부동산 사업을 대대적으로 확대해온 헝다그룹은 최근 중국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자금 흐름이 악화된 데다 전기차 등 다양한 신사업에 진출하면서 부채가 눈덩이처럼 커졌다. 상황이 악화되자 헝다그룹은 지난 13일 입장문을 발표해 최근 퍼지고 있는 파산설이 절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하지만 "현금 흐름과 유동성에 엄청난 압박이 있을 것"이라며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음을 시인했다.
주가도 급락했다. 헝다의 주가는 올해에만 80% 하락해 2014년 1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
[베이징 = 손일선 특파원]
https://m.mk.co.kr/news/world/view/2021/09/897359/
사기의 대제국 헝따. 대륙의 스케일/중공발 금융위기 터지나?
https://www.youtube.com/watch?v=xR-hfWwSRK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