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에 '정책 기조 안 바꾸는 자신감' 물었던 김예령 기자 사직..."제 질문이 경기방송 재허가권에까지 영향"
김예령 기자 "저의 질문이 결국 경기방송의 재허가권에까지 영향 미쳐, 결단이 필요하다고 결론"
박대출 의원 "대통령에게 한 질문으로 좌천될 뻔 했다면 명백한 언론탄압"
"대통령에게 한 질문이 재허가에 영향을 미쳤다면 경악할 일...재허가 과정 진상조사에 나설 것"
지난해 신년 기자회견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현 정책에 대해서 기조를 바꾸시지 않고 변화를 갖지 않으시려는 그런 이유에 대해서 알고 싶다. 그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인가"라고 질문한 김예령 경기방송 기자가 자신의 발언으로 회사(경기방송)가 영향을 받았고, 그 과정 중 퇴직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김예령 기자는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 2019년 1월 ‘신년기자회견’에서의 대통령에 대한 저의 질문이 결국 저희 경기방송의 재허가권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저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고 전했다.
이어 김 기자는 "23년 간 몸담았던 ‘경기방송’ 긴 시간이었다"면서 "제 인생의 반이었던 기자생활, 그 가운데 10년을 청와대와 국회를 취재하면서는 고민과 갈등의 연속이었다"고 말했다.
또한 사측(경기방송)에서 김예령 기자에 대한 일부 여권 인사들의 불편한 기색을 감지해 김 기자를 출입처와 먼 곳으로 발령을 내려고 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김 기자는 '언론탄압'식 언론 환경에 불만을 갖고 사직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과련 박대출 미래통합당 의원은 이날 '‘언론의 자유’인가, ‘언론탄압의 자유’인가'라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대통령에게 한 질문이 재허가에 영향을 미쳤다면 경악할 일"이라면서 "대통령에게 한 질문으로 좌천될 뻔 했다면 명백한 언론탄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 의원은 "'이제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는 정치 권력은 없고, 정권을 두려워하는 언론도 없다'는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의 ‘신문의 날’ 축사는 가짜뉴스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래통합당은 김 기자 질문이 재허가 과정에 무슨 영향을 미쳤는지 즉각 진상조사에 나설 것"이라며 "사실이 드러나면 법적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김예령 기자는 지난해 1월 10일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서 "현실 경제가 굉장히 얼어붙어 있다. 국민들이 많이 힘들어 하고 있다. 희망을 버린 것은 아니지만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굉장하다"며 "대통령께서 현 정책에 대해서 기조를 바꾸시지 않고, 변화를 갖지 않으시려는 그런 이유에 대해서도 알고 싶고 그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인지, 그 근거는 무엇인지 단도직입적으로 여쭙겠다"라고 질문한 바 있다.
한편 경기방송은 지난 20일 긴급 이사회를 열어 지상파방송허가를 반납하고 폐업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으며 오는 3월 16일 주주총회를 열어 최종 폐업을 결정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경기방송은 지난해 말 허가 유효 기간 만료를 앞두고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유효기간 4년의 조건부 재허가 승인을 받았다. 당시 경기방송은 재허가 기준 점수인 650점을 받지 못했지만, 지역 종합편성 라디오 사업자로서 20년 넘게 방송을 한 점과 경기 지역 청취자의 청취권 보호가 필요하다는 이유에서 조건부 재허가를 받았다.
이와관련 경기방송 노조와 구성원들은 사측이 지난 24일 오후 노조에 폐업 결정을 통보했다며 이번 통보가 어떠한 사전 논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이뤄졌다며 반발하고 있다.
성기웅 기자 skw424@pennmike.com
출처 : 펜앤드마이크(http://www.pennmike.com)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28806
"그 자신감 근거 뭔가" 文에 도발 질문 김예령 퇴사… 경기방송 폐업 결의
"신년기자회견 질문이 경기방송 재허가권 영향 미쳐… 결단 필요하다고 결론냈다" 사의
2019년 신년기자회견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그 자신감은 어디서 나오는 것이냐"고 질문했던 김예령 경기방송 기자가 경기방송 재허가권에 '신년기자회견 발언이 영향을 미쳤다'며 퇴사를 알렸다.
김 기자는 지난 25일 페이스북을 통해 경기방송에서 사직했음을 밝혔다. 김 기자는 "2019년 1월 '신년기자회견'에서의 대통령에 대한 저의 질문이 결국 저희 경기방송의 재허가권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저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고 밝혔다.
"그 자신감 근거가 뭐냐"... 文에 비판적 질문 화제
이어 김 기자는 퇴사의 소회도 밝혔다. 그는 "23년간 몸담았던 경기방송, 긴 시간이었다"며 "제 인생의 반이었던 기자생활 그 가운데 10년을 청와대와 국회를 취재하면서 고민과 갈등의 연속이었다"고 밝혔다.
앞서 김 기자는 지난달 청와대에서 열린 신년기자회견에서 문 대통령에게 비판적 질문을 하며 화제가 됐다. 김 기자는 당시 문 대통령에게 "개천에서 용이 나오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하셨는데, 실질적으로 여론이 굉장히 냉랭하다는 것을 대통령께서 알고 계실 것"이라며 "국민들이 많이 힘들어 하고 있다. 그럼에도 대통령께서 현 정책에 대해 기조를 바꾸시지 않고 변화를 갖지 않으시려는 그런 이유를 알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인지, 그 근거가 무엇인지 단도직입적으로 여쭙겠다"고 질문했다.
경기방송, 지난 20일 이사회서 폐업 결정
문 대통령은 김 기자의 질문에 "정책기조는 계속 유지될 필요가 있다는 말씀을 충분히 드렸기 때문에 새로운 답이 필요할 것 같지 않다"고 답했다.
댱시 기자회견이 종료되고 김 기자의 행동이 "무례했다"는 비판과 함께 "날카로운 질문"이라는 옹호가 나오며 평가가 엇갈렸다.
경기방송은 경기도 유일의 지상파 라디오 민영방송사다. 지난해 12월11일 방송통신위원회 재허가심사위원회에서 점수 미달로 위기를 맞았지만 같은해 12월30일 우여곡절 끝에 조건부 재허가를 받았다. 하지만 운영 방안을 고심하던 경기방송은 지난 2월20일 긴급 이사회를 열고 지상파방송사업자 면허를 반납하고 폐업을 결정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경기방송 노조는 이에 반발하며 대립이 격화했다.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0/02/26/2020022600225.html